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에 대한 학자들의 주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가. Taylor과 Roberts 모델(1985년)
  (1) 프로그램 개발 및 조정모델-후원자 중심 모델
  (2) 계획모델-후원자 중심 모델에 가까움
  (3) 지역사회연계모델(Community Liaison)
  (4) 지역사회개발모델(Community Development) - 클라이언트 중심 모델
  (5) 정치적 권력강화모델(Political Empowerment)
 나. Weil 과 Gamble 모델(1990년대 초반)
  (1) 근린지역사회조직모델
  (2) 기능적 지역사회조직모델
  (3) 지역사회의 사회경제개발모델
  (4) 사회계획모델
  (5) 프로그램 개발과 지역사회 연계
  (6) 정치사회행동모델
  (7) 연합모델
  (8) 사회운동모델
 다. Popple 모델
  (1) 지역사회보호모델(Commnity Care Model)
  (2) 지역사회조직모델(Community Organization Model)
  (3) 지역사회개발모델(Community Development Model)
  (4) 사회/지역계획모델(Social/community Planning Model)
  (5) 지역사회교육모델(Community Education Model)
  (6) 지역사회행동모델(Community Action Model)
  (7) 여성주의적 지역사회사업모델(Feminist Community Work Model)
  (8)인종차별철폐 지역사회사업모델
3.결 론

본문내용

적 지역사회사업모델(Feminist Community Work Model)
지역사회실천에 대한 페미니즘의 적용이라는 특징이 있으며 여성 불평등의 사회적요인에 대한 집합적 대응을 통해 여성 복지를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사회복지사 역할은 행동가, 조력자그리고 촉진자등이다.
(8)인종차별철폐 지역사회사업모델
인종차별에 저항하거나 그들의 권리보호를 위해 상호원조하고 조직화하는데 초점을 두며 교육, 주택, 건강, 고용 등의 영역에서 차별을 시정한다. 사회복지사 역할은 행동가, 자원봉사자이다.
3.결 론
이상와 같이 여러 학자들간의 지역사회 복지 실천 모델들의 살펴본 결과, 여러 모델들의 장점과 한계점을 고려해야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특히, 단독으로 지역사회조직활동에 활용될 수 있지만 다양한 지역사회의 문제와 상황은 특정한 한 가지 모델에 적용에 나가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여러 가지 모델을 통합하는 것은 어렵긴 하지만 다양한 활용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지역사화복지 실첨 모델들은 지역사회집단, 조직과 제도 그리고 지역사회구성원 간의 관계 및 상호작용의 행동패턴을 변화시키는 실천기술의 적용이라 할 수 있으며 조직과 지역사회에서 사회변화를 위한 전문적이고 직접적인 개입을 의미하는 거시적 사회복지실천 활동의 일부라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거시적 활동은 지역사회주민의 회생 및 심리사회적 손상회복을 강조함으로써 상담, 임상치료 등 미시적인 개입과 관련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지역사회복지실천이란 반드시 거시적 접근의 실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회복지사가 지역사회주민의 삶고 기능을 높이기 위해 지역사회자원의 개발, 연결, 관리는 물론 클라이언트가 사회적 환경을 활용하도록 도움을 제공하는 것처럼 미시적 지역사회조직가, 계획가, 사회행동가 등의 거시적 사회복지사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서비스 제공자 혹은 임상사회복지사도 지역사회복지실천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함을 알게 되었다.
IV. 참고문헌
1. 최옥채(2010),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2. 천규석(2007), <진정한 복지는 자급의 삶이다>, 녹색평론
3. 송기숙(2005),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화남출판사
4. 김진홍. 2002. <두레공동체의 정신과 비전> 두레시대
5. 김진홍. 2006. <새벽을 깨우리로다> 홍성사
6. 두레공동체운동 홈페이지 http://www.doorae.or.kr/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7.25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96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