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문화사 노트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문화사 노트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동양과 동양문화

2. 중국문명의 시작과 전개

3. 중국 최초의 제국 (진,한)

4. 위․진․남북조 시대(북방민족의 흥기와 남북조시대)

5. 수․당 제국의 번영

6. 이슬람 문화와 내륙 아시아 사회

7. 송대 사회의 발전과 북방민족의 성장

8. 몽골족의 흥기(元)

9. 한족 제국의 부흥(明)

본문내용

단절로 인한 해상무역의 복귀를 위해서
2. 장거정의 개혁(明代 중기사람)
1. 배경
1. 국내
1) 태조때의 향촌조직인 이갑제(里甲制)가 붕괴되고 향신(신사)세력이 지방사회주도층으로 등장하여 군주권이약화됨.
향신세력 : 명대 교육제도의 산물로서, 명대에는 이전왕조와는 달리 입학자격을 과거응시자격으로 하는 교육제도와 과거제도를 통합하였다. 이에 따라 대량의 준관료 지식인층이 발생하였는데 이들을 향신이라 한다.
2) 신종황제 등극 : 대학사였던 장거정의 개혁이 가능해짐.(장거정은 신종황제의 가정교사 즉 대학사였는데 신종황제가 어린 나이에 황제의 자리에 올라 신종황제 대신 정사를 돌보았다.)
2. 국외
북로남왜(北虜南倭 ; 북으로는 몽골의 군사적 압박과 남으로는 왜구의 약탈이 있었음)로 인해 막대한 군사비가 지출되고 이로 인해 국가재정이 파탄에 이름.
2. 내용
1. 국가재정 회복
1. 몽골과의 화약(和約) → 군사비가 삭감됨.
2. 일조편법 실시 : 재정지출을 억제하고 복잡한 징세제도를 단일화하는 일조편법을 실시하였는데, 일조편법은 모든 세금을 은으로 받는 것을 말한다.
2. 황제권 강화
군주권을 강화하고 행정능률을 제고시키기 위해 고성법(考成法)을 실시함.
3. 결과
1. 과감한 개혁으로 인해 경제가 회복됨.
2. 개혁이 향신계층의 이익과 대치되어 향신계층의 반발을 받음.
3. 장거정의 독선적인 개혁이 지식인(東林波 ; 동림파)들에게 큰 비판을 받음.
4. 장거정의 사망 후 신종이 집정하면서 동림파 재야세력과, 향신층, 환관의 반대로 장거정의 개혁은 무위로 끝남.
4. 의의
명초의 이갑제 사회가 붕괴된 후 쇠퇴해가는 명대의 경제를 회복시킨 개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향신, 동림파, 환관의 반대로 무효로 끝나버렸다.
3. 명(明)의 멸망
1. 원인
1. 당쟁으로 인해 치안질서가 붕괴됨.
2. 무리한 대규모 외정 : 몽골의 반란진압과 한반도에 출병.
3. 환관을 이용한 세금징수로 인해 反환관운동을 야기시킴.
4. 이자성의 농민반란 → 명멸망의 결정적인 계기
만주지방에 후금(淸)이 건국되자 명에서는 정예군을 파견하여 후금과 대치상태에 있도록 하였다. 이 때 농민 반란이 발생하고 이자성이 북경을 점령한 후, 후금과 대치상태에 있던 정예군의 사령관 ‘오삼계’의 가족을 몰살시키자 오삼계는 후금에 투항, 후금군이 명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하였다.
2. 명대의 환관
명대의 환관은 그 이전시대와는 달리 환관에게 지방 감찰관등과 같은 직무를 주어 환관의 피해가 전국적으로 확대가 되었다. 그러나 환관이 황제의 재위 계승에는 간여하지 못했는데, 이것은 황제의 권력이 제도적으로 이미 보장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4. 명말의 경제
1. 명말 청초의 경제 → 자본주의 맹아론 출현
자본주의 맹아론 출현 이유 : 명말 청초 시대에는 상곱이 발전하여 상업자본이 축적되었다. 모택동은 마르크스의 공산주의 이론(원시공산사회→고대노예사회→중세봉건사회→근세자본→현대공산사회)을 중국에 적용하려고 자본주의 맹아론을 만들어낸 것이다. 그러나 자본주의 맹아론은 자본주의 체제가 등장하지 않은 이유를 밝히지 못했는데 이것은 이 시대의 자본주의가 국가가 허용하는 범위안에서의 자본주의였기 때문이다.
2. 명말 청초 당시의 사회변동과 경제
1. 인구이동 : 이갑제가 해체되자 무전농민이 호남호북성, 사천성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이에따라 호남호북성이 중국최대의 미곡생산지로 바뀌었고, 양자강 하류지방(송대의 미곡생산지)는 면업과 견직업 지역으로 변모하였다.
2. 면업, 견직업의 발달
1) 농민 : 농민의 입장에서 볼 때 면업과 견직업은 부가농업이었다.
2) 상인 : 상인은 면직과 견직상업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하였다.
  • 가격9,66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10.05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72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