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호텔의 개념과 분류 및 발전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호텔의 개념과 발전사

1. 호텔의 현대적 개념
2. 유럽의 호텔발전사
1) 영국의 호텔발전사
2) 프랑스의 호텔발전사
3. 미국의 호텔발전사
4. 한국의 호텔발전사

Ⅱ. 호텔의 분류

1. 법규에 의한 호텔의 분류
1) 관광호텔업
2) 수상관광호텔업
3) 한국전통호텔업
4) 가족호텔업
2. 이론적인 호텔의 분류
1) 장소적 요인(입지조건)에 의한 분류
2) 숙박목적에 의한 분류
3) 숙박시설에 의한 분류
4) 숙박기간에 의한 분류
5) 경영형태에 의한 분류
6) 호텔규모에 의한 분류
7) 요금지불방식에 의한 분류
8) 기타 시설형태
3. 한국 호텔의 분류

본문내용

들어와 호텔경영과 호텔문화를 한 단계 끌어 올렸다. 1990년대는 국내외적으로 관광이 활성화 되었지만 1997년 IMF의 찬바람은 호텔업계에도 큰 시련을 안겨주었다. 2005년 12월 현재 전국에 579개 호텔에 61, 722개의 객실을 갖추게 되었다.
II. 호텔의 분류
1. 법규에 의한 호텔의 분류
관광진흥법에서는 관광숙박업을 호텔업과 휴양콘도미니엄업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호텔업에는 관광호텔업, 수상관광호텔업, 한국전통호텔업, 가족호텔업, 등이 있다.
(1) 판광호텔업
관광자의 숙박에 적합한 시설을 갖추어 이를 관광자에게 이용하게 하고 숙박에 부수되는 음식 운동 오락 휴양 공연 또는 연수에 적합한 시설 등을 함께 갖추어 이를 관광자에게 이용하게 하는 업을 말한다. 종전에는 관광호텔업을 종합관광호텔업과 일반 관광호텔업으로 세분하였으나, 2003년 관광진흥법 시행령을 개정하면서 이를 통합하였다.
(2) 수상관광호텔업
수상에 구조물 또는 선박을 수상에 고정하거나 계류시켜 놓고 관광자의 숙박에 적합한 시설을 갖추거나 부대시설을 함께 갖추어 이를 관광자에게 이용하게 하는 업을 말한다.
수상관광호텔은 좁은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과 비교적 밝은 선박을 이용할 수 있으며 건설비도 비교적 적게들 뿐만 아니라 수려한 해안경관을 활용하는 수상숙박시설이라는 장점이 있다
종전의 해상관광호텔업의 명칭을 바꾼 것으로 호텔입지를 "해상"에서 "내수면"까지 확대한 것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부산 해운대구에 객실 수 53실의 페리스플로텔 이 2000년 7월에 등록되었다.
(3) 한국전통호텔업
한국전통의 건축물에 관광자의 숙박에 적합한 시설을 갖추거나 부대시설을 함께 갖추어 이를 관광객에게 이용하게 하는 업을 말한다. 한국 전통호텔은 외국인 관광자가 우리의 전통적인 건축양식이나 가옥구조 및 정원과 침실을 갖춘 숙박시설을 요구하는 경향이 늘어나 이의 수요에 대처하는 한편 "우리 것'기관광자원화라는 측면에서 규정한 관광숙박업종이다.
(4) 가족호텔업
가족단위 관광자의 숙박에 적합하도록 숙박시설 및 취사도구를 갖추어 이를 관광객에게 이용하게하거나 숙박에 부수되는 음식, 운동, 휴양, 연수에 적합한 시설 등을 갖추어 이를 이용하게 하는 업을 말한다. 가족호텔의 건설입지는 관광지나 국 도립공원 및 자연경관이 수려한 지역으로 한정하고 있으며 시설 및 설비기준이 검소하게 정해져 있다는 점이 휴양콘도미니엄업과 다르다.
2. 이론적인 호텔의 분류
호텔의 형태는 호텔의 입지조건, 시설규모, 경영방식, 영업종목 등에서 다양한 복합기업으로서 하나의 산업군을 이루고 있으며 그 본질로서 미국에서는 호텔을 상용호텔(Commercial Hotel), 휴양지 호텔(Resort Hotel), 주거호텔(Residential Hotel), 모텔(Motel and Motor Hotel)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호텔의 분류는 학자마다 서로 상이한 분류방법을 가지고 있으나, 여기서는 호텔의 분류를 장소적인 요인에 의한 분류, 숙박목적에 의한 분류, 숙박시설에 의한 분류, 숙박기간에 의한 분류, 요금지불방식에 의한 분류, 경영방식에 의한 분류, 규모에 의한 분류 등으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1) 장소적 요인(입지조건)에 의한 분류
(1) 메트로폴리탄호텔(Metropolitan Hotel)
(2) 시티호텔 (City Hotel)
(3) 다운타운호텔(Downtown Hotel)
(S) 서버반호텔(Suburban Hotel)
(5) 컨트리호텔(Count템 Hotel)
(6) 에 어포트호텔(Air-rt Hotel)
(7) 씨포트호텔(Sea-port Hotel)
(8) 터미널호텔(Terminal Hotel)
2) 숙박목적에 의한 분류
(1) 컨벤셔날호텔(Conventional Hotel)
(2) 커머셜호텔(Commercial Hotel)
(3) 리조트호텔(Resort Hotel)
(4) 아파트먼트호텔(Apartment Hotel)
3) 숙박시설에 의한 분류
(1) 모델(Motel)
(2) 보텔(Boatel)
(3) 요텔(Yachtel)
(4) 유스호스텔(Youth Hostel)
4) 숙박기간에 의한 분류
(1) 단기 숙박호텔(Transient Hotel)
(2) 중장기 숙박호텔(Residential Hotel)
(3) 장기 숙박호텔(Permanent Hotel)
- 호텔시설의 분류 -
5) 경영형태(Ownership)에 의한 분류
(1) 개별경영호텔(Indenpendent Hotel)
(2) 연쇄경영호텔(Chain Hotel)
소유직영방식
임차방식(Lease)
관리운영 위탁방식
프랜차이즈방식(Franchise)
업무제휴방식
리퍼럴방식(Referal)
(3) 합병호텔(Affiliated Hotel)
6) 호텔규모에 의한 분류
(1) 소규모호텔(Small Hotel)
(2) 보통호텔(Average Hotel)
(3) 보통이상 호텔(Ave Average Hotel)
(4) 대규모호텔(Large Hotel)
7) 요금지불방식에 의한 분류
(1) American Plan Hotel
(2) European Plan Hotel
8) 기타 시설형태
(1) 인(Inn)
(2) 펜션(Pension)
(3) 롯지(Lodge)
(4) 호스탈(Hostal)
(5) 유로텔(Eurotel)
(6) 국민숙사
3. 한국 호텔의 분류
우리나라의 호텔은 국민관광상 자연발생적으로 숙박시설이 고급화되어 호텔이 등장한 것이 아니고 국책사업으로서 관광호텔이란 제도적 발전으로 호텔이 설립되고, 아울러 오늘날에는 국민관광에도 호텔을 이용하는 사회적 환경으로 발전하였다.
앞에서 관광진흥법상 관광숙박업의 호텔분류는 이론적으로는 타당하지만 한국의 현실에서는 국토의 협소함과 교통기관의 발전으로 인하여 이론적 호텔분류는 감각이 약하므로 이를 원용하여 새로운 한국의 호텔분류를 제시한다.
- 한국의 호텔분류 -
호텔의 위치(location)에 따라서 관광지호텔 또는 휴양지호텔(Resort Hotel)과 시내호텔(C Hotel)로 구분하고, 관광진흥법상의 관광숙박업은 관광호텔로 하고 공중위생법상의 숙박업은 여관이라 하며 이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기타 숙박시설로 구분하기로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1.22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59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