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건축][도시건축 설계][도시주거건축][도시건축가][이슬람 도시건축구조][알도로시 도시건축]도시건축의 설계, 도시주거건축의 형성, 도시건축가의 역할, 이슬람의 도시건축구조, 알도로시의 도시건축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시건축][도시건축 설계][도시주거건축][도시건축가][이슬람 도시건축구조][알도로시 도시건축]도시건축의 설계, 도시주거건축의 형성, 도시건축가의 역할, 이슬람의 도시건축구조, 알도로시의 도시건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도시건축의 설계

Ⅱ. 도시주거건축의 형성

Ⅲ. 도시건축가의 역할

Ⅳ. 이슬람의 도시건축구조

Ⅴ. 알도로시의 도시건축
1. 도시는 전체고, 건축은 부분이다?
2. 도시는 2차원(평면적)이고, 건축은 3차원(입체적)이다?
3. 도시는 보편解고, 건축은 특수解다?
4. 도시는 계획이고, 건축은 설계이다?
5. 도시는 공적 활동이고, 건축은 사적 창조이다?
6. 도시는 과정이고, 건축은 결과이다?
7. 도시는 `도시문제`고, 건축은 `건축가 문제`이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족의 권위의 상징 외에도 밀교나 미신이 영향을 미친 성문의 문양도 많다고 하니, 성문은 이슬람 사회 전체를 지배하고 있었던 이슬람의 종교적 권위의 영향을 벗어난 일종의 치외법권적 성격을 가지는 공간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Ⅴ. 알도로시의 도시건축
1. 도시는 전체고, 건축은 부분이다?
\"도시는 크고, 건축은 작다. 건축이 모여 도시를 이룬다.\" 물리적인 측면에서만 봐도 도시는 건축보다 크다. 더욱이 도시는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성장하기 때문에 도시는 커져 간다. 그러나 도시는 건축물의 집합체 말고도 여러 가지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건축이 한 부분이 될 수는 있지만, 건축이 모여 도시가 되지는 않는다.
2. 도시는 2차원(평면적)이고, 건축은 3차원(입체적)이다?
\"도시는 땅과 길을 나누는 기술로 이루어지는, 그러니까 아무래도 지도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반면 건축은 높이가 있어 X-Y-Z 축이 있고, 부피가 있고, 입체감이 있다.\" 그러나 도시의 주거, 노동, 휴식이라는 주요 기능은 충분한 공간과 태양, 그리고 환기라는 절대적인 요구를 따르는 건축된 볼륨의 내부에서 전개된다. 이런 볼륨은 지면과 2차원에 의존할 뿐 아니라 특히 3차원, 즉 높이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차량을 조절하기 위한 고가 차도가 여기에 해당된다.
3. 도시는 보편解고, 건축은 특수解다?
\"도시는 누구에게나 어필하는 보편적 환경을 만드는 것이고, 건축은 하나의 땅에 대해 창조의 과정을 거쳐 그 땅에 합당한 하나의 특수한 해답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4. 도시는 계획이고, 건축은 설계이다?
\"도시는 합리적이고 분석적인 틀을 통해 목표와 그 구현수단을 분명히 한다는 점에서 계획이고, 건축은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든 하나의 가시적 결과물을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설계이다.\"
5. 도시는 공적 활동이고, 건축은 사적 창조이다?
\"도시는 많은 행위자를 엮어내는 기술이고, 따라서 공공영역에서 많은 행위들이 이루어지며, 건축은 한 개인이 창조성에 바탕으로 하여 그 무엇을 만들어 내는 사적인 행위다.\"
6. 도시는 과정이고, 건축은 결과이다?
\"도시를 만드는 데는 시간이 걸리고, 많은 행위들이 연루되는 일종의 과정이고, 건축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만들어 내고 행위자가 분명하며, 가시적인 대상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7. 도시는 `도시문제`고, 건축은 `건축가 문제`이다?
\"도시의 문제는 교통문제, 범죄 문제, 각종 시설문제, 오염문제.......이고, 건축의 문제는 창조자인 건축가의 문제이다.\"
참고문헌
신기철·허소영, 도시 설계에서 문화유산 보전 방법의 한 제안, 국토계획 제 36권 3호, 2001
이희수·이원삼 외, 이슬람, 청아출판사, 2001
이규민, 세계의 지속가능한 도시주거, 발언, 2004
안우진·정집문, 공간시퀸스로 살펴본 알도 로시 건축의 장소성 규명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6
최상철 외, 한국도시개발론, 일지사, 1981
Micha Bandini 외 5인, A+U 알도롯시, 문창당, 1989
  • 가격6,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9.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73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