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 (Effective Micro-organisms)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제품소개
Ⅱ.환경 분석
Ⅲ.시장세분화와 포지셔닝전략(STP)
Ⅳ.마케팅 믹스 전략(4P)
Ⅴ.전망 및 한계점

본문내용

, 노년부부 까지를 포함하겠다.
2) 추구하는 편익에 따라
- 세련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
웰빙을 추구하는 흐름에 발을 맞추고, 나와 내 가족의 건강을 생각할 줄 아는 현명한 사람. 이것이 E-life의 고객의 모습이다. 확고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서 충성도가 높은 고객을 키우려고 한다.
기존의 세제류는 기능적인 편익을 부각시킨다. 고객들은 이 제품군에서 상징적인 편익은 고려하지 않았다. 그래서 혹시 새로운 기능의 제품이 나오거나, 더 저렴한 제품이 있으면 고객들은 새로운 것, 저렴한 것을 산다. 굳이 기존에 사용하던 제품을 고수하지는 않는다. 브랜드 충성도가 낮다는 의미이다.
3. 포지셔닝
: 이미지에 따른 차별화, 감각적 차별화
E-life는 ‘자연에서 태어난’ 제품이다.
E-life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현명한’, ‘스마트한’, ‘세련된’ 사람이다.
E-life는 ‘품질이 좋은’, ‘믿을 수 있는’ 제품이다.
기본적으로 품질이 좋다. 기존 제품들과 다르게 화학 첨가물이 전혀 들어가지 않은 자연적인 제품이고 믿을만하다. 게다가 세척력도 괜찮다. 이런 제품 성능에 대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고객이 누리고 싶은 상징적인 편익-세련됨, 현명함, 스마트함- 을 주된 컨셉으로 포지셔닝 할 것이다.
그리고 중저가 제품이므로 가격에서 형성되는 이미지를 기준으로 고가 제품과 경쟁할 때 불리해진다. 따라서 가격을 중점적으로 부각시키지는 않을 것이다.
Ⅳ.마케팅 믹스 전략(4P)
1. Product <제품>
1) 유형적 요소
- 제품군 : 주방세제 / 세탁세제, 섬유유연제 / 비누
- 세련된 디자인의 용기
: 다음 사진은 제품 용기의 예시이다. 장식품 같다는 생각이 들 만큼, 세련된 이미지를 제품 외관에 반영하여 만든다.
2) 무형적 요소
- 상징적 편익
건강하고 좋은 품질, 트렌드(웰빙 열풍)에 빠르게 합류하는 선두주자의 이미지, 현명한, 똑똑한, 세련된 이미지를 제공
- 기존 가루세제처럼 세탁 후 옷에 묻어있지 않으며, 그로 인한 피부병 등의 질병 역시 유발하지 않음. 높은 세척력과 인체에 무해함으로 인해 고객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 모두에게 안전함을 제공.
2. Price <가격>
- E-LIFE의 제품들은 소득계층에 상관없이 모두가 웰빙 트랜드에 쉽게 편승할 수 있도록 고가의 제품이 아닌 중저가의 가격의 제품이다. 따라서 고객들이 제품을 구매함에 있어서 소비의 부담이 적고 그만큼 소비의 선택 폭이 넓어진다.
3. Promotion <촉진>
- E-LIFE의 제품은 친환경 제품 시장의 새로운 진입자로서 기존 시장에 자리 잡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촉진 전략이 필요한 상태이다.
- 광고 : 지면광고를 통해 제품의 이미지와 특징을 시각적으로 전달.
(자사의 제품이 자연과 하나 된 친환경적인 제품이라는 것을 지면광고를 통해 고객들에게 전달, 매장 주변에 많은 활용을 통해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영상매체 : 드라마나 영화 등에서 소품으로 협찬 제공하여 간접적으로 자사의 제품을 광고할 수 있다. 또한 TV CF나, 많은 소비자들의 시청시간대인 드라마 시청시간의 전 후 광고를 통해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 판촉행사 : 현재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EM에 대한 홍보 및 자사 제품을 직접 사용해볼 수 있도록 샘플화하여서 무료로 배포하는 행사
- 제품의 세트화 판매 : EM을 활용한 자사의 제품을 소비자들이 한 번의 선택으로 많은 부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품목별로 세트화하여 판매.
따라서 세트로 된 제품을 다량으로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할인 된 가격으로 여러 종류의 제품을 구매 할 수 있고 자사는 제품의 세트화를 통한 판매량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4. Place <유통>
슈퍼마켓이나 대형 유통마켓을 통한 유통이 전체 유통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일반 유통 경로가 가장 중요한 경로이다.
- SPA형 유통을 통한 저가의 고품질 상품 제공.
- 대형매장을 주요 상권으로 오픈하여 매장 내 독자적인 위치 확보.
- 시각적 효과(선명한 초록색과 흰색)를 활용하여 매장 인테리어를 꾸며, 소비자에게 편안함을 주는 동시에 제품의 깨끗한 이미지 어필.
- 부담 없는 매장 분위기로 고객이 매장에 들어와서 제품을 둘러보는 과정에 누구도 개입하지 않으며, 단지 구매를 결정하고 계산할 때에만 카운터에서 직원이 맞이한다.
제품 진열은 기존 마트처럼 대량으로 쌓아두는 것이 아니라 화장품 가게처럼 각 제품마다 공간을 여유 있게 사용하고 충분이 살펴볼 수 있게 한다.
* SPA(Special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 ‘SPA’란 기획, 생산, 판매 등을 한 회사에서 모두 담당하고, 생산된 물건을 그 회사의 자체 브랜드 이름으로 판매하는 소매점. 좋은 품질의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도록 중간상인 단계를 없앤 제조업과 유통업의 통합체를 뜻한다.
- 대표적인 SPA형 유통 형대 - 일본의 ‘유니클로’
Ⅴ.전망 및 한계점
1) 친환경제품 구매추세
* 통계에 사용된 제품군
- 비누(세탁용 비누, 화장용 비누, 주방용 비누)
- 세제 및 세정제(세탁용 세제, 주방용 세제, 식기세척기용 세제, 다목적 세정제)
2) E-life의 제품 확장
- 세제 뿐만 아니라 바디샤워, 폼클랜징, 화장품, 유기농 비료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 확장.
3) 예상 점유율
4) 국내 대형 할인매장 점포수 및 E-life 목표 매장 수
- 이마트 : 전국 122개
- 홈플러스 : 전국 115개
* e-life 예상 매장 수
초창기에 수도권 지역 이마트 중심으로 ‘20개’ 의 매장 오픈.(2010년 1.1)
-> 그 뒤 2012년도 4분기 목표 매장 수 ‘150개’ (이마트 80개, 홈플러스 70개)
5) 한계점
- SPA의 경우 기획, 생산, 판매 등을 한 회사에서 모두 담당하기 때문에 초기 투자비용이 막대할 것으로 예상.
- 브랜드 인지도 확보를 통해 넓은 시장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지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지 못 할 경우 막대한 손실 우려.
- 효능이 기존 제품들보다 좋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했기에 기술적인 부문에 문제 가능성 존재.
  • 가격3,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5.10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50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