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종적 화학적 생물적 방제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종적 화학적 생물적 방제법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종 병해의 발생이 노지보다 유리한 조건에 있음을 밝힌 바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러한 불량환경을 적극적으로 개선하므로써 병해 발생량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시설원예에서 특히 관심을 가져야 할 환경관리의 개선방향은 <표 3> 에 제시된 바와 같이 광, 온도, 수분 및 탄산가스 환경일 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부수적인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으나 가장 취약환경을 우선 개선해 주므로서 작물의 생육도 좋아지고 아울러 병해의 발생량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따른 품질향상, 방제비절감 등의 이익을 바로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표 3> 환경관리의 개선방향
항 목 개 선 내 용
광환경 투과율 높은 피복자재의 선택 골격의 차광율 최소화 하우스 방향은 남향 북쪽면 반사필름 설치 오염시 청소
온도환경 보온력 높은 자재선택(EVA, PVC) 자연열 이용 확대(지중축열, 물커튼재배,축열물주머니 등) 투명 PE멀칭, 지하단열층 설치 가온방법의 도입 및 개선
수분환경 작물별 적정 관수 실시(관수시기,관수량) 관수 방법의 개선(점적호스, 유공파이프) 방적성 피복자재 사용
탄산가스환경 탄산가스(CO2)의 시비
기 타 적정 환기면적 확보(15% 이상) 각종 장치의 도입으로 생력화 연작장해 발생시 양액재배시설 설치 검토
나. 경종적방제
(1) 저항성 품종 및 대목의 이용
모든 병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진 채소의 품종육성이란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이지만 병에 대하여 저항력이 강한 품종을 재배하는 것은 병해 방제에 있어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실제 신품종 육종에 병해충 저항성품종을 육종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효과도 많이 보고 있다. 또한 저항성품종의 육종과 더불어 오이 덩굴쪼김병의 경우에서 처럼 저항성대목을 이용하여 난방제병해충의 방제법에 실제 적용하고 있다.
(2) 자외선 제거 필름 이용에 의한 병해방제
식물 병원균중에는 포자형성에 광선을 필요로 하는 것이 많고, 특히 자외부의 광선으로 포자를 형성하는 균이 많다. 그래서 이 자외부를 제거하고 작물을 재배하면 병의 종류에 따라 포자형성을 억제하고 병해방제를 할 수 있는데, 자외선이란 광파장 380nm이하의 파장역으로, 260nm이하에서는 생물의 핵산에 작용하여 유해미생물에 대한 살균력이 강하나, 370nm이하의 자외선은 포자형성을 촉진하고, 280~320nm에서는 체내 비타민 D를 생성하며 칼슘, 인산 등 대사를 촉진하므로 유익하다. 실제 자외선 제거 필름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적용 가능병해로는 각종 채소작물의 잿빛곰팡이병과 균핵병, 시금치의 시들음병이며, 적용 불가능병해로는 오이 검은별무늬병과 토마토 잎곰팡이병, 각종 채소작물의 흰가루병 등이며, 가지의 경우에는 과실의 착색이 안되므로 재배가 불가능하다. 금후 적용병해, 작물 및 화분매개충에 대한 문제, 하우스의 구조 등의 문제가 해결되면 병해방제에 있어서 기대가 크다.
(3)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하우스 토양의 소독
하우스는 이동이 어려워 연작이 되기 쉽고, 그 결과 병원균의 밀도가 높아지면 토양소독이 절실해 진다. 이 토양소독을 약제나 증기를 이용하는 대신에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고온처리하면 비용이나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절단한 볏짚과 석회질소를 하우스내 토양에 잘 섞은 다음 작은 이랑을 만들어 표면을 비닐로 덮고 하우스를 밀폐한 후 이랑사이에 담수하고 충분히 수분을 가지게 한 다음 7월 중하순에 20~30일간 하우스를 밀폐처리한 결과, 딸기 시들음병균이나 고추 역병균의 멸균이 가능하였으며, 지온은 땅표면에서 최고 72.2℃, 10cm 깊이에서 60.5℃, 20cm 깊이에서 53.2℃였다고 한다.
(4) 기 타
이상의 경종적 방제법외에도 시설재배의 병해방제 수단으로 강구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포장위생, 건전종묘의 이용, 균형시비와 토양개량, 윤작, 담수, 파종기의 조절 및 재배법의 개선에 의한 병해발생억제 등이 있다.
다. 화학적 방제법
(1) 방제의 원리
화학적 방제법이란 살균제에 의한 방제법을 말하는데, 최근 생활의 향상에 따라 농약을 포함하여 화학비료, 식물첨가물, 합성세제 등에 의한 환경오염 또는 인축에 미치는 해작용이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바, 농약에 대해서도 식품위생법에 근거를 둔 농약의 잔류기준이 설정되고 이에 대응하여 농약관리법에서는 농약잔류에 관한 안전사용기준을 제정하고 있다.
약제의 효과를 높이고 방제비용을 절감하며 안전사용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많은데, 반드시 작물별로 적용병해충에 고시된 약제를 선정하여 살포적기에 맞추어서 규정농도와 양을 지켜서 사용토록 한다. 살균제의 경우는 병의 증상이 나타나기 며칠전에 예방적으로 살포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고추 역병처럼 병세의 진전이 빠른 병해인 경우 특히 예방적방제가 중요한다. 병의 최다감염기에는 약효가 뚜렷한 약제를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살포하는 것이 좋겠고, 상품가치에 영향이 큰 시기에도 효과가 뚜렷한 약제를 뿌리는 것이 좋겠다.
(2) 시설재배용 농약 신제형 개발
비닐하우스나 온실 등 시설재배에서는 노지재배에 비하여 항상 고온, 다습하고 밀폐된 상태이므로 병해 발생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 주어 이런 환경에서 생육하는 작물은 여러가지 병해가 발생하기 쉽다는 것은 이미 밝힌 바 있다. 따라서, 시설재배에서 발생되는 병해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제하면서 시설내 습도를 높이지 않고 하우스내 고온하에서의 농약살포에 의한 농약중독 우려를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농약살포시 물을 사용하지 않고 시설밖에서 동력살분기를 이용하여 시설내부로 약제를 살포하는 미분제농약이나, 시설내에서 약제를 태워 그 연기에 의해 병해충을 방제하는 훈연제농약이 수종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미분제나 훈연제농약은 가격면에서는 수화제 등의 희석제 농약보다 고가이나 농약살포에 소요되는 노력비는 거의 들지 않으므로 농촌 노동력부족의 해소에도 일조를 담당하고, 시설채소에서 많이 발생되는 잿빛곰팡이병 등의 병해충을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으며, 시설내 고온하에서 농약살포시 우려되는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생력형의 새로운 제형이라 할 수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5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