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교회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로마교회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저서...<신의 요의>
(2) 보나벤투라 (Gohn Bonaventura, 1221-1274)
a. 알렉산더의 제자로.
b. 프란체스코 교단 단원이었으며.
c. 신비주의자, 고행주의자였다
(3)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Albertus Magnus 1193-1280)
a. 독일의 신비주의자였고, 도미닉 단원이었다.
b.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신비주의의 조화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c. 쾰른 (Koln)에서 18년간 교수하다가, 87세로 죽었다.
(4) 토마스 아퀴나스 (Thomas Aqinas,1227-1274).
a. 이탈리아 나폴리 아퀴노 백작의 아들이며 도미니코 단원, 파리대학출신으로서 마그나누스에게 사사했다.
b. 1272년 교황 울반 2세의 초빙으로 나폴리 (Napoli) 대학의 교수가 되었다가 1274년에 죽었다.
c. 저서 <신학총론> (Summa Totus Theolgia)
ㄱ.이 책은 중, 고대 기독교 사상을 집합하여 체계화 한것이며.
ㄴ.가톨릭 신앙의 표준이 되는 조직 신학서이다
ㄷ.근대 사상 부흥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신학 총론> 내용
1) 신학의 연구 목적
a. 하나님과 인간의 기원과 그 운명에 대한 지식을 얻으려는 것.
b. 이 지식은 이성과 계시라는 두 가지 길에서 나온다.
c. 계시는 성경에 완전히 나타났으니 해석은 교회가 하여야 한다.
2) 신관...삼위일체를 믿음. 계시에 의하여 알 수 있다 함.
3) 구원론...예정을 믿음.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로 오고, 은혜는 교회 성례를 통해서 온다 함.
4) 성예전
a. 성세...수세시 중생하고 원죄와 전죄와 용서를 받음.침례를 좋게 생각함
b. 성체...화체설.
c. 고해
ㄱ.죄에 대한 후회.
ㄴ.신부에게 고백.
ㄷ.신부는 죄의 경중에 따라 명령함.(성지 순례,십자군,구제 헌금 등).
ㄹ.사죄 선언.사죄 선언이 없이는 수세후 지은 죄에서 용서받을 길이 없다.
d. 견진.
e. 신품
f. 종부
g. 혼배.
5) 내세관...연옥설 주장.
6) 교회관... 구원의 기관, 교회의 머리는 교황, 교황은 신성하고 직분 수행시 실수가 없다. 복종해야 구원받는다.
(5) 던스 스코투스 (John Duns Scotus, 1255-1308)
a. 생애
ㄱ.프란체스코 단원였고
ㄴ.옥스퍼드,파리,쾰른대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ㄷ.독일 쾰른 수도원장이 됐고.
ㄹ.아퀴나스 반대자로 유명하다.
b. 사상
ㄱ.하나님의 명령은 언제나 선하다.
ㄴ.하나님의 뜻은 하나님의 뜻인 고로 선하다.
ㄷ.하나님의 계시에 의해 깨달을 수 있다.
ㄹ.은혜는 성예전으로 오는 것이 아니오 하나님께서 합당히 보셔야 한다.
ㅁ.무염 시태설(無染始胎說) 주장 - 원죄와 무관하다.
(6) 윌리엄 옥캄 (William occam, 1280-1348)
a. 영국 스코투스의 제자로
b.옥스퍼드 출신, 파리 대학 교수였으며.
c. 교회와 속권의 분리를 주장했다.
11. 신비 사상가와 신비주의 단체 (독일)
1) 독일의 특색
(1) 신통주의(神通主義) ..하나님과 완전한 교통이 있게 하려고 노력함.
(2) 하나님의 절대성 강조함 (상대적으로 인간의 공허성 주장)
(3) 약점...영감으로 오는 체험을 성경보다 중히 여김.
(4) 범신론적 경향이 있었다는 것이 특색이다.
2) 대표자들
(1) 에크하르트(Eckhart,1260-1327)
a. 도미니코 단원으로 ,파리에서 수학했다.
b. 쾰른(Koln)에서 교수와 설교를 했고, 이단으로 몰렸다.
c. 신관...표현된 신과 은폐된 신으로 분간.삼위일체를 설명하기를 신지식은자아의 지식이며 우주에 편만한 하나님으로 의식, 주관(성부),객관(성자)사랑(성령)이라 했다.
d. 영혼....하나님의 불꽃,사람 속에 온 우주가 있다 한다.
(2) 타울러 (John Thauler,1300-1360)
a. 도미니코 단원으로, 에크하르트의 제자였다.
b. 파리 유학, 스트라스부르에서 설교했으며.
c. 복음주의 신비가로 실천력이 강했다.
d. 장례에 헌신적으로 참예했고.
e. 신의 내재와, 죄 회개하고 믿음으로 구원 받음을 강조했다.
(3) 루이스부뢰크(John Rutsbroeck,1294-1381).
a. 그륀탈(Grunthal)수도원에 은둔하여 신비적 논문을 저술했으며.
b. 순수한 정서의 사람으로. 명상과 하나님과 일치를 원했다.
(4) 수소 (Heinrich Suso.(1295-1366).
a. 도미니코 단원으로,에크하르트의 제자였다.
b. 콘스탄쯔(Constanz)수도원장이 되어,기도 생활과 잠언에 대한 지혜를 묵상했다.
3) 신비주의 단체들
(1) 베기니 (Beguini)
a. 11세기부터 있은 여자 독신 단체로.
b. 공동생활, 자급 자족하며 봉사를 목적으로 했다.
(2) 베가르드(Beghards)
a. 1220년에 조직된 남자,평민 직업자들의 단체로
b. 공동생활, 기도,자선사업에 힘썼다 c. 탄압으로 화형자가 생겼다.
d. 1311년 교황 클레멘스 5세가 해산 명령을 내린다.
(3) 신우단 (Gottesfreunde.신비자의 연맹)
a. 공동 생활을 하지 않으나 각각 기도와 봉사로 협조하였다.
b. 병자를 위문하며,1348년 흑사병 유행시에 시체 처리에 참여 힘을 썼다.
(4) 공동 운명의 형제 (Brethren of the Common Lot)
a. 게르하르트 그로오트 (Gerhard Groot)가 조직했으며
b. 교육,서적 보급,학교 설립했다.
c. 대표자.
ㄱ. 토마스 아 켐피스 (Thomas A Kempis (원명은 Thomas Hamerken von
Kempen) 1381-1471).
(1) 켐펜(Kempen)출생으로
(2) 성 아그네스(St,Agnes) 수도원 수도사였으며.
(3) 저서 - <그리스도를 본받아> <장미의 동산>등이 있다
ㄴ. 요한 벳셀 (Johann Wessel,1420-1489).
(1) 공동 운명의 형제단에서 설립한 학교에서 수학했고.
(2) 토마스 아 켐피스의 저서를 읽고 크게 감동받았으며
(3) 파리, 로마,쾰른 등지의 대학 교수로 명망이 있었다.
(4) 믿음으로 구원받음을 주장했다.
출처 : [기타] http://cafe.naver.com/historyth.cafe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