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공연예술과문화산책 중간고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11년]공연예술과문화산책 중간고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예술이란 무엇인가? 공연예술이란 무엇인가?
공연예술의 특징과 다른 예술과의 차이점을 상세히 쓰시오.
공연예술(performance)이란?
2. 드라마 분석 방법에서 인물, 행동, 상황, 사건, 플롯 분석에 대해 설명하시오.
3. 이강백의 ‘느낌,극락같은’에서 주인공 인물분석, 인물의 성격과 사상이 극의 주제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 쓰시오.
4. 희곡 ‘유리동물원’의 플롯 구조를 분석하시오.

본문내용

더 관심을 보이며 또한 톰이 아버지의 전차를 밟을까봐 전전 긍긍하기도 한다.
3. 욕망, 욕구는 주인공의 이루고자 하는 극중 의지에서부터 출발하는데 이를 전문용어로 극의 초목적이라한다. 주인공이 해결하고자 하는 욕망은 무엇인가 ?
□ 아만다 - 아만다는 자신의 화려했던 과거를 딸인 로오라를 통해 현실에서 다시 이루고자 하는 욕망을 지닌 자기중심적인 사람이다.
막내인 톰의 미래에 대해 걱정하기보다 자신의 꿈을 현실화 시킬 로오라에 대해 더 관심을 보이며 또한 톰이 아버지의 전차를 밟지 않기를 바란다.
□ 로오라 - 어머니의 기대에 부응 할 수는 없지만 그녀가 실망하거나 좌절하는 모습 또한 보고 싶어 하지 않는다. 동생의 불만과 어머니의 불만 사이에서 그 둘의 관계를 호전시키려고 노력을 한다.
□ 톰 - 아버지를 대신하여 집안의 가장으로 원하지 않는 일을 하고 있는 것에 불만을 가지고 있다. 집을 떠나 배를 타고 싶어 한다.
4. 기본적인 등장인물의 성격은 무엇인가?
□ 아만다 : 자신의 화려했던 과거에 집착을 하며 그것을 제일로 알고 심지어는 자신의 자식들에게 까지 그런 자신의 감정을 이입시키는 사람이다. 그렇다고 아만다의 캐릭터를 잔인하고 차가운 냉혈 어머니라고 보기는 힘들고 단지 감정의 기복이 너무나 심한 캐릭터이다. 그녀가 아들의 꿈에 대해서 이상에 대해서 전혀 고려하거나 진지하게 생각을 하거나 그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딸의 정신적인 문제를 심각하고 진지하게 고려하기 보다는 자신의 과거에 딸을 맞추기에 급급하기 때문이다. 이런 일련의 상황들을 볼 때 자식들에게 아가페적인 사랑을 보이는 어머니상은 아니다 라는 것이다. 과거의 화려했던 시절과는 달리 현재 남편도 떠나 버리고 자식들 또한 자신 보란 듯이 살아가고 있는 상황이 아니다. 겉으로 남들에게 잘 보이려는 겉치레와 자신의 과거를 현재 딸을 통해 투영하려 노력하는 가녀린 영혼이다.
□ 로오라 : 심성이 착하고 동생에게 굉장히 다정다감한 하지만 굉장히 무언가에 두려워하는 잠재적 공포를 머릿속에 내제한 약간은 정신적 문제가 있는 캐릭터이다. 특히 자신이 가지고 있는 육체적 결함으로 인해 자신을 더욱 초라하고 부정적으로 생각을 하며 부정적인 자기 이미지에 심하게 시달리며 사람들이 자신을 쳐다보고 비웃고 있을 것 같고 불만족스러워할 것 같고, 좋아하지 않을 것 같아 불안한 사회공포증을 가진다. 스스로를 고립시키고 대인관계를 회피하게 되고 방안에 틀어박혀 유리 동물원을 만지작거리며 자신만의 세계로 들어가게 된다. 착한 심성으로 어머니 아만다의 요구에 어쩔 수 없이 따르지만 그녀의 지나친 기대로 항상 꾸중과 통제를 받아와 굉장히 폐쇄적이며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짊어지기 힘든 캐릭터이다.
□ 톰 : 항상 반항적이고 현실에서 벗어나 자신의 이상을 찾고 싶어 하는 젊은이이다. 어린 나이에 가정의 책임을 짊어지고 항상 어머니의 잔소리에 육체적 노무에 시달리며 젊은 자신의 꿈을 이루지 못한 것에 대한 강한 불만을 가진 가련한 젊은이이다. 이상과 자신의 꿈을 항상 생각하지만 현실에서 이루지 못하고 이를 극복하고 회피하기 위해 술을 즐기거나 환상의 세계인 영화에 빠져 들어 시간을 보낸다. 자신의 내제된 불만을 해결하지 못해 지나치게 민감하며 어느 순간 폭발해 버릴 듯 답답한 삶을 살아간다.
5. 작품의 주제
유리 동물원은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환상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꿈과 좌절, 그리고 내면의 고독을 그린 작품이다. 작가 테네시 윌리암스는 이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 아만다, 로라, 톰을 통해 위에서 언급했던 현실에 적응하지 못한 한 마디로 아웃사이더들의 생활상을 그리며 그들의 고뇌, 환상에 대한 욕구, 환상과 현실에서 적응하지 못하는 고통 들을 그리고 있다.
하지만 마지막에 등장하는 짐 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 자신을 적응 시키며 또 어떻게 자신의 이상에 다가 갈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현실을 도피하고 자신을 한 없이 부정하고 하찮은 존재로 여기며 세상과 단절해 살아가는 로라에게는 희망이라는 모든 현실의 고통을 이겨낼 수 있는 열쇠를 알려주며, 자신의 희망과 이상을 위해 얼마나 노력을 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작가는 이 캐릭터를 통해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어 하며 이상을 향해 꿈을 꾸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이상이란 현실의 도피나 거부, 회피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현실을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 자신을 발전시켜 그 꿈, 이상에 한 발짝 더 다가서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12.10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9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