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삼성전자를 선택하게 된 이유


2. 삼성 연혁


3. 삼성의 현재 출시 제품과 서비스


4. 삼성의 성공사례 및 실패사례 / 주관적 분석


5. 내가 삼성의 CEO라면? 출시하게 될 제품은?

본문내용

고급 브랜드 이미지

삼성전자는 1998년 하반기부터 중국에 유럽형 이동전화(GSM)를 판매하기 시작한 이래 현재 모토로라, 노키아 등에 이어 중국에서 3대 핸드폰 업체로 성장하였다. 중국 휴대폰 시장은 지난 99년부터 해마다 1000만~2000만대 이상 성장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올 들어 시장점유율이 10%대로 올라서면서 모토로라 27%, 노키아 25%를 바짝 쫓고 있다. 중국 휴대폰 매장의 시장점유율을 살펴보면 외국 업체들의 제품이 60%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중국업체들이 내놓은 휴대폰은 40% 정도에 머물고 있다. 삼성전자의 애니콜은 처음부터 소비자 타깃을 소득상위 4% 수준에 있는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모토롤라와 노키아의 제품보다 2배이상 높은 가격대로 제품을 출시하였으며 앞선 기술력과 디자인을 바탕으로 "애니콜"의 고급 브랜드 이미지를 심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외관 디자인 및 기능, 안정된 품질 등을 기반으로 한 대도시 위주의 고급브랜드 전략으로 삼성 애니콜은 중국 휴대폰시장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었으며 중국의 내수시장과 수입시장의 확대로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4-1-2. 차별화 전략 및 타겟 마케팅 전략
삼성전자는 브랜드캠페인을 통한 차별화 전략과 이에 근거한 제품 포지션닝을 통한 타겟 마케팅 전략이 성공요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즉 중국시장을 세분화하면 주요 소비층이라고 할 수 있는 인구가 대략 8%정도가 되고 이를 중국인구 전체로 놓고 볼 때 1억명이라고 할 수 있으며 더욱 보수적으로 계산한다고 하더라도 한국인구에 버금가는 소비계층이 주요 도시를 위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국업체의 저가 물량공세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차별화 전략이 필수적이라는 판단하에 고가품 위주로 시장을 공략하였다. 특히 대도시의 부유층과 젊은층은 가격민감도가 낮고 신제품에 대한 수용도가 높은 층으로 고품질의 제품과 효과적인 마케팅을 통한 공략이 가능할 수 있었다. 이러한 마케팅 전략이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배경으로 삼성이라는 Brand Equity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홍보를 빼놓을 수 없다. 삼성전자는 디지털 제품의 목표시장을 Young &High Income Target에 설정하는 한편 상해, 북경, 광주, 홍콩, 천진 등의 대도시 지역을 대상으로 프로젝션 TV, 핸드폰, DVD, MP3, 모니터 등 디지털 제품군에 집중하는 전략을 구사하였다. 브랜드 홍보를 위하여 중국의 휴가기간 중 매체광고부터 이벤트, 판촉, 인터넷 등 여러 매체에 대한 광고를 집중하였다. 또한 디지털 로드쇼, 스타마케팅, 스포츠마케팅, CI 등 여러 가지 부대활동을 통한 기업이미지 제고에 노력하였으며 장학퀴즈 등 문화마케팅을 구사하는 등 전방위에 걸쳐 기업홍보에 주력한 결과 중국내 높은 인지도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 들어서 부유층을 대상으로 한 니치 마케팅에도 주력하고 있으며 소비자 성향을 분석하고 이에 맞는 신제품 출시를 통하여 새로운 소비시장 개척에도 힘쓰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와 함께 중국에 대형 유통체제를 본격 구축키로 하고 최근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3개 도시에 현지 판매법인을 설립했다. 중국 판매법인은 중국 내 10개 생산법인에서 생산하는 제품을 현지 중간상이나 대리점, 소매점에 공급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이들 법인은 가전제품을 우선 취급한 뒤 디지털미디어 통신 등으로 취급 품목을단계적으로 늘려 나갈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중국 전체 인구의 5%에 이르는 고소득층 6천만명을 고정 고객으로 끌어들이는데 역점을 두고 있으며 "2005년까지 중국에서 모두 1백40억달러의 매출을 올릴 계획을 가지고 있다.
4-2 인도에서의 삼성 전자 성공사례
구분
삼성전자 인도법인(SIEL 등)
진출업종
TV, 통신 등
주요 생산품목
-TV, VCR,세탁기
-냉장고,A/C
-핸드폰 단말기
* 2001. 6월부터 PC 니터생산 별도법인 설립(연산 200만대)
진출연도
97.6월 생산
공장입지
Noida(뉴델리인근)
투자금액
1,600만불
매출액
(2002년도)
6억불
영업이익
2,000만불
시장점유율
(2002)
LG 및 삼성 합산 (컬러TV 23%, 전자렌지 55%, 에어컨 38%, 냉장고 33%, 세탁기 21%, 핸드폰 GSM 25%, CDMA 60%)
* 공식통계 없으며, 2002년중 언론보도 기준임
지분구성
100%단독
당초 74:26(삼성:Videocon)으로 시작하였으나, 최근 잔여지분을 모두 흡수, 100% 단독 형태로 전환
경쟁사
좌동
ㅇ 여타국에 비해 전사적 관점에서 인도시장을 생산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집중적인 투자를 한데 따른 당연한 귀결이라고 분석하고 있음

ㅇ 둘째, 시장접근 방법에 있어 전략적으로 여타국과의 가격경쟁을 피하면서 Top-Down 방식의고가전략을 구사하여 고급품이라는 인식을 소비자에게 각인 시킨후, 다음으로 저가모델을 도입하여 점차 하위 소득계층으로 시장을 확대하는 전략을 쓴 것이 주효했다고 분석하고 있음

ㅇ 셋째, 시장 진입후 끊임없는 현지화 전략을 추구하여 부품의 현지조달 확대를 통한 원가절감 노력을 들고 있음. 현재 현대자동차의 현지부품 조달 비율은 85%에 이르고 있으며, 삼성 컬러TV의 경우 현재의 75% 수준에서 연말까지 85% 수준으로 높이기 위한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함

ㅇ 끝으로 인도시장에 대한 제품의 도입방식을 들고 있음. 일본기업의 경우 대부분의 인도 도입 모델이 일본국내 또는 수출모델과 비교하여 약 1년 이상 뒤진 모델을 도입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경우 국내 또는 수출사양과 동일한 모델을 바로 인도시장에 도입하고 있는 것도 성공요인의 하나로 꼽고 있음
※ 삼성전자의 성공 : 주관적 분석
제가 생각하기의 삼성의 성공의 가장 큰 요인은 기업의 이미지 인 것 같습니다.
5. 내가 삼성의 CEO라면? 출시하게 될 제품은?
http://blog.naver.com/gustjq424/100125114356 (삼성전자 연혁)
[출처] 삼성전자 연혁|작성자 나
[출처] 인도진출 성공사례 - 삼성전자, LG전자|작성자 라이언
[출처] 중국진출 성공사례 - 삼성전자|작성자 라이언
[출처] 삼성전자 홈페이지

키워드

삼성,   전자,   분석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10.06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2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