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영국 밀턴케인즈/도크랜드(Dockland) - 도시재생,도시재생사례,해외도시재생사례,도크랜드,도클랜드,영국도시재생,밀턴케인즈,영국신도시개발,도시개발사례,외국도시개발사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밀턴케인즈 19
1. 조사배경 3
2. 조사 목적 3
가. 국가개관 4
나. 기 후 5
다. 사회․ 문화 5
가. 개 요 6
나. 개발배경 및 목적 6
다. 일반사항 및 도시개발의 특징 7
라. 밀턴케인즈의 연도별 개발현황 14
마. 성공요인 및 문제점 17
바. 시사점 17

■ 도클랜드(Dockland) 19
가.개 요 19
나. 신도시 특징 19
다. 신도시 기본개념 개발과정 20
라. 신도시 기본계획 21
마. 쇠퇴하는 지역에 새 생명을, 런던 도클랜드 25
바. 신도시 개발의 표본 28
사.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29

본문내용

국제적인 상업도시로 거듭나게 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방안이라고 판단한데 따른 것이다.
- 이를 위해 각종 민자유인책을 만들어 기업들에게 제시했다. 우선 중심업무 및 상업지역으로 설정된 도클랜드 아일오브도그(Isle of Dogs)내 카나리워프 일대의 193ha(57만 9천평)를 투자지구(Enterprise Zone)로 정해 각종 혜택을 주었다. 이 지역에서 땅을 구입해 빌딩 등을 건설할 경우 건축관련 세금을 감면하여 건축비용을 줄여 주었고, 까다로운 건축허가절차를 간소화해 쉽게 건축물을 지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특히 이 곳에 법인을 세워 기업활동을 할 경우에는 10년간(1982-1992년) 일종의 지방세인 사업세를 면제하는 우대조치를 취했다.
- 그 결과 NCCABB 등 스웨던 업체를 비롯, 일본의 KDD 노무라연구소, 미국의 모건 텍사코 스테이트스트리트은행, 덴마크의 이세프 등이 개발에 참여했다. 또 리더스다이제스트 유럽본부 버클리은행 시티은행 등도 새로 진출했다. “지금까지 스웨던기업이 이 곳에 약 16억 파운드를 투자한 것을 비롯하여, 일본 기업이 남항개발 등에 5억 파운드, 쿠웨이트가 런던브리지시티 개발 등에 2억 파운드 등을 투자했고, 캐나다미국프랑스스위스핀라드기업 등의 진출이 줄을 잇고 있다”고 피터터릭 LDDC 기획담당이사는 설명했다.
- 또한 네덜란드와 덴마크는 특히 주택건설에 중점적으로 참여했고, 말레이시아와 중국 등의 기업도 이 곳에 유럽기지 설립을 추진 중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이 같은 기업들의 진출이 일자리를 늘리고 재정을 확충시킴으로써 도시의 자족기능을 활성시키고 있음은 물론이다.
사.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 영국은 근대적 도시기능에 부응하는 새로운 지역공동체건설문제가 일찍부터 대두되었고, 하워드(Ebemezer Howard) 등의 선각자들에 의해 이론과 실험이 활발히 전개되어 왔다. 그리고 많은 영국의 도시개발 사례들 중, 도시문제를 ‘삶의 질을 향상하는 차원에서 1980년대 이후 지속적인 첨단기술의 지원을 통해 쇠퇴한 옛 지역을 재구성한런던 도클랜드(London Docklands)를 방문하게 되었다.
- 이 곳은 전통적인 영국의 도시개발개념에서 출발하고 있다. 즉 모도시(母都市)에 의존적인위성도시나베드타운(Bed Town)과는 근본성격이 다른, 생산유통소비기능을 모두 갖춘 자족도시로 개발되었다는 것이다. 도클랜드는 기존 런던의 도심기능을 분산수용하기 위해 상업과 금융의 중심지로서 계획되었다. 따라서 쾌적한 환경에 신축한 대형건물들이 밀도 있게 들어선 도클랜드 중심지역은 기존의 런던거리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특히 커너리 워프(Canary Wharf)지역은 엄청난 자본과 기술이 집약되어 건설된 영국의 신중심지이다.
- 개발의 유연성을 기본취지로 삼은 만큼 도클랜드에는 다양한 주택이 민간자본에 의해 자유롭게 건설되었다. 이 단지의 주택들은 언뜻 보면 저층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공동주택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지식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유지되는 소규모의 오피스와 주거가 결합된 주상복합단지이다. 산업구조가 갈수록 경량의 고부가가치 지식산업으로 이동해 가는 추세를 보면, 이러한 저층 고밀형 주상복합건물도 충분한 업무시설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 도클랜드의 교통을 논함에 있어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경전철(DLR, Docklands Light Railway)이다. 1982년부터 총연장 7.5마일의 새로운 경전철 2개 노선이 건설되었고, Tower Hill에서 Isle of Dogs에 이르는 노선과 Poplar에서 Stratford에 이르는 노선의 건설이 각각 1984년과 1985년에 착수됨으로써 경전철은 명실공히 도클랜드의 가장 중요한 대중교통수단이 되었다.
- 미래에 대한 예측을 바탕으로 한 도시개발 도클랜드는 나름대로 사연과 매력을 지닌 곳이다. 도클랜드는 구도심의 재개발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접근방법이나 개발과정이 다른 지역과는 다를 수 밖에 없었다. 실제로 이들이 얼마나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여기까지 왔는지를 알고 나면 하나의 지역을 제대로 재구성하는 것이 얼마나 힘들고 중요한 일인지 쉽게 깨닫게 된다. 한편 관주도의 일사천리 개발에 익숙한 우리에게는 해외투자를 비롯한 민간자본의 참여 가능성을 열어 주고, 갈등과 위기의 순간들을 스스로 헤치며 도달한 이들의 개발성과는 낯선 남의 이야기로 느껴졌던 것도 사실이다.
- 우리가 이 지역에서 느낄 수 있었던 것은 미래에 대한 예측을 바탕으로 한 지속가능한 개발과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들기 위한 진지한 노력이 보인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두 지역 모두 도시개발 자체를 관광상품화하여 외부에 적극적으로 알리고 자랑거리로 가꾸어 나아가고 있다
유럽의 금융허브로 발전한 Canary Wharf 지역 대규모 빌딩들
3. 영 국
London Eye
도크랜드의 현대식 건물
테임즈강 전경 in London, U.K.
런던시내의 지하철역
Tobaco Dock in dockland
금융허브빌딩들(1)
in Canary Warf, Docklands
금융허브빌딩들(2)
in Canary Warf, Docklands
Docklands Light Railway(DLR)
-Isles of Docks
Canary Wharf Station
Canary Wharf지역 안내표지판
middle dock의 한부분
- Isles of Docks 지구
Milton Keynes 진입부의 주택
Milton Keynes 중심상업지구
(CMK: Central Milton Keynes)
CMK 지역 도로경관
CMK 도로중앙의 녹지지대
보행통로 in CMK
CMK 상업건축물내부 안내판
CMK 상업시설내부 통로
CMK 보행통로의 경사로
Milton Keynes는 자동차교통 중심으로 교통체계를 구축하고 보행동선과 차량동선을 입체적으로 분리
입체적으로 보행과 차량통행을 분리한 사례-CMK 지역
Milton Keynes 전경
Milton Keynes내 업무지역
Milton Keynes내 round-about
Milton Keynes토지이용계획도
Milton Keynes내 인공호수
  • 가격3,3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12.07.16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88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