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복지관] 한국 사회복지관의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안에 대해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지역사회복지관의 유래

1. 서론

2. 연혁 (연대)

3. 지역사회복지관의 현황

4. 지역사회복지관의 운영원칙과 운영,  운영방향

5. 지역사회복지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6. 본론

7. 결론

본문내용

요구되는 당면과제는 적어도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1)주민참여
(2)사회복지조직의 투명성, 유연성, 책무성
(3)사회복지전문직의 전문성
(4)각종 자원체계의 네트워크 형성
위와 같은 과제들은 전혀 새로운 것들이 아니다. 오히려 이 같은 과제들은 이미 오랫동안 고민해 온 과제들이며, 또한 앞으로도 해결해 나가야할 과제들일 것이다.
이 시점에서 새삼스럽게 강조하는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이전에는(적어도 80년대 후반까지) 막연한 과제들이 최근(90년대 중반이후)에는 보다 현실적인 문제가 되었으며, 그리고 앞으로는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될 과업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이와 같은 네 가지의 과제들을 보다 심도 있게 제기하면서 미래의 과업에 대해 보다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생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30여 년 간 경제적으로 비약적인 성과를 이룩하였으나 경제성장 우선주의정책으로 소외된 부분이 존재하고 지역간, 계층간 균형발전을 성취하지 못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서비스는 수용시설 및 저소득층 중심이고 제공되는 사회복지서비스나 급여도 적절한 수준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다가오는 21세기에는 고령화 사회의 도래 핵가족의 가속화 기혼여성의 취업비율증대 편친가족과 단독가구의 증대 지역사회의 공동체의식해체 등으로 사회복지수요가 확대되고 다양화되며 고도화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여기에 대한 대응과 개개인의 삶이 보람되고 활기에 넘치며 풍요롭게 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처해 있는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는 앞으로 그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서구사회복지국가의 교훈과 장점을 수용함과 동시에 우리 나 전통적인 복지관잉 수재조명하여 우리의 지역사회현실에 알맞은 지역사회복지모형 수구축하여야 데 있어또한 건전한 가족기능과 지역사회의 생활공동체의식 수강화하여야 데 있어지역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아동 노인 장애인 여성의 사회적 요구와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사회내의 계층 간 갈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합적인 접근체계를 구축해야 데 있어우리나라사회복지서비스 확충의 기본점을은 가족 이웃 지역사회로 이어지는 사회복지공동체를 이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보편적 복지 공동체적 복지실현을 위하여 지역사회복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 실정에 맞게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구축이 필요하다.즉 핸디캡을 가진 계층의 복지추구를 원점으로 한 서비스와 시설체계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정비하고 공-사 협동과 지역주민의 사회복지의식과 태도를 형성하여야 하며 사회복지서비스이용자 또는 이용예정자를 중심으로 한 조직을 원점으로 통합적 사회복지서비스 연결망을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주민의 주체적 역량인 주민조직 또는 당사자조직이 활성화되어 생활 주체자를 원점으로 한 생존권 생활권 쾌적권을 지역사회에 확립해야 한다.
8. 참고 문헌 및 출처
박 영호, 「지역사회복지관의 현황과 문제점」 (서울: 사회복지특별위원회 복지비젼 21 자료집, 1996) pp33-38..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훈령 제681호, 사회복지관 설치. 운영규정 제2조」 서울: 보건복지부, 1993.
사회복지관 협회, 「사회복지관 평가모형 개발: 전국 사회복지관 협회 제8차 전국세미나」 (서울: 한국 사회복지관 협회, 1998), pp7-17.
이현주, 이상균, 「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을 위한 시론」 (서울: 상황과 복지, 제3호, 1998), 127-150.
홍선미,「한국 사회복지 실천의 과제」 (부산: 한국 사회복지 98 추계 학술대회, 1998), pp65-77.
황성철, 강혜규, 「사회복지관 운영평가 및 모형개발」 서울: 한국 보건사회 연구원, 1994.
Dillick, S., "The Functions of Neighborhood Organization", in E. Harper &A. Dunham(eds.), in Community Organization in Action: Basic Literature and Critical Comments(New York: Association Press). 최일섭, 지역사회복지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에서 재인용.
Miley, K.K., O'Melia, M., &DuBois, B.L.,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An Empowering Approach, Boston: Allyn &Bacon, 1995.
네이버 지식인, 블로그 발췌.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4.19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13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