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라(ZARA)의 성공요인과 한국 진출 방안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ZARA 소개

2. 환경 분석
 (1) 외부 환경 분석
 (2) 산업 환경 분석
 (3) 소비자 분석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ZARA 성공요인
 (1) 브랜드
 (2) 유통
 (3) 마케팅

5. ZARA 문제점

6. ZARA 한국 진출 방안
 (1) 환불정책 개선
 (2) RFID 도입
 (3) 마케팅 전략
 (4) 디자인팀 구성

7. 최종 평가

본문내용

지에 디자인 팀을 개설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ZARA는 자사 혹은 합병 자본에 의해 운영되는 각국 점포는 모두 POS시스템에 의해 링크되어 있으므로 아시아 디자인 팀에서는 우선, 본사와 긴밀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고 POS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총괄할 수 있는 ZARA 본사의 직원들이 중국 현지 디자인 팀의 관리자로서 선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본사에서 각 매장에 신상품 할당해주고 관리함으로써 매장과 본사의 빠르고 정확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매장은 각 지역 소비자들의 패션 수요에 대한 정보 제공할 수 있으며 본사는 그에 맞는 신속한 생산, 운송함으로써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또한 ZARA는 트렌드를 컬렉션에 반영해서 스피디하게 상품을 공급하는 것은 물론 매장을 항상 신선하게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컬렉션을 자주 공급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그 트렌드의 원천은 디자이너 컬렉션을 모방하거나 변형하는 것이다. 따라서 디자이너의 컬렉션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아시아 디자인 팀에는 롯데 등 합작 기업이나 다른 현지 기업의 도움을 받아 한국인이나 중국인으로 아시아 시장의 현재 트렌드를 면밀히 조사할 수 있는 현지 조사원과 디자이너를 선발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디자이너와 조사원으로 구성된 디자인 팀은 우선, 그룹을 두 부류로 나누고 한 그룹은 매 시즌이 시작할 때마다 그 시즌에 출시될 제품들의 기준으로 쓰여 질 디자인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반면에 다른 그룹의 구성원들은 동대문, 명동과 같은 쇼핑거리와 목표로 삼고 있는 소비자들이 많이 오가는 유흥거리, 명소 등을 누비며 최신 트렌드를 구상한다.
그리고 디자인 팀에서는 현지 매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매장매니저를 둘 수 있다. 현지 매장 매니저들은 매출 통계를 중앙 창고에 있는 제품 입수 가능성과 비교하여 거기에 알맞은 수량을 주문할 수 있다. 또한 현지 시장의 소비자의 구매 성향과 패션 트렌드를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새로운 구상을 할 수 있으며, 현지 시장 상황에 맞는 생산량과 주문량을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렇게 현지에서 매장을 바탕으로 생산량 주문량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면 Inditex의 북경 구매 센터로부터 실크와 마를 수입하는 재료팀에도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공급업체들과 미리 계약을 하게 함으로써 마지막 순간에도 언제든지 필요한 양의 제품들을 생산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추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7. 최종 평가
여러 국적, 다양한 취향을 가진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는 ZARA는 'SPA' 형 기업이다. 'SPA'란 유통의 모든 단계를 통합한 제품을 자사 브랜드 이름으로 판매하는 소매점으로, 좋은 품질의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도록 중간 상인을 제거한 제조업과 유통업이 통합된 형태를 말한다. 최근에는 업체의 형태나 구조가 다양한 방법으로 혼합되면서 복잡해 진 유통 환경으로 정통한 SPA의 형태를 갖춘 경우는 거의 사라지고 전반적으로 포함하는 범위가 매우 넓어졌다. ZARA가 그 전까지의 SPA형 브랜드와 차별화 되는 점은 최신 유행 스타일을 발 빠르게 제공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많은 디자인이 유명 디자이너 브랜드의 아이템을 베끼는 듯, 하지만 그보다 더 많은 스타일을 제시해 선택의 폭을 넓힌 것이 소비자들에게 많이 어필하였다. 이 전략은 소수에게 제한되었던 고가의 디자이너 브랜드의 스타일이 패션 잡지나 유명 스타를 통해 대중들에게 지속적으로 소개되면서, 이러한 아이템을 원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는 추세와도 맞아 떨어지는 것이었다. 여기에 신속한 아이템 전환율이 더해져 ZARA의 성공에 가속도를 붙였다. 이들을 '패스트 패션(fast-fashion)' 또는 '디스포저블 패션(disposable fashion)'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업계 입장에서는 수시로 주력 디자인을 바꿀 수 있고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싼 값에 최신 유행 아이템을 구입하므로 빨리 싫증이 나더라도 버리는데 죄의식을 느끼지 않는다는 점을 빗댄 것인데, 매 시즌 새로 유행하는 옷을 구입하기엔 부담을 느꼈던 소비자들은 한 시즌 입고 버려도 그다지 아깝지 않은 가격대의 '자라(ZARA)'나 'H&M'에 기꺼이 지갑을 열었던 것이다.
국내에 처음 소개된 해외 SPA형 브랜드는 스페인의 망고(MNG)인데, 국내에는 2001년 첫 선을 보였으나 처음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가 유럽풍의 감성 캐주얼 스타일이 유행하면서 함께 상승세를 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실제 매출이 자체 직매장보다 백화점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어 SPA형의 특징을 잘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SPA형 브랜드마저 강력한 유통망인 백화점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 패션계에서 백화점의 역할은 너무나 거대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유통 구조에서 정통적인 SPA형 브랜드가 성공하기란 참 어려운 일이다. 수많은 패션 잡지와 활발한 스타마케팅에 의해 고급스럽고 스타일리쉬한 테이스트를 갖게 된 국내 소비자들에게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 트렌드를 쫓는 것은 경제적인 면에서 매우 버거운 일이다. 이러한 국내 소비자들에게 저렴한 가격에 품질 좋은 최신 유행 아이템을 쾌적한 쇼핑 환경에서 마음껏 고를 수 있는 ZARA와 같은 브랜드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ZARA 고유의 브랜드를 갖춘 제품의 개발과 출시에도 투자가 필요하며, 온라인 과 카달로그 등을 통해 고유의 이미지 구축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확고히 하고 브랜드 파워를 가질 필요성을 바탕으로 국내에서의 입지를 다져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www.zara.com
www.inditex.com
www.apparelnews.co.kr
www.fashionchannel.co.kr
www.fastretailing.com
www.kaia.or.kr
www.qrsc.or.kr
www.seri.org
www.lgeri.com
www.fnnews.com
www.etoday.co.kr
www.dt.co.kr
www.hankyung.com
www.munhwa.com
www.mk.co.kr
www.edaily.co.kr
  • 가격2,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06.04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13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