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10년후한반도의모습

주제선택이유
사회ㆍ문화적특성
경제적특성

2.10년후나의모습

나를위한노력
10년후나의모습

본문내용

기보단 도전하는 내가 될 것이다.
첨부 #1
<대학생 10명중 8명 `통일\' 원해>
대학생들은 10명 가운데 8명꼴로 통일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수석부의장 이재정)는 여론조사기관인 ㈜메트릭스에 의뢰, 지난달 10~20일 전국 대학생 1천31명을 대상으로 `2006년도 대학생 통일의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84.9%가 통일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8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빠른 시일내에 통일이 이뤄져야 한다\'는 응답자는 14.3%, `점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응답자는 70.6%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북핵 문제와 관련, 대학생들의 76.9%가 `북한의 핵 보유가 우리나라에 위협적\'이라고 응답한 반면, `위협적이지 않다\'는 응답자는 23.1에 불과했다.
북핵 문제 해결 방안으로는 `6자회담 등 적극적인 대화\'를 꼽은 응답자가 53.9%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경제봉쇄와 협상병행(27%), 의도적인 방치(10.2%), 경제봉쇄(5.9%), 무력제재(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추진중인 대북지원사업에 대해선 `통일을 염두에 둔 대북투자\'(37.4%), `지원효과가 없는 퍼주기\'(25.5%), `평화유지를 위해 지출해야 하는 평화비용\'(18.9%), `북한 주민을 위한 인도적 투자\'(18.1%)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이와 함께 오는 27일로 예정돼 있는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의 방북에 대해선 60.2%가 남북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했다.
이밖에 `북한 주민과 결혼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남학생의 61.9%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여학생은 31.4%만이 긍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고 민주평통측은 밝혔다.
북한이 우리에게 어떠한 대상인지를 묻는 질문에 대하여는 협력적인 대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4.2%, 위협적인 대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31%였다.
대북 경제지원과 화해협력 정책이 북한의 변화와 한반도 평화에 기여를 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기여를 했다는 대답(51.7%)이 기여를 하지 못했다는 대답(39.6%)보다 높았다. 올해 남북간 화해, 협력 분위기 조성으로 소위 \'햇볕정책\'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확산된 것으로 분석된다.
남북통일에 가장 저해가 되는 나라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미국(50.9%), 북한(22.5%), 일본(12.0%), 중국(8.9%) 순으로 나타났다.
  • 가격4,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9.22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79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