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잡지 광고디자인의 종류, 특성, 구성요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문, 잡지 광고디자인의 종류, 특성, 구성요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광고디자인이란?

2. 광고디자인의 구성요소
1) 내용적 구성요소
2) 조형적 구성요소

3. 신문 광고디자인
1) 신문광고의 개념
2) 신문광고의 종류
3) 디자인 특성
4) 신문광고 디자인의 구성요소

4. 잡지 광고디자인
1) 잡지광고의 개념
2) 잡지광고의 특성
3) 잡지광고의 종류
4) 잡지광고 디자인의 구성요소
5) 잡지 광고의 제작과정

【 참고자료 】

본문내용

tering)과는 달리 일정한 순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블록으로서 생각해야 하는 조건이 있다.
(4) 심볼마크 (Symbol Mark)
기업이 생각하는 바를 도형적, 회화적인 방법으로 시각한 것으로 그 기업의 존재를 나타내는 표식으로 그 마크가 붙어 있는 인쇄물이나 상품은 그 기업의 발신이며, 책임자인 것을 나타낸다. 또, 항상 품질보증 마크의 의미로 하나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자신감의 표출이다.
심볼마크는 정보의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다리역할을 해야 하며 심볼마크 디자인은 특징이 없는 단순한 형, 그 형태가 덩어리져 있으며 인상적인 것, 축소, 확대에 부서지거나 일그러짐이 없는 것 등의 조건에 부합하여야 한다.
(5) 헤드라인 (Headline)
인쇄매체 광고에서 본문카피나 서브헤드(sub head)보다 통상 큰 서체로 전체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전달하는 역할로 인해 광고효과의 50~70%가 헤드라인에 달렸다고 하는 중요한 요소로 독자가 얻게 되는 구체적 정보의 도입부이며 또한 광고의 아이디어와 직결되며 소구의 키포인트가 된다.
※ 헤드라인이 해야 할 기능들은 던(W.S.Dunn)은 다음과 같이 정의 내린다.
독자의 눈길을 끌 것.
매스오디언스(Mass Audience) 중에서 목표고객(Target Audience)을 골라낼 것.
독자를 메인카피로 끌어들일 것.
때에 따라서는 소비자를 움직여 행동하도록 하는 역할까지도 할 것.
(6) 보디카피 (Body-copy)
헤드라인을 다 읽고 난 독자가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읽혀지는 내용적 요소의 하나이다. 상품의 특징을 기억시키고 구매행동으로 옮기게 하는 중요한 부분이며 효과적인 보디카피가 구성되어지려면 흥미성, 통일성, 단순성, 강조성, 설득성의 조건이 갖추어져 서로 조화를 이룰 때 독자의 구매의욕이 증대된다.
보디카피의 도입부는 헤드라인의 내용을 연계시켜 소비자의 관심을 고조시키고 중간부분은 그 광고의 컨셉트를 소비자에게 소구하는 방향으로 모색하여 결말부에 가서는 브랜드에 대한 확신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 구매행동 유발을 일으키게 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7) 슬로건 (Slogan)
기업의 생각이나 주장 또는 상품의 특성 등을 일정기간이나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좋은 이상을 유지, 누적, 정착시키기 위한 목적의 글로 기업이나 상품이 추구하는 바를 나타낸다. 슬로건의 작성조건으로는 짧을 것, 문장의 의미가 명확할 것, 문구의 짜임새가 적절할 것, 독창적일 것, 재미있을 것, 기억하기 쉬울 것 등이다.
슬로건의 종류에는 기업 슬로건, 캠페인 슬로건, 브랜드 슬로건으로 나뉜다. 기업 슬로건은 기업의 창업이념이나 경영이념 또는 소비자에 대한 약속 등을 사회에 표현하는 수단이며, 캠페인 슬로건은 공공단체나 기업이 어떤 캠페인을 벌이면서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브랜드 슬로건은 기업 슬로건과는 별도로 하나의 제품에 붙이는 슬로건으로 기업 슬로건에 비해 덜 포괄적이고 특정제품의 특징을 주로 나타낸다.
(8) 캡션(Caption)
보디카피와는 별도로 광고에서의 일러스트레이션이나 사진의 주위에 작은 활자로 된 짧은 글로 주제를 서술하거나 설명을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신문, 잡지광고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캡션 없이 비주얼만으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경우도 많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유사한 시각적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의 상황의 제시는 엉뚱한 판단을 내리게 할 수 있으므로 보완적 관계의 매체이다.
(9) 회사주소 및 판매처
주로 구입 및 문의처와 고객상담실 전화번호, 상품종류명과 내용물의 양, 가격과 함께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등이 표시되어 있다.
(10) 판형
잡지판형으로는 보통 46판, 46배판, 국판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잡지의 많은 변화와 함께 잡지의 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잡지의 판형을 주로 보면 주로 A4(국배판, 297mm*210mm), B5(46배판, 257mm*182mm), A5(국판, 210mm*148mm), B6(46판, 182mm*128mm)이다.
(11) 레이아웃 (Lay-out)
광고지면의 구성, 기획, 일러스트레이션, 상품명, 상표, 표제어문안과 사진 등 각 광고의 구성요소를 광고에 최대의 시각전달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배열하는 작업을 뜻한다. 광고디자인의 완성도를 평가하는 제작의 최종단계로 독자들의 시각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상황을 뜻하며 인쇄광고를 디자인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최종 평가항목이다. 레이아웃이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는 가독성, 주목성, 통일성이 있다.
5) 잡지 광고의 제작과정
(1) 규격설정
규격은 광고기획에서 매체전략이나 표현전략에 따라 결정되며, 잡지규격과 원고규격이 다양하므로 광고의 성격과 목적에 따라 규격설정에 유념하도록 한다.
(2) 섬네일 스케치
광고규격의 가로, 세로 비율을 감안하여 여려 형태의 레이아웃을 스케치하며, 필요에 따라 실제 규격으로 스케치하여 실제적인 효과를 예측하고 검토할 수 있다. 이 때의 레이아웃은 광고의 임팩트를 높이는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구성요소의 크기와 배치, 방향성, 칼라와 질감의 조화에도 신경을 쓴다.
(3) 이미지 부분
사진, 그림 등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사진이나 그림을 설정한다.
(4) 카피부분
대중의 호기심을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흥미성과 컨셉트에 부합되는 통일성과 단순성으로 호소력이 있도록 한다.
(5) 아트워크
최종의 사진이나 그림원고를 불러들이고 카피를 입력하여 전체적인 레이아웃에 역점을 두면서 조화를 꾀한다.
【 참고자료 】
김성운(2003)「디지털시대 광고디자인론」서울: 도시출판 차송
김맹호(1995)「광고크리에이티브의 실제」창과창
이견실 저(1995)「인쇄매체 광고디자인」나남
윤학중(1997)「광고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왕샹위(2009)「신문광고에 있어서 한자 레이아웃의 특성에 관한 연구」세종대학교 대학원 논문
김현지(1998)「화장품 잡지광고 디자인에 관한 연구」계명대학교 대학원 논문
허호용(1997)「광고캠페인 전개에 있어서 디자인 포맷에 관한 연구」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 가격1,8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1.12.21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25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