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말) ‘인간가치탐색’ (제6장 우리의 초상 : 나는 누구이고 우리는 누구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역시 여기서도 글의 핵심내용이 되는 것은 바로 ‘나 자신’이다.
마지막 안톤 체홉의 ‘개를 다니고 다니는 여자’에서도 개인의 감정과 사회의 규약 간에 대립이 나타난다. 우리의 사랑은 자유이나, 사회의 입장에서 보면 불륜으로 치부되는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지적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대립을 말하고 있다.
이상 살펴본 인간가치탐색의 여러 가지 꼭지들을 통해서 우리는 근대 이후 발견된 개인의 중요성과 우리가 현재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열쇠인 ‘개인’을 만나 보았다. 학창시절에 나도 민족과 애국주의라는 가치에 절대성을 부여했었다. 그러나 인생에서 정말로 중요한 가치는 ‘개인’이고 이 ‘개인’ 사회의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가가 애국주의나 민족주의를 뛰어넘는 인류라는 담론을 형성할 것이라고 믿는다.
이것이 바로 너스봄이 말했던 ‘세계시민의식’이다. 나와 다른 타자에 대해서 내가 나를 소중하게 여기듯이 타자를 나와 같이 여기는 마음이 세계시민의식의 핵심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크게는 우리는 대규모의 해외원조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세계의 전쟁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작게는 내 인생을 행복하게하고 내 주변의 가족들과, 지역주민들과 함께 사는 세계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나는 한 때 ‘개인’의 추구가 단순히 이기심으로 번지고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만들어 내서 삭막한 세계를 만들어 낸다고 생각했다. 개인과 사회는 양립할 수 없는 것이라고 여겼다. 따라서 남과 함께 간다는 의미에서 애국주의와 민족주의에 대해서 상당한 가치를 부여했다. 그러나 애국주의는 자국과 타국을 만들어 내고, 민족주의는 우리민족과 타민족을 만들어 낸다. 진정한 개인의 발견만이 진정한 집단의 발견이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한 학기 동안 ‘인간의 가치탐색’을 배우면서 평소에 가지고 있었던 고민인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위해 사는가?’, ‘어떤 가치를 추구하며 살 것인가?’에 대한 답에 조금 더 접근한 것 같다. 진정한 나를 찾는 과정, 데이비드 소로와 같은 한 개인으로 당당하게 사회의 불의와 맞설 수 있는 개인이 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 여러 가지 사상가들의 이야기를 짤막하게 겉핥기 한 수준에 불과하지만 나는 이번 수업을 통해 더 많은 책을 접하고 더 많은 사상을 접할 수 있는 기본을 만든 것 같아서 너무나 기쁘다. 이제 더 넓은 사상의 바다로 가는 내 배의 모든 준비를 마친 것 같다. 이제 닻을 올리자 ! 나를 찾아서 !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9.12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68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