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신화로 읽는 ≪박씨전≫- 단군신화와 박씨전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단군신화로 읽는 ≪박씨전≫- 단군신화와 박씨전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적강모티프
2) 변신모티프와 동굴모티프의 원형
3) 광명의 상징성
4) ‘3’의 원형적 고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었고, 또 박씨가 비루먹은 말을 300냥에 사게 하여 3년을 기른 후에 3만냥에 팔아서 시댁을 경제적으로 도운 것도 3과 관련이 있다. 이렇듯 ≪박씨전≫에서는 3과 관련된 것들이 많이 나오는데 ≪박씨전≫에 나오는 3은 모두 길한 수로 나온다. ≪단군신화≫에도 3이라는 수가 유독 많이 나오는데, 환인환웅환검의 3세대를 비롯하여 천계인간계동물계의 3, 풍백우사운사의 3, 37일의 3 등이 그러하다. ≪단군신화≫에 많이 등장하는 숫자 3의 생성은 단군이 전했다는 ≪천부경≫에 자세히 나타나 있는데, 3은 인간을 상징하는 수로서 무한한 우주로 확대, 확산되는 생성과 번영을 나타내 주는 수이다. 윤경수, ≪조선조 소설의 신화적 분석≫, 태학사, 1998, 572쪽.
이렇듯, ≪박씨전≫에 3이 유독 많이 등장하고, 길한 수로 등장하는 것으로 봐서 ≪박씨전≫에 나타난 3의 원형은 ≪단군신화≫에서 수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박씨전≫외에도 주몽신화를 비롯해 많은 고소설, 신화, 설화, 민담에 3이 많이 사용되는데, 3은 ≪단군신화≫에서 신성성을 내포하고 있고 길상의 상징으로 표현되었기 때문에 후대에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Ⅲ. 결론
지금까지 ≪박씨전≫이 ≪단군신화≫의 여러 모티프와 상징성을 어떻게 수용했으며 ≪단군신화≫와 ≪박씨전≫이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단군신화≫와 ≪박씨전≫의 관련성으로 적강모티프, 변신모티프와 동굴모티프, 광명의 상징성, ‘3’의 원형을 들었는데, 이것들은 ≪박씨전≫이 ≪단군신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밖에도 ≪박씨전≫ 속에 있는 다양한 상징들이 ≪박씨전≫이 ≪단군신화≫를 원형으로 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필자에게 ≪박씨전≫은 당시 남성중심의 사회 속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드높이는 작품이기에 같은 여자의 입장에서 다른 문학작품보다 더 애착이 가는 작품이었다. 그러나 작가미상의 작품이기에 작품 안에 많은 뜻이 담겨 있으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는데 보고서를 준비하면서 ≪박씨전≫이 문학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큼을 느꼈다.
모든 것의 태초가 되는 ≪단군신화≫는 ≪박씨전≫외에도 다른 고소설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지금까지도 작가들에게 많은 영감을 줄 것이다. 특히, ≪단군신화≫와 ≪박씨전≫은 많이 닮아 있으며, ≪단군신화≫가 쓰여진 시기와 ≪박씨전≫이 쓰여진 시기의 시기차가 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닮아 있는 작품을 쓴 우리 조상들이 한없이 대단한 존재로 느껴진다.
결론적으로, ≪박씨전≫은 ≪단군신화≫의 여러 원형들을 수용한 작품임을 밝히며 보고서를 마친다.
Ⅳ. 참고문헌
장재화, ≪낭군같은 남자들은 조금도 부럽지 않습니다≫, 나라말, 2006.
허균 외, ≪홍길동전, 전우치전, 박씨부인전≫, 보리, 2007.
윤경수, ≪조선조 소설의 신화적 분석≫, 태학사, 1998.
김수희, <≪박씨전≫의 환상성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강민, <≪박씨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네이버 블로그 http://tinybeauty.blog.me/10041272270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9.20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81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