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 4장, 5장 연습문제 풀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공학 4장, 5장 연습문제 풀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회의 진행 ----------------------- p. 2
1. 회의 진행
2. 구성원 각자의 역할(공헌)

Ⅱ. 제 4장 연습문제 및 팀원 개별 과제 --- p. 3
○ 1번
○ 2번
○ 3번
○ 5번 (개 별)
○ 6번
○ 팀원 개별 과제

Ⅲ. 제 5장 연습문제 ------------------ p. 9
○ 1번
○ 2번
○ 3번
○ 4번

Ⅳ. 2007년도 Report와의 비교 및 분석 --- p. 10
○ 전년도 File의 평가 및 차이점
○ 자체평가

본문내용

20081795 오소희
사례 1) 뚜껑
박카스나 소주 등 유리병에 들어 있는 액체류를 먹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뚜껑을 여는 것이다. 이때 트위스트로 따야하는 뚜껑의 경우, 뚜껑과 병 사이를 둘러싸고 있는 알루미늄 소재가 뚜껑의 일부분인 것을 알 수 있다. 이 부분이 뚜껑을 트위스트하는 동시에 벌어진다. 이것의 끝이 날카롭지만 별다른 제거를 하지 않고 보통 사용하기 때문에 손에 찔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위험한 점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끝부분을 매끄럽게 만들거나 뚜껑을 따면서 아예 제거해야 한다.
사례 2) 챕스틱과 딱풀
입술이 텄을 때 바르는 흰색의 챕스틱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딱풀은 색깔도 불투명한 흰색으로 비슷하고 아랫부분을 돌려서 내용물이 나오도록 하여 사용법 또한 동일하다. 책상에 챕스틱과 딱풀을 두었는데 편지의 우표를 붙이기 위해 딱풀을 잡는다는게 그만 챕스틱을 집어 사용해서 우표에 칠했던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 딱풀과 챕스틱을 차별화되도록 만들어야한다. 딱풀인 경우 앞에 딱풀이라고 크게 써져있다던가 챕스틱은 딱풀과는 달리 알록달록하게 겉을 만든다던가하는 방법을 써야 한다.
사례 3) 젓가락
하루 세끼를 기본으로 먹는 우리나라는 숟가락과 젓가락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보통 식당이나 가정에서 쓰는 젓가락은 쇠로 만들어 진 것이며, 젓가락 앞부분과 뒷부분이 동일한 재질, 동일한 색깔을 띠고 있으며 젓가락의 특성상 길고 가늘다. 그래서 젓가락 사용시에 앞뒤를 바꿔서 손으로 짚는 부분으로 반찬을 뜨는 경우가 간혹 있다.
이런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젓가락의 앞뒤의 굵기가 좀 더 차이나게 만들거나 손으로 잡는 부분에만 다른 색으로 도색을 하거나 그냥 홈을 파서 문양을 조금 넣는 것 보다는 알록달록한 색으로 홈을 파서 차별화가 되어야 한다.
사례 4) USB
USB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에 연결해야 된다. 이때 노트북이 아닌 이상 본체에 USB를 직접 꽂는 방식으로 연결을 한다. 컴퓨터에 연결 후 레포트를 옮기는 등 파일을 담거나 빼내 사용하는 등 작업을 마치고 USB를 잊어버린채 그냥 나오는 경우가 많아 잃어버리기 일쑤이다.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USB를 꽂으면 컴퓨터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소리가 난다던가, 팝업창이 뜬다던가 하는 식으로 분리 유무를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5) 20081800 이준섭
사례 1) 정수기
컵라면을 먹으려고 아무생각 없이 정수기로 물을 받았는데 찬물을 받은걸 뒤늦게 알게 되었다.
사례 2) 세탁기
흰 옷과 색깔 있는 옷을 같이 세탁기에 빨았다가 흰 옷에 물이 들었다.
사례 3) 샤프와 볼펜
샤프와 볼펜이 비슷하게 생겨서 샤프를 쓰려고 했는데 볼펜을 쓰게 된 적이 있다.
사례 4) 문자
여러 사람과 문자를 하는데 정신이 없을 때 다른 사람에게 동문서답의 답장을 보낸 적이 있다.
Ⅲ. 제 5장 연습문제
1. 그림 5-3에 있는 전류계에서 바늘의 위치는 그림에 있는 것과 같으나, 꼭지(knob)가 50-mA 측정 범위에 맞추어져 있는 것이라 가정하면 전류계에 흐르는 전류는 얼마인가?
10mA = 3.25mA
2mA = 0.65mA
10mA : 3.25mA = 50mA : X
(비례식에서는 외항의 곱과 내항의 곱은 같다.)
즉, 10mA × X = 162.5mA2 이다.
∴ X = 16.25mA
2 전류는 변화시키지 않고 꼭지(knob)만 5-mA 측정 범위로 맞추면 바늘은 어디를 가리키겠는가?
10mA : 3.25mA = 5mA : I
10mA × I = 16.25mA2
I = 16.25mA2 / 10mA
I = 1.625mA
∴ 바늘은 변화가 없고 1.625mA 쪽을 가리킨다.
3. 저항 R2에 흐르는 전류를 재려할 때의 전류계의 위치는? R1과 R2에 흐르는 전류의 合을 잴 때의 위치는?
· R2 에 흐르는 전류 측정
· R1 + R2 에 흐르는 전류 측정
4. 그림 연5·4에 있는 오실로스코프의 증폭률은 200mV/cm에, 走査는 50ms/cm에 맞추어져 있는 것이라면, 스코프 궤적의 첨두치간(peak-to-peak) 전압 V와 주기 τ는 얼마이겠는가?
(V의 길이 : 2.1cm , τ의 길이 : 3.4cm)
전압 V = 200mV/cm × 2.1cm = 420mV
주기 τ = 50ms/cm × 3.4cm = 170ms
Ⅳ. 2007년도 report와의 비교 및 분석
1. 전년도 File의 평가 및 차이점
전년도 File의 평가 (2007년 5조)
Change조 Report와의 차이점
일상생활에서의 실수했던 사례를
많이 조사하였고 대체로 잘
요약하였다.
조원의 사례가 비슷하여
다양함이 부족하다.
틀린 어법과 오타가 많았으며
단기간에 작성한 듯한 느낌을
받았다.
우리 조는 사례에 대한 충분한
해석으로 이해를 높였다.
실수에 대한 해결 방안도 제시
하였다.
우리 조는 많은 시간을 가지고
과제물 하나하나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항상 검토를 한다.
2007년에 비해 자세한 문제풀이를
하였다.
2. 자체평가
이번 문제들은 지난번 No.2 Report 때보다 비교적 해결이 수월했다. 책의 이론을 참고하며 과제수행을 했고, 과제를 하면서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실수를 이해할 수 있었다. 사소한 실수지만 인간의 저지르는 실수에도 원인이 있으며, 이론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개별 과제는 일상생활에서 실수했던 일을 조사하는 것으로 자신의 경험담이나 많이 범할 수 있는 실수들을 조사했었다. 실수가 많았기에 쉽게 과제를 해결 할 수 있었다.
인간공학이라는 과목에 대해 설명은 들었지만 실제 피부에 와 닿진 않았었다. 하지만 이번 과제를 하게 되면서 인간공학이란 인간이 어떻게 해야 인간이 이롭게 살 수 있을까에 대한 것임을 깨닫게 되었다.
이번 과제는 팀원의 역할과 특징에 맞게 과제를 분배하였기 때문에 정기회의 보다는 온라인 회의로 많이 진행되었다. 팀원들 모두가 빠르고 정확하게 과제를 완성하였고 마지막에 Report를 종합하는 과정에서 팀의 협력하는 모습을 또 한번 발견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좀 더 많은 회의와 의견절충으로 어려운 과제도 잘 헤쳐 나갔으면 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7.11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2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