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환경측정-분진측정 실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작업환경측정-분진측정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 제목
분진측정 및 석면의 전처리

2. 실험목적
작업장에 있는 분진의 중량과 유량을 측정하여 분진농도를 계산, 중량분석하며 석면의 전처리 과정을 실습한다.
3. 실험관련 이론
4. 실험 기구 및 장치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결론 및 고찰
8. 참고문헌

본문내용

ter)는 유리 재질이고 대체적으로 크며 (30 cm) 보다 정밀한 눈금이 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로타미터 제품은 ±5% 이내의 정확도를 가진 보정선(calibration curve)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정확한 유량은 제조사로부터 제공된 보정선 또는 1차 표준기구에 대해 직접 만든 보정선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펌프에 내장된 로타미터는 오염물질이 시료채취매체(특히 여과지)에 퇴적되었을 때 시료채취매채에 의해 야기되는 역압(back pressure)에서의 변화가 일어나기 쉽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조건에서 사용된다면 이것은 단지 대략적인 유량을 나타내는 지시계일 뿐이지 적합한 보정장치가 아니다.
5. 실험 방법
(1) 전처리 과정
① 현미경에 넣는 슬라이드를 한 장 꺼내서 종이위에 놓는다
② 필터를 조심스레 꺼내서 MCE필터를 4등분한다.
③ triacetin/acetone을 준비한다.
④ acetone으로 MCE필터를 투명화 시킨다.
⑤ triacetin으로 투명화 시킨 부분을 막아준다.
(2) 분진 중량 측정
① 빈 필터의 여과지 무게를 측정한다.
② 펌프를 연결해서 기계를 켠 후 유량을 고정시킨다.
③ 테잎으로 분진이 다른 곳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감싸고, 10~20분 동안 분진을 포집한다.
④ 분진 포집후의 필터안의 여과지 무게를 측정한다.
`
6. 실험 결과
(1) 총 분진측정
측정전 여과지 중량 (g)
0.0144
측정후 여과지 중량 (g)
0.0153
측정전 유량 (ℓ/min)
2.00
측정후 유량 (ℓ/min)
2.04
(2) 분진의 중량분석
측정후 여과지 중량(g) - 측정전 여과지 중량(g)
분진의 중량(g)
0.0153-0.0144
0.0009
(측정전 유량(ℓ/min) + 측정전 유량(ℓ/min))/2
유량(ℓ/min)
(2.04 + 2.00)/2
2.02
* 계산*
(3) 석면의 전처리후 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
7. 결론 및 고찰
작업환경측정은 근로자의 노출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간접방법이다. 예를 들어, 석탄광산에서 근로자의 먼지 노출 실태를 정확히 평가하려면 근로자의 폐에 축적된 먼지를 직접 측정한다. 그러나 근로자의 폐에 쌓여 있는 먼지를 측정할 수 없으므로 간접적인 방법 중 가장 정확하다고 생각되는 방법으로 근로자의 호흡위치에서 먼지농도를 측정한다.
우리가 실험한 분진의 중량분석 결과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의 분진이 포집이 되었다. 분진은 기계적인 작용에 의해서 작은 입자로 된 고체입자인데, 미세한 입자이기 때문에 모르는 사이에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기가 쉽다. 우리가 실험한 분진은 분필가루였는데, 10분이라는 짧은 실험시간동안 분진을 포집하는데 기관지가 탁해지는 듯한 증상을 느꼈다. 분필가루는 주성분이 탄산칼슘이라 기관지나 폐에 쌓이다보면 폐질환에 이르게 할 수 있다. 탄산칼슘의 허용농도는 이다. 이 농도를 넘어서면 신체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특별한 사업장이 아니더라도 허용농도를 넘지 않게끔 분진 발생량을 억제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의 경우에는 분진으로 인해서 기도나 폐에 심각한 손상을 미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분진으로 인한 신체영향으로는 진폐증과 천식 등이다. 또한 피부나 눈 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은 분진의 농도, 분진의 크기, 노출시간, 분진의 종류, 작업강도 그리고 개인차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신체에 여러 악영향을 끼치는 분진발생을 방지하려면, 환기시설이 없다면 환기시설을 구비를 해야 하며, 환기 시설이 있을 시에는 환기시설 성능 평가를 해야 한다. 환기는 밀폐된 공간에서의 분진포집을 방지할 수 있는 일차적인 대책이라고 할 수 있다. 습식법 또한 하나의 대책이 될 수 있다. 실험에서는 분진의 중량 분석으로 끝이 났지만, 미세한 먼지인 만큼 정전기나 불꽃을 유의하여 분진폭발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8. 참고문헌
1)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 동화기술 ; 신은상 외 1명
2) 작업환경측정 ; 방송대학교 출판부 ; 박동욱 외 2명
3) 작업환경 관리 ; 방송대학교 출판부; 박동욱 외 2명
4) 작업환경측정제도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http://www.kosha.or.kr/health/business44/info_406514.jsp?menuId=1
5) 인제대학교 산업보건연구실 ; http://home.inje.ac.kr/~hygiene/lectures/measurement/physical/noise2_measure.htm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1.20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56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