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 보고서) 태강릉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한국사의 재조명

태강릉 답사 보고서



➰ 답사 일정
➰ 답사 사진
➰ 조선 왕릉
✻조선 왕릉의 분류
✻조선 왕릉의 구조
➰ 태강릉
✻태릉(사적 제201호)
✻강릉(사적 제201호)
➰ 답사 후
➰ 자료 출처

본문내용

하였다.
능제는 봉분을 병풍석으로 두르고, 난간석으로 연결한 동원쌍봉릉이다. 곡장으로 둘려진 봉문주위에는 석양, 석호 등이 호위하고 있고, 봉분 앞에는 상석과 망주석, 장명등, 문석인, 무석인, 석마 등이 배치되어 있다. 아래는 부속건물인 정자각, 제향 후 태우는 것을 확인하거나 능 출입 시 참배하는 곳인 망료위, 표석, 홍살문 등이 있다.
답사 후
지하철역이름으로만 익숙했던 태릉. 그 능의 주인을 알게 되고, 직접 답사를 갔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었다. 학교 근처라서 걸어갔다가 고생도 했지만, 이로 인해 태릉의 존재를 내 머리 속에 각인 시킬 수 있었다. 강릉은 개방 된 곳이 아니라 가보지 못해서 무척 아쉬웠다. 아직까지도 온전하게 남아 있는 태릉을 보면서 ‘역사는 흐르고 있다’는 사실이 실감났다. 많은 소나무와 황토색의 금잔디, 그리고 앉아서 사진을 찍었던 정자각까지 모두 보존이 잘 되어있었다. 조금 아쉬웠던 점은 주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태강릉을 찾는 사람들이 별로 없었다는 사실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역사나 문화재에 좀 더 관심을 가져야 친구들과 함께 답사를 갔던 태릉이 100년 뒤 우리 후손도 답사를 갈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출처
‘王에게 가다’ 도선 왕릉 안내 지도
태릉, 강릉 안내 책자
http://blog.naver.com/bestbright?Redirect=Log&logNo=100082136936http://taegang.cha.go.kr/
http://100.naver.com/100.nhn?docid=883900
http://100.naver.com/100.nhn?docid=5136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4.30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34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