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구 수업과정안, 학습지도안(우천시도 포함)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단원
2. 단원의 개관
3. 단원의 목표
4. 학습의 계통
5. 과제 분석
6. 지도 계획
7. 평가 계획
8. 지도의 실제
가. 차시 및 시간
나. 일시 및 장소
다. 본시의 목표
라. 지도 과정
마. 자료준비 계획
바. 지도계획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이었다. 그런 와중에서도 3.1운동을 기점으로 민족자존을 부르짖는 소리가 높아가고 당시민족의 대변지 동아일보나 조선일보 등 에서 '민족의 강건'을 부르짖으면서 건강한 체력만이 아니라 나라를 살릴 수 있는 길임을 강조할 우리 체육활동도 비로소 조직화 되기에 이르렀고 현 대한 체육회의 전신이랄 수 있는 조선 체육회의 발족을 보게 되었다. 결국 일제시대의 체육은 곧 애국운동으로 대변되는 바 일제의 억압과 장비하나 제대로 구할 수 없는 열악한 환경속 에서도 오로지 일본을 이겨보겠다는 의지 하나로 피땀흘리며 연습에 몰두한 당시 체육인들의 높은 기상은 오늘날의 혼탁해진 스포츠 정신과 비교해 볼때 많은 각성을 불러 일으킨다 하겠다.
특히 초창기 배구는 육상이나, 축구, 농구, 야구와 비교해 볼때 20여년이나 뒤늦게 도입되어 일반인들의 인식부족과 선수의 결여, 이렇다 할 지도자 하나 없는 상황에서 선수 한 사람이 1인 3역, 4역을 감당해야 했던 형극의 길을 헤쳐왔다. 그러던 것이 오늘에 있어서는 세계를 점하는 눈부신 발전을 이룩했으니 배구 70년사를 더듬어 보는 일이야말로 배구인들의 긍지와 자부심을 불러 일으키는 것은 물론 한국 배구의 미래를 점쳐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리라 믿는다.
1999년 9월 7∼8일 스위스 로잔(Lausanne)에서 열린 FIVB(Fdration Internationle de Volleyball:국제배구연맹) 경기규칙위원회에서 새롭게 경기방법과 규칙이 개정되어서 2000년 1월 1일부터 공식적으로 세계 및 국제대회와 모든 국내대회에서 의무적으로 적용되었다.
첫째, 랠리포인트 스코링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즉 매 랠리마다 득점을 하게 되는데, 리시브팀이 랠리를 이겼을 때 그 팀은 한 점을 얻고 서브권을 갖게 되며,그 팀의 경기자는 시계방향으로 한자리씩 이동한다.
과거 5세트 경기 때처럼 각 세트에서 서브미스가 있을 때 상대방이 점수를 얻게 되므로 과거의 서비스권을 가졌을 때만 점수를 얻는 방식보다 경기시간이 단축되었다. 1∼4세트까지는 25점을 선취하면 이기며, 5세트에서는 15점을 선취하면 이기는데, 각 세트마다 상대팀과 2점차가 나야 하며 점수 상한은 없어졌다.
서브에서 볼이 네트에 닿고 상대방 쪽으로 넘어갈 때 경기는 계속되며, 경기를 하거나 경기를 방해할 때를 제외하고 네트를 터치하는 것은 반칙이 아니다.
둘째, 세트간 모든 휴식시간은 3분으로 정해졌다. 2·3세트 사이의 휴식시간은 조직측 요청에 따라 권한을 가진 기구가 10분까지 연장할 수 있다. 타임아웃은 보통 경기에서 30초 동안 이루어지며, 각 팀은 세트당 2번의 타임아웃을 가진다.
FIVB 및 세계 공식경기에서 모든 타임아웃은 60초 동안 이루어지고 5세트에서는 30초간이다. 1∼4세트에서 각 팀은 단 한번의 타임아웃을 부를 수 있으며, 점수가 앞선 팀이 8점과 16점일 때 2번의 테크니컬 타임아웃(TTO)이 주어진다. 5세트에서 각 팀은 2회 30초 동안 타임아웃을 할 수 있으며 테크니컬 타임아웃은 없다. 과거 국제규칙에서는 시합중에 각 팀은 한 세트 중 30초씩 2번의 작전타임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리베로 선수에 대한 신설된 규칙이 있다. 각 팀은 12명 최종 선수명단에 1명의 수비전문선수 리베로 등록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리베로 선수는 후위지역 선수로만 경기할 수 있도록 제한된다. 리베로는 팀 내 다른 선수들과 구별되는 색상이나 다르게 디자인한 셔츠를 입어야 한다.
과거 국제룰에서도 5세트를 겨루었는데, 6인제인 경우 이름 그대로 각각 6명의 선수가 네트를 사이에 두고 상대하여 볼을 상대방 쪽으로 쳐 넘겨 15점을 선취하면 한 세트를 이기며 3세트를 선취하는 팀이 승리이다. 또한 14:14가 되면 2점을 먼저 리드한 팀이 이기고, 모든 세트의 상한 점수는 17점이며, 16대16 동점인 경우 1점을 리드하여 17점을 선취한 팀이 그 세트를 이긴다. 정식경기가 아닌 경우 사정에 따라 3세트 시합을 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2세트를 선취하면 이긴다.
과거 6인제 경기에서 가장 큰 특징은 직접 득점이 되는 경우와 득점이 되지 않고 서비스권만을 얻는 경우이다. 즉 서브를 넣은 팀이 상대방 코트 내에 볼을 때려넣어 성공하거나 상대방 선수가 반칙을 했을 때에만 득점이 되며, 공격에 성공하지 못하면 상대방으로부터 서브권만을 빼앗아와서, 득점에 결부될 수 있는 서비스팀이 되었다.
배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하여 진행된다. 서브에 의하여 넘어간 볼은 상대방의 서브리시브→토스→스파이크로 서브측에 넘어오고, 서브한 쪽은 블로킹→리시브→토스→스파이크로 볼을 다시 넘긴다. 즉 리시브→토스→스파이크로 응수하는 반복이 전개된다. 이 사이에 여러 가지 룰이 있어서 득점이나 사이드아웃이 된다.
3. 배구에 적용되는 과학적 원리
가. 안전한 플라잉 리시브의 원리
멀리 떨어지는 공을 앞으로 다이빙하여 리시브를 한 후, 두 손으로 마루를 짚고 가슴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동작을 한다. 이러한 동작을 하는 이유는 충격량의 크기가 운동하는 물체의 질량과 속도에 비례하므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을 때에는 충격 흡수 시간을 늘려 충격 때의 속도를 줄이는 원리에 의한 것이다.
나. 안정된 패스를 위한 원리
안정되고 정확한 패스를 하기 위해서는 무릎을 굽혀 신체의 중심을 낮추고, 두 발을 벌려 기저면을 넓혀 신체의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
다. 강력한 서브와 스파이크의 원리
서브와 스파이크를 할 때, 큰 힘을 얻기 위해서는 어깨를 뒤로 돌리거나 공을 치는 순간에 팔을 펴서 작용팔의 길이를 길게 해야 한다. 또한 어깨의 관절을 이용하여 공을 치는 순간에 손목의 가속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 좌석 배치
교탁
♠.확인학습 평가문항
평 가 문 항
정 답
1. 배구는 누구에 의해 고안되었는가?
Williams G.Morgan
2. 배구가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 연도는?
① 1915년 ②1920년
③ 1945년 ④1958년
⑤ 1988년

3. 배구에 적용되는 과학적 원리를 그 예와 함께 3가지만 쓰시오.
1. 충격량 감소
(플라잉 리시브)
2. 안정성의 원리
(언더핸드 패스)
3. 가속도의 원리
(스파이크)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2.02.27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02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