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수산자원 및 자원이용 현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북한의 수산자원 및 이용 현황

Ⅰ. 수산자원 현황

Ⅱ. 자원이용 현황

* 참고문헌

본문내용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그 외에도 가리비양식이
동해안에서 남한 측 양식업체의 기술지도를 받아 합작투자형태로 개발
되고 있으나 생산량은 미미하며, 또한 전복 양식이 어느 정도 시도되
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어류의 경우 내수면에서 저수지나 하천수를 이용한 잉어와 붕어 양
식, 그리고 먹이를 공급하지 않는 초어와 백련 등의 양식이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최근에는 온천수를 이용한 열대메기 양식
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한다. 강원도 인민위원회에 따르면, 대
형 몇 중소 규모의 양어장 이외에도 자연호수, 저수지, 중소형 발전소,
인공호수를 양어에 이용하고 있다고 한다. 최근에 와서 북한 전역에서
내수면 양식에 대한 열기는 상당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넙치, 돔
류, 조피볼락 등의 양식은 거의 행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해역별 양식현황을 보면, 북한의 동해는 한해수역이기 때문에 냉수
성 어종인 연어, 송어 등의 양식에는 비교적 적합하며, 넙치, 조피볼락
등의 어류 양식도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가장 전망이 큰 어
종은 연어로, 북쪽의 찬 바닷물을 이용한 연어 가두리 양식이 가능할
것이며 , 여름철에도 월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겨울철에
는 수온이 10도 이하로 내려가 성장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패류양식으로서는 냉수성 어종인 가리비 양식이 가능할 것이며, 이 외
에도 북방대합이나 전복 양식이 가능할 것이다. 해조류는 모두 양식이
가능하지만, 특히 다시마와 미역 등은 품질이 양호할 것으로 추정되므
로 유망한 양식품종이라고 볼 수 있다.
북한의 서해안은 남한의 서해안과 마찬가지로 개필에서 생산되는
바지락이나 토종 굴 등의 살포식 양식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환경
이 깨끗하다면 대합 양식도 가능하겠지만, 현재 남한의 서해안에서와
같이 수질환경이 나쁘다고 한다면 질병이나 환경오염 등으로 인한 문
제가 우려될 수 있다.
새우 축제식 양식은 남한의 서해안과 마찬가지로 양식 적지가 많을
것으로 판단되며, 상당한 양의 새우류 생산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수
온이 남한보다 다소 낮을 것이므로 상품사이즈로 출하하기 위해서는
종묘생산 시기를 앞당기고 양식밀도를 낮추어 빨리 성장시키도록 해
야 할 것이다. 현재 남한의 강화도 주변 해안에 가두리 양식장이 많이
분포하고 있으므로, 북한의 서해안 옹진군을 중심으로 한 지역은 가두
리 양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북한의 서해안에는 농업용
저수지가 많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담수어 가두리 양식이 가능할 것
이며, 하천수를 이용한 유수식 잉어 양식도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 참고문헌
- 고경민. 북한의 IT 전략.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 박순성. 북한의 경제와 한반도 통일. 서울: 풀빛. 2003
- 동용승 · 이정철. 북한경제 변화의 조짐과 시사점. 2002
- 문성민. 북한의 금융제도. 서울: 한국은행. 2000
- 김영수 외. 김정일시대의 북한.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 북한경제연구소. 북한경제의 현황과 전망.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6.15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44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