건설수주를이용한건설투자예측2014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설수주를이용한건설투자예측2014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차 례 >

Ⅰ. 서론
Ⅱ. 건설투자 예측모형
Ⅲ. 기대기성액 추정
Ⅳ. 건설투자 예측
Ⅴ. 결론

본문내용

경기는 2000년에 이어 부진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건설투자는 전년동기의 낮은 수준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으로 양(+)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건설수주통계조사의 착공예정일자와 완공예정일자 정보를 가지고 기대기성액을 추정한 후 이 지표의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 기대기성액을 활용하여 건설투자 예측모형을 추정한 후 향후 6개월의 건설투자를 예측하여 보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대기성액은 건설투자 또는 건설경기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건설기성액과 기대기성액간의 갭은 건설경기를 파악하는 선형성 지표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경기가 호전되어 자금사정이 원활해지면 실제 건설기성액과 기대기성액간의 갭이 확대되는 움직임을 보일 것이고 이는 향후 건설경기가 살아날 것을 예고해 줄 것이다. 반대로 경기가 침체되면 발주자의 자금사정이 악화되어 실제 건설기성액과 기대기성액간의 갭이 점점 축소되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건설경기의 부진을 예고해 줄 것이다. 둘째, 기대기성액 관련 지표는 향후 건설투자를 예측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이용이 가능하다. 기대기성액 관련지표를 사용한 건설투자 예측모형에서 기대기성액 자체 뿐만 아니라 기대기성액의 추세지표와 순환지표의 계수가 유의적으로 추정된 점은 이를 뒷바침한다. 특히 셋째, 2001년 상반기의 건설투자는 2000년과 비교할 때 양(+)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예측모형에 따르면 2001년 상반기중의 건설투자 증가율은 2000년 상반기의 낮은 수준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으로 최소 2%에서 최대 10% 정도로 전망되었으며, 그 규모는 외환위기 직후의 1998년 수준 정도로 예상되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도 나타났다. 일부 공사종류에는 평균공정률 산출에 이용된 공사사례가 많지 않았으며, 수집된 공사사례들도 계절적인 요인과 불규칙적인 요인이 강하게 혼합되어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건설공사 사례들을 다양하게 수집하고 많은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또한 건설투자는 국민소득, 건설자재 관련 산업의 경기상태, 원유가나 환율 등의 해외로부터의 충격 등 국내외 여러 가지 경제여건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기대기성액 이외의 경제지표를 추가적인 설명변수로 활용하여 더욱 정교한 건설투자 예측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1) 김재영안정화, 건설경기예측체계 운용 및 예측기법 개선에 관한 연구, 1990, 국토개발연구원
(2) 김재영정재하, 건설경기의 파급효과와 주택 및 건설경기 종합지표 연구, 1993, 국토개발연구원
(3) 김재영정재하한선희, 건설산업구조분석을 위한 건설경제모형 연구, 1994, 국토개발연구원
(4) 김정호김재영김보영, 건설동향의 단기예측체계에 관한 연구, 1989, 국토개발연구원
(5) 김정호송병록, 건설업 구조조사 및 분석연구, 1996, 국토개발연구원
(6) 문권순, 설비건설투자지표 연구, 1997, 통계연수원
(7) 왕세종, “공종별 건설투자의 변동 분석”, 2000, 주택금융 제222호(2000.겨울)
(8) 이복남, 건설공사 진도 및 기성고 산정방법 개선, 1997, 한국건설산업연구원
(9) 정희수김재영여영종한동근, 건설경기동향에 관한 연구 - 구조, 시장분석 및 예측 -, 1985, 국토개발연구원
(10) 정희수김재영한동근, 건설경기 지표에 관한 연구(월별 예측모형), 1986, 국토개발연구원
(11) Quantitative Micro Software(1998), EViews User's Guide.
(12) Hodrick, R. J. and E. C. Prescott(1997), “Postwar U.S. Business Cycles :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Money, Credit, and Banking, 29.
Forecasting of Construction Investment
- Using The Construction Orders Receiv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xpected value of construction completed from data of the construction orders received, and to forecast the construction investment using this indicator. Sample period for estimation is from January 1990 to December 2000, and sample period for forecasting, is during 6 months after then.
It is found that the expected value of construction completed is the useful indicator for analyzing the trend of business cycle of construction, and the gap between actual and expected value of construction completed is an available leading indicator for the construction investment. This fact is confirmed by significantly estimated coefficients of explaining variables in forecasting model, including the expected value of construction completed. It is prospected by the model that the construction investment in 2001 year be more than in 2000 year, but the level of investment be nearly the same as in 1998 year.Y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1.06.10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37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