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 마케팅사례분석과 마케팅 SWOT,STP,4P전략 제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M 마케팅사례분석과 마케팅 SWOT,STP,4P전략 제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선정 동기

Ⅱ. H&M은 무엇인가?
1. 회사소개
2. SPA브랜드란?
-SPA의 탄생동기

Ⅲ. 환경분석
1. 거시적 환경
①SPA브랜드의 국가 별 소비 성향
②달라진 선진국의 사회 인식
③한국 시장에서의 소비 형태와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
④윤리적 기업

2. 미시적 환경
①기업내부
②경영 이념
③제품 개발
④공급 업체
⑤생산 구매
⑥물류 및 분배
⑦Display

3. 문제점
①‘윤리적 기업‘으로서의 모순
②낮은 인지도
③사이즈 문제

Ⅳ. H&M SWOT분석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

Ⅴ. S-T-P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①경쟁사 분석
②경쟁사 SWOT분석
③Positioning Map

Ⅵ. 4P 전략
1. Product
① 의복에서부터 액서사리까지 판매
② Trendy를 중시
③ 유명디자이너를 통한 디자인
④ 피라미드식의 제품 구성
⑤ 짧은 신제품 개발 기간
2. Price
① ‘Fashion and quality at the best price’의 기업 좌우명
② 아웃소싱
3. Place
매장 분석
4. Promotion
① 광고전략
② AIDA이론 적용
③ 스타 연계 프로젝트, 이벤트 컬렉션
④ 전 세계 250여개 매장에서의 한정판매
⑤ 해외 진출 마케팅

본문내용

.3%, 잘 모르겠다는 답변이 30.3%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는 실제로 콜라보레이션 프로그램을 방영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어느 정도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 관한 프로모션을 제안해 보았다. >
매년 진행되는 H&M의 콜라보레이션은 이미 많은 매해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몇몇 특정인원을 제외하고는 모르는 사람이 많아서 매스티지의 메리트를 많이 누리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설문에서 조사된 바와 같이 높은 콜라보레이션의 관심도를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하는 과정을 담은 TV프로그램을 개설하여 매스티지의 특성을 살리고 사람들에게 인식을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H&M의 광고의 대한 필요성을 느끼는 대중의 설문을 받고 단순한 광고가 아닌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콜라보레이션 프로그램의 개설을 제안한다.
Ⅷ. 결론
H&M의 분석과 마케팅 제안의 목적은 H&M의 한국시장 진출의 현재 진행상황과 진출 전략을 분석하여 한국시장에 진출한 다른 SPA브랜드와의 비교를 통하여서 어떤 전략이 이 우위에 있고 또 현재 H&M이 다른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뒤쳐지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파악하여 한국시장 진출 성공을 기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 H&M은 한국시장에 먼저 진출한 다른 SPA브랜드에 비해서 성적표는 자랑스럽지 못한 상태이다. 이는 한국시장의 특수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휴대폰 분야의 노키아, 모토로라 유통업체의 까르푸, 월마트 컴퓨터의 델전자의 파나소식, GE를 통해서 한국시장의 특수성을 본다면 이들은 거대 글로벌 기업으로서 많은 성공을 보이고 있지만 한국시장에서는 진출 실패와 몇몇 기업은 정말 말도 못 할 정도의 참패를 겪은 기업들도 있다. 이들의 실패원인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이유 중에서 대다수의 이유는 인지도의 부재와 한국시장 특화전략의 부재이다. 이는 글로벌 기업들이 다른 국가의 성공을 토대로 너무 자신감에 한국시장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다른 국가의 성공했던 방법을 적용하고 만족스럽지 못한 성과에도 개선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면서 한국시장 진출에 실패하고 매각을 통해서 발을 뺀 기업들도 있다. 그러나 한국시장에 진출해 성공성과를 올리고 있는 SPA브랜드의 유니클로와 자라는 한국시장 특성을 고려한 현지화 전략보다 글로벌 접근법, 표준화 전략으로 한국시장을 공략하고 있지만, 이들 회사는 롯데쇼핑과 합작으로 글로벌 접근법에 대한 한국시장에서의 위험을 줄이고 유통망에서 한국시장에 알맞은 현지화를 적용하고 있다, 특히 유니클로의 경우 공격적인 프로모션과 많은 매장수를 통하여 다른 브랜드 보다 앞서고 있다. H&M은 이들 보다 후발 주자로서 인지도에서 많이 뒤처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H&M은 공격적인 프로모션보다 글로벌 접근법을 고수 하며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에 우리는 20대의 트랜드에 민감한 여성들에게 한국시장의 특수성을 고려한 4P전략을 제시하여 국내 진출한 타 글로벌 SPA브랜드들 보다 한국인의 입맛에 맞고 한국시장의 특수성을 접목시킨 마케팅을 고려하여 보다 공격적으로 현지화 전략을 펼치면서도 H&M의 개성을 잃어버리지 않으면 한국시장 진출 성공에 더욱더 단단한 반석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된다.
Ⅸ. 참고 문헌 및 출처
-중앙일보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275286&cloc=olink|article|default
-천종숙, 노윤지 (2007). “캐쥬얼 브랜드 상품 공급 특성의 관한연구 -spa브랜드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양희영 (2010). “현대 패션에 나타난 콜레보레이션(collaboration) 경향의 사회문화적 의미” 숙명여대 의류학과
-정훈실, 김영일 (2008). “패션산업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영역간의 콜레보레이션”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2010-12-13 아주경제
-경향신문 2010-12-14
-보스톤 코리아
-닛케이신문
-스웨덴 경제관련 자료 종합 보고자 : 스톡홀름 무역관 이수정
- CINCO DIAS, TNS Worldpanel 설문조사자료보고자 : 마드리드무역관 박정윤
-http://www.hm.com
-텍스헤럴드,2009
-최선형 외 (2005) ‘21세기 패션마케팅
-류문상 (2008) ‘패션바잉’
- http://blog.naver.com/hamsick?Redirect=Log&logNo=130095553536
-한태화 외(2010). “패스트패션의 전략적 특성과 패션 경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Youth Trends 2010.hwp
-정혜영 (1995). “패션라이프 스타일에 의한 여대생 의류 시장 세분화.” 덕성여자대학교
-김국희 외 (2010). “20대 여성의 추구이미지에 따른 유행태도와 의류구매행동.”
-패션저널&텍스타일라이프 2010.9.4 일자 조영문 외-여성동아 2008년 05월호 권소희-스포츠한국일보 2007년 5월 16일자.
-www.zara.com
-www.uniqlo.co.kr
-www.samsungdesign.net
-www.apparelnews.co.kr
-www.fashionchannel.co.kr
-www.fastretailing.com
-www.kaia.or.kr
-www.qrsc.or.kr-www.hankooki.com
-www.munhwa.com
-www.hankyung.com
-http://blog.naver.com/slayer719/100118192718
-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56153721&urlstr=phot&item_seq=563605240&board_no=20&urlstrsub=search&seq=20
-매일경제- 명품브랜드의 퇴조
-동아일보- 미국인 구매 기준 '브랜드' 서 '실속' 이동-KOTRA _美, 새로운 소비 패러다임의 징후들
-Women’s Wear Daily, How America Shops 2008, StarDoll.com
-미국 패션 Shopper들의 최근 소비행태 (비지니스를 찾는 사람들) |작성자 경제포럼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60페이지
  • 등록일2012.11.06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44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