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흉환자간호 케이스 스터디 (spontaneous pneumothorax case study)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흉환자간호 케이스 스터디 (spontaneous pneumothorax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 1

Ⅱ. 본론
 A. 문헌고찰 …………………………………… 1
 B. 간호과정 …………………………………… 8
 C. 간호진단 …………………………………… 16

Ⅲ. 결론 및 제언 ……………………………… 19

본문내용

mmHg 로 상승된
<주관적 사정>
“오른쪽 가슴이 쿡쿡 쑤셔요.”
“ 관을 꽂은 곳이 불편해요.”
1. CTD 삽입과 관련된 통증
-통증을 말로 표현한다.
-통증이 경감되고
편안함을 나타낸다.
-지속적인 통증 조절로 심한 통증 호소를 예방하고 통증에 대해 이해하고 수용하여 효율적으로 대처한다.
1.통증 정도 및 양상을 사정한다.
2.필요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고 약물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한다.
3.편안한 체위를 유지한다.
1-①통증의 특성을 말로 표현하도록 하여 통증의 양상과 정도를 사정하였다.
1-② V/S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2-①처방된 Talimephin 1 bid 한다.
2-②진통제 투여 목적및 용법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하였다.
3-① 반좌위를 취해주어 편안한 자세를 격려하였다.
1.대상자의 상태 사정을 통해 통증과 불편함을 측정할 수 있으며 활력징후의 변화는 대상자의 상태를 대변하고 진단에 도움을 준다.
2.진통제를 투여함으로써 급성통증을 완화시켜 대상자의 안위를 증진시킨다.
3.체위변경은 통증및 불편함 완화에 도움을 주며 대상자가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대상자의 활력징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진통제 투여로 환자의 통증이 VAS 2점으로 감소 되었다.
-침상 안정 시 반좌위를 유지하며 편안해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2. 기흉발생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 사정
간호 진단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객관적 사정>
-가래, 기침 함
-3L/min산소 투여 받고 있음.
-기침하기 힘들며 가래를 소량 뱉어냄.
<주관적 자료>
-“숨이 차요”
2. 기흉발생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효율적으로 객담배출을 하여 편안하게 호흡한다.
-청진상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리지 않는다.
-호흡수 및 호흡음이 정상이다.
1.호흡양상 및 분비물 특성을 사정한다.
2.흉부물리요법과 체위배액을 한다.
3.처방된 기관지확장제, 거담제를 투여한다.
4.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1-①호흡양상을 사정하였다.
1-②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2-①반좌위를 유지시켰다.
2-②흉부 타진을 시행하고 EDBC를 교육 하였다.
3-①Mucosten 1 tid를 투여 하였다.
4-①3L/min산소를 제공하였다.
1.정상적인 호흡음을 사정하여 호흡곤란을 예방 한다.
2.좌위와 반좌위는 폐확장을 도모하여 호흡이 용이해진다.
등타진으로 기관지벽에 붙어 있는 분비물을 떨어뜨려 배출시키고 분비물을 부드럽게 만들고 기침을 유도하여 흡인을 용이하게 한다.
3.진해 거담제는 분비물 배출을 돕는다.
4.조직의 저산소증을 예방한다.
-객담을 잘 뱉어내며 기침은 감소하였다.
-반좌위를 유지하였으며 EDBC를 잘하였고 병동보행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환자는 호흡 곤란을 호소하지 않았다.
-환자는 저산소증 증상이 없었다.
3. CTD 유지와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 사정
간호 진단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객관적 사정>
- 입원시부터 CTD 유지중임
<주관적 자료>
- “튜브에서 이상한 게 나오는데 괜찮은 거예요?”
- 무엇을 하는 장치에요? 왜 달고 있는 거예요?”
- “숨 쉬어도 안 빠지나요?”
3. CTD 유지와 관련된 지식부족
- 대상자는 CTD에 대해 알고 이해한다.
- 배액관의 주의사항을 알고 그대로 시행한다.
1. CTD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2. CTD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3. 심호흡과 기침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교육한다.
1. 배액관의 원리에 대해서 천천히 설명하였다.
2. 줄의 꼬임이 없도록, 클립이 잠궈져 있지 않도록, CTD는 항상 환자의 흉곽보다 낮은 수준에 놓여있어 역류하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3 EDBC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1. CTD에 대한 불안을 감소하고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
2. CTD가 환자보다 낮은 수준에 있어야 중력에 의해 배액이 유지되고, 흉막강 내로 역류하지 않는다.
3. 기침과 심호흡은 분비물을 제거하고 늑막강 내 액체의 축적을 막아주며, 늑막강내 압력을 상승시켜서 폐 확장을 돕고 무기폐를 예방할 수 있다.
1. CTD 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고 수긍하였다.
2. CTD는 줄꼬임 없이 환자 아래에서 유지가 잘 되었다.
3. EDBC 잘하는 모습 보이며 치료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Ⅲ. 결론 및 제언
이번 실습은 인제대학교 병원 CS 병동에서 이틀 동안 진행 되었다. CS 병동 특성상 기흉 환자와 정맥류, 개흉술 환자가 많았으며 그 중 많은 가장 많은 환자가 있었던 기흉 환자를 case로 선택 하였다.
이 환자는 남자 17세로써 간헐적인 우측 흉부 통증과 호흡 곤란으로 외래 통해 입원한 환자로 입원당시 X-ray 와 Chest CT상 기흉을 진단 받고 CTD 삽입 후 치료 중인 환자 였다. daily로 X-ray 검사를 해가며 기흉의 상태를 체크 하고 있었고, 처음에는 통증과 호흡 곤란으로 힘들어 했지만 실습 당시는 호흡곤란과 통증이 많이 호전되어 병동 보행도 잘하고 치료에 적극적인 모습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번 case study를 통해 최근 젊은 청년들 사이에 기흉이 빈번 하게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창시절 배웠던 기흉에 대한 지식들을 다시 한번 되집어 보여 임상간호에 좀더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지식을 얻는 계기가 되었다.
이틀간의 짧은 실습이었지만 현재 다니고 있는 병원과는 다른 환경에서 간호사의 업무를 관찰하며 현재 다니고 있는 병원에서의 생활과 비교하며 좋은 점은 배우고 좋지 않은 점은 고칠 수 있도록 생각 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던 것 같다.
[참고문헌]
1. 이향련 외, 성인간호학 상, 서울: 수문사, 2008
2.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제7판 현문사 2004
3.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2011
4.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5. 네이버 http://www.naver.com/
6.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e3ufqw5a9&logNo=90046720454&redirect=
Dlog&widgetTypeCall=true
  • 가격2,8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2.11.10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51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