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육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학 교육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대학 교육의 현실과 문제점
  1) 기초교육
  2) 거대한 취업학원인 대학
  3) 실무인재 양성의 미흡함
  4) 대학 재정구조의 약화
  5) 교수고용제도
 2.대응방안
  1)학교의 측면에서
  2)교수의 측면에서
  3)학생의 측면에서
  4)사회적 측면에서
  5)실사례

III. 결론

본문내용

실무강화 교육을 전개하는 것이다. 또한 학술 포럼 및 지역별 워크샵을 통해 창의적 공학 교육 프로그램 과정의 확산을 유도하고 있고 설계 기술정보, 제품개발에 필요한 학습자료 등의 D/B구축을 통해 창의적 공학교육을 지원하는 정보기반형 공학교육환경 구축에도 주력하고 있다. 2009년 서울산업대를 비롯 20여개 대학에서 정규교과목으로 창의적 공학교과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46개대학 1,800명에 달하는 공과대학생들이 창의적 종합설계 과제에 참여하고 있으며, 올해 2010년도는 창의적 공학교육 참여대학을 전국 30여개 대학으로 확대 시행해 나갈 계획에 있다.
두 번째로는 현장실습 학점 인정 대학의 확산의 방법이 있다. 산업계와 학교등의 교육기관간 보완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론적 내용을 산업현장에서 연습 및 훈련함으로써 학생의 실무수행능력을 개발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실례로 한밭대학교에서는 1998년부터 “지방대 특성화 사업”의 하나로 “현장 실습제 학기사업”을 도입하였고, 이후 이 교육사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과 전공에 대한 이해도가 깊어졌으며, 그 결과 전공분야의 취업률도 월등히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사업대비 기대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는 CEO 공학교육의 확산을 들 수 있다. 산업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재단이 공동으로 2008년부터 전국대학에 전문지식과 현장 실무경험을 갖춘 이공계 출신 기업 경영인들의 정규강좌를 개설과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2009년도 성과를 살펴보면 전국 64개 대학에서 123개 전공교양 강의 및 분야별 전공 기술강의를 개최하여 총 10,500명의 공과대학 학생들이 본 강의를 수강하였고 인턴쉽 협약체결, 취업 연계, 현장실습 및 견학 등 산학협동 프로그램의 활성화 등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마지막으로는 신 산학 협력체제로의 이행을 들 수 있다. 한양대학교는 교내에 학연산 클러스터 사업단을 설치하고,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연구센터를 유치했다. 기술개발과 관련해 생산기술연구원은 일단계로 현재 첨단부품연구단과 허브로봇센터 등 2개의 연구센터를 한양대에 입주시켰으며 앞으로 2만평 부지에 건평 6300평의 연구동을 지어 280명의 박사급 연구원들을 투입해 연구개발에 나설 예정이며, 인력양성을 위해 한양대는 취업을 원하는 학생에게는 현장중심형 교육을 연구소로 가려는 학생에게는 연구개발 중심형 교육을 창업하려는 학생에게는 창업형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경영마인드, 기업과 디자인 등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클러스터 구축에 따라 사회와 산업계, 국가가 요규하는 맞춤형 실용인재 육성기관으로 새롭게 거듭나겠다는 전망이다. 조환익, 「특집 : 입학제도, 대학교육 및 산업체의 국제경쟁력 ; 공학교육 바뀌고 있다 (공학교육의 새바람)」 『공학교육, Vol.11, No.1』 (2010) : pp.19-22.
III. 결론
지금까지 현대 대학의 문제점과 그 대응방안에 대해서 얘기해 보았다.
대학교육에 대한 문제는 과거부터 있어왔다. 하지만 하위단계의 교육의 실패가 커지면서 그에 맞추어서 대학교육의 문제점이 하나 둘 커지기 시작했다. 과연 그럼 이 문제를 풀지 못한다면 어떻게 되는 거인가? 선진국들은 인재확보가 가장 핵심적인 미래전략이라는 인식하에 고급인력의 육성 확보를 위해 전력 투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분위기에 편승을 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저러한 일들이 효과적이라 생각한다면 지금 당장 대학교육의 문제점을 해소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대학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교육이 제대로 서지 않는 이상 우리나라의 미래는 밝다 말할 수 없다. 그렇기에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그 대응방안에 대해서는 꾸준한 연구와 사회의 인식, 그리고 그 대응방안이 이론에서 그치지 않는 행동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점들이 수립이 된다면 대학교육의 문제점도 점차 사라지지 않을까 작은 기대를 품어본다.
●참고 자료
◆논문
◎ 김종서, 「특집 / 대학교육개혁과 민주주의 : 다시 한번 교수계약제에 대하여」『민주법학, Vol.21, No.0』 (2008) : pp.49-85.
◎ 유용식, 「일본의 대학교육과정 개혁」『비교교육연구, Vol.12, No.2』 (2008) : pp.263-285.
◎ 박영진, 「논단 : 대학교육의 위기와 등록금 인상」『교육비평, Vol.11, No.0』 (2009) : pp.111-120.
◎ 박영진, 「대학교육의 현실과 새로운 대학 체제 구상」『교육비평, Vol.12, No.0』 (2009) : pp.60-85.
◎ 이성호, 「대학 교수와 교수방법」『2008 동계 워크샵 논문집, Vol.0, No.0』 (2009) : pp.27-42.
◎ 이태식, 배건, 임성영, 「시공관리 : 엔지니어링인력양성에 대한 엔지니어링활동주체의 만족도 조사 -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D, Vol.23, No.1』 (2009) : pp.79-88.
◎ 최병식, 「한국의 미술이론 관련 대학교육의 역사와 문제점」『조형교육 (통권21호)』 (2009) : pp.17-23.
◎ 정진상, 「국립대학 통합네트워크 구축방안」『교육비평, Vol.15, No.0』 (2010) : pp.118-141.
◎ 윤대희, 한경희, 「이런 대학 제도를 꿈꾼다, "선별" 시험을 넘어」『공학교육, Vol.11, No.1』 (2010) : pp.6-9.
◎ 박황호, 「이공계 교육 문제점 개선을 위한 제안 -현대기아자동차 입장에서-」『공학교육, Vol.11, No.1』 (2010) : pp.10-14.
◎ 이기태, 「국제 경쟁력 제고 관점에서 바라 본 한국교육의 나아갈 길」『공학교육, Vol.11, No.1』 (2010) : pp.15-18.
◎ 조환익, 「공학교육 바뀌고 있다 (공학교육의 새바람)」『공학교육, Vol.11, No.1』 (2010) : pp.19-23.
◆그외 기타
◎ jsmoon@yna.co.kr, 「한국 노사관계. 대학교육 60개국중 꼴찌」 『연합신문』, 2010.5.4.
◎ 성삼제, 「IMD 국가경쟁력평가의 문제점」 『한겨레신문』, 2010.5.9.
◎ 장희익 교수님과의 인터뷰 :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대안적 교육」.
  • 가격1,6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9.06
  • 저작시기201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61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