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와 목재(중간) 타이핑과 족보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1세기와 목재(중간) 타이핑과 족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주차
서문
1.1 산림의 개념

2주차~3주차
2.1 고대 및 봉건시대의 임업과 산림정책
2.2 8.15 해방 이전의 임업과 산림정책
2.3 8.15 해방 이후의 임업과 산림정책
제 3절 목재자원 이용사
3.2 서방의 목재자원 이용사(-> 우리나와 거의 비슷한 이용사)
제 2장 목재자원의 1차산업(목재자원의 물리적 가공산업)
제 1절 목재자원의 물리적 가공산업(sawmill산업)
제 2절 목재자원의 물리-화학적 가공산업

4주차
펄프 및 제지 산업

5주차
제지공업(제지산업)

6주차
(1) 섬유판의 개요
(2) 섬유판의 분류

7주차
1.1 목재재료의 물리적 구조
1.2 목질재료의 화학적 구조




권창범 족보
제1장 山林자원
제 2 장 목재자원의 1차 산업
제3장 목재자원의 2차 산업



<족보> -문제 01 ~ 31

본문내용

질폐재에 이러한 접착성능이 우수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木質板狀製品
(목질판상제품)을 집성목 또는 Composite wood라 한다. 이 집성목의 특징은 매우 큰
목재의 물리적 강도를 지니는 거대한 원목과 같은 역할을 이 자투리 목질폐제로 제조한 집성목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 Compreg wood (비중 0.8~1.5) (도시락 케이스, 일회용 젓가락으로 사용)
목질재료의 또 다른 특징은 해부학적 구조에 있어 많은
細胞內孔(세포내공)-OH(극성물진, 습기나 습도 빨아들이는 성질이 강하다)을 지녀
비중이 1.0보다 훨씬 작은 목질재료가 대다수라는 점이다. 이 세포내공이 결국
목질재료가 지니고 있는 단점, 즉 목질 재료의 수분에 의한 수축, 팽윤, 부후 등을
고분자 수지와 여러 종류의 채색재료를 흡입 시켜, 목질재료의 고유질감과 완벽한 방부,
방충성 뿐만 아니라 목질재료의 수축, 팽윤에 따른 이 판상제품의 뒤틀림 현상도 제거한 매우 고가의 목질 판상제품.
제3장 목재자원의 2차 산업
3.1 목재자원의 물리-화학적 구조
(1) 목재자원의 물리적 구조(해부학적 구조 포함)
① 목질재료의 해부학적 구조의 특징
목질재료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세포벽은 셀룰로오즈 및 헤미셀룰로오즈가
리그닌의 접착성에 의해 아주 밀접하게 접합되어 있다. 이 세포벽인 셀룰로오즈의
구성과 배열, 생장차 및 개체 발생적인 변이에 따라 목질재료의 물리적-화학적 성질도 달라진다.
② 목질재료의 물리적 성질
ⓐ 장점
가공, 공작성이 우수
가볍고 강하다(중량에 대한 휨강도가 철재보다 크다)
허용하중의 2배의 정하중에 견딘다.
열절연 효과 우수
열팽창이 작다.
전기절연성이 크다
점탄성적 성질이 있다
ⓑ 단점
3방향에 따라 이방성
함수율에 따라 치수가 변화
미생물·곤충 및 기타 작용에 의해 열화작용
불에 탄다
(2) 목재 자원의 화학적 구조(미에로 화이바에 식이성 섬유질 첨가, 아이스크림 콘 손부분) 소화흡수가 되지 않고 변으로 배출. (다이어트에 도움)
① 목질재료의 원소조성
ⓐ 화학물질의 조성비 : 탄수화물 炭水化物 탄소와 H20의 결합으로 되어있다.
탄소(C) : 50%
수소(H2) : 6%
산소(O2) : 44%
기타(무기물 및 질소) : 0.1~0.3%
ⓑ 화학식 C1.5 5H2.1 O1.0
② 목질재료의 화학적 조성비
o침엽수 o
cellulose : 40~45%
hemicellulose : 11~20%
lignin : 27~30%
extractives : 2~5%
o활엽수 o
cellulose : 45~50%
hemicellulose : 15~20%
lignin : 20~25%
extractives : 1~3%
<족보>
1. 목재의 화학적 주성분이 아닌 것은?
① 셀룰로오즈 ② 헤미셀룰로오즈 ③페놀 ④ 리그닌
2. 합판이 원목과 비교하여 장점으로 이용하는 이유 중 아닌 것은?
① 수축율 개선 ② 횡축방향의 물리적 강도 증강 ③ 합리적 이용 ④ 경제적 이용
3. 셀룰로오즈의 화학적 분자식은?
-> (C6H1005)n
4. sawmill 산업이란 어떤 산업인가?
① 제제목 산업 ② 의약품 산업 ③ 제지 산업 ④ 화장품 산업
5. compreg wood와 가장 관련이 있는 단어는?
① 세포내공 ② 세포벽 ③ 리그닌 ④ Laminated wood
6. 섬유판 제조의 해섬법이 아닌 것은?
① 쇄목해섬법 ② 열기계적해섬법 ③ 폭쇄해섬법 ④ 화학증해법
7. 종이의 제조공정이 아닌 것은?
① 고해 ② 증해 ③ 싸이징 ④ 충전
8. 목재 추출성분으로 제조한 제품은?
① 징코민 ② 미에로화이바 ③ 자일리톨 껌 ④ 배스킨라빈스 아이스크림
9. 지구온난화 현상의 결과가 아닌 것은?
① 오존층의 파괴 ② 지온의 상승 ③ 쓰나미 현상 ④ 생명공학의 출현
10. 지구촌 오즌층 파괴의 직접적인 원인은?
① 브라질 산림지역 파괴 ② 펄프산업의 발달 ③ 섬유판산업의 발달 ④ 제지산업의 발달
11. 섬유판 제조에 들어가는 원료 및 첨가제인 것은?
① 셀룰로오즈 섬유와 페놀수지
② 리그닌과 추출성분
③ 리그닌과 페놀수지
④ 셀룰로오즈와 리그닌
12. 목재의 화학적 구조를 이용하여 제조한 제품 중 가장 가까운 것은?
① plywood ② fiberboard ③ particleboard ④ pulp
13. 21세기형 자원으로서의 목질자원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재생가능 자원 ② 청정자원 ③ 환경보호자원 ④ 유한자원
14. 목재자원의 물리적 가공제품이 아닌 것은?
① 합판 ② MDF ③ 파티클보드 ④ 종이
15. 목재의 화학적 2차 가공산업은?
① 셀룰로오즈 유도체산업 ② 펄프산업 ③ 제지산업 ④ compreg산업
16. 바이오매스와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①씨앗 ②쇠똥 ③철광석 ④미역
17. 증해의 뜻과 가장 가까운 용어는?
① 가수분해 ②추출 ③ 탈리그닌화 반응 ④당화반응
18. 화학증해의 장점은?
① 순 셀룰로오즈 펄프
② 순 헤미셀룰로오즈 펄프
③ 순 리그닌 펄프
④ 순 추출 성분 펄프
19. 목질재료의 물리적 성질로서의 단점?
① 이방성 ②열절연성 ③전기절연성 ④점탄성적
20. 우리나라 목재자원의 고갈 원인은?
①난방자원 ②자연환경 ③토양 ④기후
21. 라이너 판지의 용도는?
①건축용 ②인쇄용 ③포장용 ④장식용
22. 1회용 신문용지, 주간지?
① 기계펄프 ② 반 기계펄프 ③ 반화학펄프 ④ 화학펄프
23. 산업용지가 아닌 것은?
① 라이너판지 ②골심원지 ③ 글라신지 ④ 잉크젯전용지
24. 산림산업의 획기적 변환? 1973년 (해방이후)
25. compreg와 가장 관련이 없는 단어는 ?
① 세포내공 ② 수축팽윤율 증가 ③ 보존성 ④
26. 은행나무의 추출물은 ? 징코민
27. 식물적 biomass와 동물적 biomass의 관계
① 먹이사슬 ② 먹이순환 ③ 종속적순환 ④ 일방적순환
28. MDF의 비중은?
① 0.4 ② 0.4~0.8 ③ 0.9~1.2 ④ 1.2~1.5
29. 고급용지는?
① 기계펄프 ② 반기계펄프 ③ 반화학펄프 ④ 화학펄프
30. 아리스토텔레스를 비롯한 많은 자연과학자들이 말한 우주의 근원은? 물
31. 팔만대장경과 관계 없는 것은 ? 미관성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1.12.11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95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