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실험18. 단안정 및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실험 주제
실험에 사용된 부품
실험 회로도
데이터 및 관찰내용
시퀀스 피드백
비고 및 고찰
평가 및 복습 문제

본문내용

값이 3.87㏀가 나온 이유는 커패시터값을 정확히 측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비고 및 고찰 :
이번 실험에서는 단안정과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구성 요소를 살펴보고 주파수와 듀티-사이클을 시험해 보았다. 74121을 사용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구성하여 임의로 결선을 만들고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파형을 관측하였다. 그리고 555 타이머를 통해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회로를 구성하고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듀티-사이클과 주파수를 측정하였다. 측정과정에서 오실로스코프의 기능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하여 오차가 생길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원래 커패시터의 값을 정확치 측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험에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했었는데 오실로스코프의 주파수, 듀티사이클 측정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커서를 이용하여 눈대중으로 측정하여 계산했기 때문에 이론값과 다소 큰 오차를 갖는 결과값을 얻었다.
평가 및 복습 문제 :
1.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에서 재 트리거 할 수 없다라는(non-retriggerable)의 의미는?
한 번 트리거 되어 불안정한 상태가 되면 안정 상태로 되돌아올 때까지 새로 입력되는 트리거 펄스에 응답하지 않는다. 즉, 정해진 시간이 지나기 전에 발생하는 트리거 펄스를 무시한다. 원샷이 불안정 상태에 있는 시간은 출력의 펄스 폭과 같다. 아래 그림에서 재트리거 불능 원샷이 펄스폭보다 길게, 혹은 짧게 트리거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b)에서 불안정 상태에 있는 동안 입력된 펄스는 무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2.
a. 74121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에서 내부 저항을 사용하여 50㎲의 펄스폭을 갖는 펄스를
만들 경우에 커패시터 값을 계산하라.
펄스폭 근사식 tw[㎱] = 0.7CEXT[㎊]RT[㏀],
==35714.285714[ns]≒35.7143x103[ns]=35.7143[㎲]
b. 출력을 50㎲에서 250㎲까지 가변적으로 변화시키고 싶을 때, 회로에 요구되는 변화는?
CEXT를 5배 증가시킨다. 또는 RT를 5배 증가시킨다.
4. R1=1.0㏀, R2=180㏀, 그리고 C1=0.01㎲인 경우 555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듀티-사이클과
주파수를 계산하라.
듀티 사이클 = x100[%]=x100[%]=x100[%]
=0.501385041551246...x100[%]≒50.14[%]
주파수 ===0.398891966759002...[㎑]≒398.8920[㎐]
  • 가격1,9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2.16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10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