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키즘과 사회 생태주의 이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사회 생태주의의 대두

2. 아나키즘

3. 사회 생태주의 사상

4. 사회 생태주의의 한계

★ 머레이 북친 ★

본문내용

운동가들이나 생태론자들의 주장은 지구 환경, 산업화, 기술 수준, 인구, 식량 생산 등 현재의 조건을 변화될 미래의 상황과는 무관하게 <단순 투사>함으로써 위기를 자명한 것으로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위기를 확대 재생산한 면이 없지 않다. 즉 그들은 <만약 지구가 지금처럼 증가한다면> 혹은 <산업화가 지금처럼 지속된다면>이라는 가정에 근거해 있기 때문에, 오직 이 가정에 충실하기만 하면 되지, 현재의 위기 추세가 미래에도 똑같은 힘으로 계속될지 아닐지에 대해서는 대답할 의무도 없고, 알 수도 없다는 주장이다.

오해를 피하기 위하여 다시 한번 말하지만, 정말로 위기인가를 의심하는 이유는 <현재의 과학적, 기술적, 경제적 수준에서 재앙으로 분류하는 모든 환경 문제는 사실 우리가 거기에 맞춰서 삶의 패턴을 바꾸어야 할 만큼 결정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 나아가서 <새로운 윤리적 범형, 말하자면 신윤리학의 요청은 현재의 위기를 수정하는 일보다 훨씬 어려우며, 새로운 윤리학이 정착되기 훨씬 전에 이 지구 생태계는 그 평형을 상실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출처] 머레이 북친 읽기
사회생태주의란 무엇인가, 사회생태론의 철학, 휴머니즘의 옹호
  • 가격2,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4.30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34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