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발달-유아기의 발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나 사회적 역할을 안전하게 시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놀이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성이 발달된다. 아동의 사회성발달 수준에 따라 놀이 형태도 달라진다. 사회학습이론적 관점에서 보면 놀이는 아동이 관찰학습이나 모방과정을 통해 점차적으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는 방법이 된다. 따라서 놀이의 종류를 지나치게 제한하면 놀이를 통한 인지발달과 사회성발달이 저해된다.
다음으로 인간을 분류하는 가장 기본적인 범주인 성별에 대해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에게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특성을 규정짓는 성역할 개념에 대해 생각해보자. 여성과 남성, 각자에게 적합한 사회적 역할을 학습하는 과정의 기초는 가정에서 비롯되며, 동성의 부모와 동일시하려는 심리적 과정에서 진행된다. Freud(1933)에 의하면 남성과 여성의 근원적인 차이는 남근기에서의 서로 다른 경험에 기인한다고 한다. 이때에 남아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여아는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각각 경험하게 되는데, 이러한 콤플렉스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성역할 동일시가 이루어진다. Mischel(1970)은 성역할이 직접학습과 관찰학습에 의해 발달한다고 설명한다. 부모, 교사 또는 친구가 아동의 성에 적합한 행동을 강화하고, 그에 반하는 행동을 벌함으로써 직접학습이 이루어진다. 또한 부모나 친구 또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자기 성에 적합한 행동을 관찰을 통해 학습한다. 이 외에도 성역할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물학적 요인, 부모의 역할, 문화적 기대, 아버지의 역할과 아버지 부재, 형제의 역할, 또래와 교사의 역할, 텔레비전의 영향 등이 있다.
인간이 세상에 태어나 사회적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 터전인 가족은 사회의 기본 단위로서 한 사회를 존속시키고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부모는 아동이 세상에 태어나 최초로 관계를 형성하는 대상인데, 이러한 부모의 양육행동은 아동 개인의 성격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하나이다. 부모의 양육 태도는 여러 다른 영역으로 기술될 수 있으며, 여러 양육 행동들을 통해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차이가 온다. 부모 외에도 형제자매는 아동의 발달에서 부모와는 또 다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물이다. 형제관계는 대인관계 가운데 가장 오래 지속되는 관계이며, 단순히 상호작용의 양뿐만 아니라 다른 관계에서 나타나지 않는 강도와 독특성이 있다. 형제관계는 부모와의 관계에 비해 상호적이며 평등한 관계이다. 이는 또래집단의 상호작용과 상당히 유사하며, 빈번한 상호작용과 함께 솔직한 정서표현, 상호관의 관심과 애착의 증거를 볼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를 모방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유아가 주로 맺게 되는 사회적 관계에는 부모관계와 형제관계 이외에도 또래관계가 있다. 유아는 성장하면서 생활범위가 가정뿐만 아니라 영유아보육기관에서 새로운 환경을 경험하기도 한다. 이곳에서 이루어지는 또래와의 풍부한 경험은 사회성발달의 중요한 요인이므로 또래와 잘 어울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3. 결론
만 2세~6세까지를 이르는 유아기의 아동은 영아기에 비해 극적인 신체비율 변화가 일어나며, 뇌와 신경계의 성장이 일어난다. 특히 이 시기의 아동의 신장은 성인이 되었을 때 얼마나 자랄 것인지 예측하는 지표가 된다. 뇌는 두뇌발달원칙에 의해 신체의 다른 부분에 비해 빨리 성장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뇌와 신경계의 성숙은 유아에게 새로운 운동기술과 인지능력을 발달시키게 된다. 유아의 운동 기능은 크게 대근육 운동기능과 소근육 운동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근육 운동기능은 남아가, 소근육 운동기능은 여아가 앞선다. 유아기의 아동은 대근육 운동기능이 발달함에 따라 달리기, 뛰기, 공 던지기 및 공받기, 자전거타기 등의 운동을 할 수 있는데, 때로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운동기능을 과대평가한 나머지 다치거나 상처를 입기도 한다. 소근육 운동기능은 손의 정교한 사용으로 행해지며, 4세가 되면 이 기능은 상당히 발달하게 된다.
유아기는 전조작기에 해당하며, 이 시기에는 인지적 성장과 언어발달이 매우 빠른 속도로 이루어진다. 유아는 상징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며, 눈앞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이나 사건에 대해 정신적 표상에 의한 사고를 할 수 있게 된다. 유아는 모든 것을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사고는 유아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유아기의 아동은 실제인 것과 실제가 아닌 것의 완전한 구분이 아직 불가능하다. 이 시기에 습득하는 언어의 발달은 유아의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의사소통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유아는 일반적으로 부정적 정서보다 긍정적 정서를 더 쉽고 빠르게 이해한다. 그리고 아직까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실제 모습과 보여 지는 모습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대방의 감정표현에서 이 두 가지가 일치하지 않으면 유아는 혼란을 겪게 된다.
이 외에도 유아는 부모, 형제, 또래 등 여러 인물과의 관계형성으로 정서 및 사회성을 발달시킨다. 특히 유아가 하는 놀이는 성장과 사회정서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남녀 간의 성역할에 대한 이해의 기초가 된다.
이와 같이 인간발달에 있어서 유아기는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이 시기의 아동에게 부모는 충분한 영양공급, 규칙적인 생활습관, 사고와 질병으로부터의 보호가 필수적이며, 그들의 호기심을 충족시켜주고, 놀이에 제한을 두어서는 안 된다. 또한 아동과 함께 있는 시간을 만들어 대화를 많이 하고, 또래와 자주 접촉할 수 있는 모임을 만들어 주어야한다.
4. 참고문헌
1) 이순형 외 10명, 2006, 보육학개론(2판), 제5장 영유아의 발달 특성과 요구, 2. 유아기의 발달특성, P127~138, 학지사
2) 정옥분, 2004, 발달심리학(전생애 인간발달), 제8장 유아기의 발달, P257~331, 학지사
3) 정옥분 외 14명, 2008, 보육학개론, 제4장 영유아기의 발달특성, 2. 유아기의 발달특성, P95~104, 학지사
4) 조복희 외 2명, 1995, 인간발달-발달 심리적 접근, 제5장 유아기, P182~253, 교문사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26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61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