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지천식 case stud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자 료 및 방 법

Ⅲ. 문 헌 고 찰

1. 정의 및 원인
(1) 정의
(2) 기관지천식 발작 기전
(3) 기관지 천식의 증상 기전
(4) 원인

2. 병태생리
(1) 초기 천식 반응
(2) 후기 천식 반응

3. 증상
(1) 천명음
(2) 기침과 객담
(3) 호흡곤란

4. 진단검사
(1) 병력검사
(2) 혈액검사
(3) 폐기능검사
(4) X-선 검사
(5) 객담검사
(6) ABGA

5. 치료와 간호

6. 예후

Ⅳ. 간 호 과 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목표, 계획, 수행, 평가

Ⅴ. 결 론 및 제 언

본문내용

흉곽물리요법을 수행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고 분비물을 제거한다.
호흡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휴식 시간을 제공한다.
편안한 자세를 취하여 흉곽을 최대한으로 팽창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필요시 기도청결을 위해 suction을 해준다.
분무요법을 통해 객담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3) 간호수행
침상에서 휴식시 침상머리를 15도 정도 상승시키거나 앉아있게 한다.
palm cup 사용법과 용도를 설명하고 시범을 보인다.
각 duty때 두 번정도 시간이 날 때 호흡시 어려움이 없는지, 호흡양상 변화를 사정한다.
보호자에게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환아가 좋아하는 컵으로 물을 자주 마시게 한다.
복식호흡을 시범을 보이고 1분에 10회 정도 하도록 교육한다.
갑작스러운 호흡양상 변화 시 담당선생님에게 의뢰한다.
객담이 있으면 삼키지 말고 뱉을 것을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환아가 수면 중 기침하면 흡인 가능성이 있으므로 머리를 옆으로 돌려달라고 말한다. nebulizer의 사용법, 처방된 약물의 효능, 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4) 평가
청진 시 호흡음이 감소하였고 호흡시 기도내 분비물의 진동음이 들리지 않았다. 객담 생성이
감소하였고 기도내 청결상태가 호전되었다.
#2. 호흡곤란과 관련된 수면부족
1) 간호목표
장기목표: 밤에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단기목표: 장애 없이 12시간을 잔다. 잘 잤다는 느낌을 표현한다.
2) 간호계획
매일 아침에 전날 밤의 수면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기관지를 확장하는 처방된 약물을 복용시킨다. 부작용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보호자에게 호흡곤란시 대처방법을 교육한다.
불안해하지 않도록 정서적으로 지지한다.
기관지를 자극하는 요인이 없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3) 간호수행
호흡양상에 변화를 보이면 즉시 간호사에게 보고하라고 말한다.
매일 아침 전날 밤의 수면의 질에 대해 질문한다.
침상머리를 환아에게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로 올리고 수면을 취하도록 한다.
취침 전 마지막 회차 nebulizer를 꼭 적용할 것을 말한다.
취침 전 불안 감소를 위해 보호자에게 더욱 환아의 곁에 있어줄 것을 말한다.
4) 평가
환아는 누나가 밤에 계속 옆에 있어줘서 좋았다고 표현했다. 환아의 증상이 점점 나아지고 있
다고 좋아했고, 퇴원 전날 밤에 보채지 않고 잘 잤다고 했다.
#3. 질병과 치료요법에 대한 보호자의 지식부족
1) 간호목표
장기목표: 약물치료를 지시대로 해야 하는 필요성을 말한다.
단기목표: 입원기간동안 약물치료지시를 이행한다.
2) 간호계획
환아의 질병에 대해 전반적으로 설명한다.
적절한 투약기술을 시범해 보인다.
치료에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질병과 관련된 감정을 표현하도록 도와준다.
3) 간호수행
천식의 원인, 기전, 치료요법의 필요성, 처방된 약물의 효능에 대해 설명한다.
nebulizer 사용 후, 아구창 예방을 위해 입안을 헹궈 주라고 말한다.
보호자의 치료지시 이행에 따라 환아의 상태가 변화될 수 있음을 말한다.
약물치료 스케줄대로 보호자가 수행할 수 있는지 옆에서 지켜보고 돕는다.
4) 결과
환아에게 시간에 맞추어서 약물을 투여하고 있었고, 환아가 가끔 협조하지 않을 때 그냥 내버
려두지 않고 환아에게 사탕을 주는 등 협조를 구해서 치료지시를 이행하고 있었다.
Ⅴ. 결 론 및 제 언
기관지 천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한 기관지의 과민반응으로 기관지가 수축하기 때문에 치료요법으로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하게 된다. 이 대상자에서 보는 것처럼 약물치료는 경구 복용약, IV용 수액으로도 이루어지지만 천식에는 이 외에도 직접적으로 입안으로 분사하는 정량식 흡입기(MDI)나 Nebulizer도 사용된다. MDI는 어린 아이에게 사용하기 미흡하므로 nebulizer를 통해 흡입식 약물이 처방되었다.
본 사례 연구 대상자는 질문하는 데에 대답을 잘 해주고 의사표현이 가능해서 대화하는 데에 큰 어려움이 없었다. 환아를 곁에서 돌보는 친누나는 환아가 잘못하면 갑자기 소리를 질러서 깜짝 놀라게 할 때도 있었다. 친누나와 나이 차이도 많이 나고, 외형적인 모습도 엄마같아서인지 환아는 그냥 누나가 좋다고 하며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 누나가 하는대로 누나의 말을 잘 따랐다.
기관지 천식은 많은 세포와 세포 구성요소가 작용하는 기도의 만성 염증성 장애로 아주 흔한 질환인데 생명을 유지하는 중요한 기관인 호흡기계의 장애인만큼 대상자의 가까이에서 간호가 필요한 질병 중의 하나이다. 더욱이 대상자 스스로 치료지시를 이행할 수 없는 어린 아이의 경우 그 필요성은 커진다. 본 사례 연구의 대상자도 부모님보다 아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누나에게 맡겨져 있어서 치료지시 이행이 규칙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누나에게 정서적으로 의존적인 환아로 응급상황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에 대비하여 퇴원 후 환아를 돌보는 보호자의 지속적인 교육과 관찰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김양호 외 편저 (2006) 개정판 병리학. 현문사. pp 212~213, 300~301
최신임상간호메뉴얼1(2004). pp429~443
최신임상간호메뉴얼2(2004). pp1373~1381
이향련, 최철자, 박오장, 김영숙, 최경옥, 김금순, 현경선,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1(2007). 현문사. pp589~597
아동간호학 임상실습지침서
소명숙,김정혜,장숙희,변영순,이한기,백윤웅 공저 인체생리학(2006). 고문사. pp46~66
홍경자, 문영임, 백승남, 안채순, 이군자, 임혜경, 조경미, 유경희, 남은숙, 탁명란, 안혜영, 성미혜 외 아동간호학2(2003). 수문사. pp639~654
홍창의 저 소아과학(2003). 대한교과서. pp1137~1144
송경애, 장혜숙, 고일선, 공수자, 박혜자, 이규은, 이명선, 홍영혜 지음 임상검사와 간호(1998). 수문사. pp30~74
김강미자, 김금자, 차영남, 장효순, 한혜실, 정정숙, 윤 진, 공은숙, 정여숙, 황성자, 양복순 공저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2006). 현문사
www.koreapediatrics.com → 기관지천식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10.26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0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