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에 대한 이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사회적 반응의 이상에 대한 것들이었다.
진단 결과 : 자신의 자녀가 자폐증이라는 진단에 접하게 된 부모들은 매우 당황하고 혼란에 빠지기 쉽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영국에서는 국립 자폐협회(UK's National Autistic Society)가 만들어졌고 전 세계적으로 수백 개의 자조모임(self help groups)이 만들어졌다.(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체계적인 전국 조직은 없다.)
VI.영화 레인맨 - 실제인가 허구인가?
영화 레인맨은 제61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으로 배리 레빈슨 감독이 메가폰을, 더스틴 호프만과 톰 크루즈가 주연을 맡은 영화이다. 더스틴 호프만은 이 작품으로 두번째 오스카를 획득했다. 이 작품에서 묘사된 인물은 자폐증의 전형적인 모습은 아닐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소위 High functioning autism으로 이해된다.
영화 레인맨(Rain Man)
영화 레인맨에서 더스틴 호프만이 자폐인의 역할을 인상 깊게 연기한 이후, 일반 대중들의 자폐증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졌다. 레오 카너(Leo Kanner)가 1940년대에 처음으로 자폐증에 대해 이야기했을 때, 그는 자폐증에서 나타나는 유별난 특성에 주목했었는데, 그가 연구한 사례 중 많은 수가 뛰어난 기계적인 기억력(rote memory)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의 뛰어난 기계적인 기억력과 그러면서도 동시에 어떤 방법으로도 언어를 사용하지 못하는 점들이, 종종 자폐아동 부모로 하여금 점점 더 싯구(verses), 동식물 이름, 음반의 제목과 작곡가 등에 매달리게 하는 경우가 많다.
'선택적 능력'이라는 용어는 심한 행동상의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한가지 특정한 분야에서는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경우를 지칭할 때 사용되어져 왔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유별난 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바보 석학'이라고 불려졌는데, 프랑스어로 이 용어의 의미는 배우지 않고(바보 idiot) 터득한 기술(석학 savant)이라는 뜻이다. 1978년도 Psychology Today에 게재된 논문에서, 버나드 림랜드 (Bernard Rimland) 박사는 좀더 적절한 단어인 '자폐적 석학(autistic savant)'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는데, 그 이후 이 용어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런 능력은 흔한 것인가? 도대체 어떤 것일까?
그러나, 레인맨에서 묘사된 능력은 매우 드문 것이다. 자폐증에서 석학적 능력을 가진 경우는 약 10%로 추정되며, 반면에 학습에 어려움을 가진 사람을 포함하는 비자폐증 집단(정신지체를 의미함)에서는 1% 미만에서 이런 능력이 나타난다. 이러한 석학적 능력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다. 가장 흔한 형태로서는 수학계산, 기억 묘기, 예술적 재능, 음악적 재능 등이 있다. 흔한 수학적 능력으로는 달력을 기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들에게 "1961년 5월 22일은 무슨 요일이었습니까?" 라고 질문하면 그들은 몇 초안에 "월요일"이라고 대답을 하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암산으로 큰 수를 곱하고 나눌 수 있으며, 망설임 없이 소수계산도 할 수 있다.
석학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자폐인의 경우 단순한 상(single pictures)을 가지고도 뛰어난 작품을 그릴 수 있으며, 어떤 경우는 물체의 한가지 이미지를 보고 여러 다른 관점에서 바라본 모양을 물체의 모양을 그리는데 뛰어난 예술가적 자질을 보이기도 한다. 나디아 (Nadia)라는 아동은 아름다운 말의 그림을 그렸는데, 그녀의 그림은 램브란트의 작품과 비교될 정도였다. 흥미로운 사실은 그녀가 말을 배우기 시작하자 그림을 그리는 능력을 잃어버렸다는 것이다. 음악도 흔히 볼 수 있는 석학적 능력이다. 자폐증을 가진 많은 연주자들은 완벽한 음조를 표현하며, 곡에 대한 뛰어난 기억력을 나타낸다. 어떤 사례에서는, 클래식 작품을 한 번 들은 후에, 바로 전곡 연주가 가능한 경우도 있었다. 왜 자폐증을 가진 사람의 일부에서 이런 석학적 능력이 나타나는지는 아직 모른다.
VII.돕는 방법
자폐증 99(http://www.autism99.org/)를 방문, 정보센터(Information Centre)를 찾을 수 있는데, 자폐증을 앓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다양한 형태의 치료와 교육 프로그램이 제시되어 있다.
상호작용치료 : 아동과 부모 또는 치료자 사이의 관계와 의사소통 발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아이들의 행동을 좋은 것, 나쁜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 방식으로 아동에 대해 판단하지 않으며, 대신에 아동 자신이 그가 할 수 있는 최선을 하고 있다고 간주한다.
통합치료 : 자폐증을 가진 사람들이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것이 가능한 것을 목표로 추구한다. 대표적인 예는 미국의 북 캐롤라이나 대학에서 개척한 TEACCH(Treatment and Education of Autistic and related Communication-handicapped Children 자폐증 및 관련 의사소통 장애 아이들의 치료와 교육 : 자세한 내용은 http://www.unc.edu/depts/teacch/에서 찾아볼 수 있음)이다.
일상생활치료 : 일본에서 시작되었으며, 일상생활 기술, 신체적 교육, 음악, 공예 등을 집중적으로 시행하는 전체적으로 통합된 24시간 교과 과정으로 구성되어있다. 집단 수행과 그룹 안에서의 동일화라는 일본 문화가 주된 철학이다(자세한 내용은 http://www.ulst.ac.uk/papa/bostonhig.html)
행동치료 : 특수 교육에서 행동치료적인 접근이 여러 해 동안 시도되었다. 특정한 행동에 대한 훈련이 가능한 것이 성공적이라는 그 동안의 실적이 있지만, 비판은 학습된 기술들이 의존성을 유발하며 그 기술이 일반화하는데는 실패한다는 것이다. Lovaas 기법(Lovaas techniques, 자세한 내용은 http://www.earlyed.
com/에서 찾아볼 수 있음)은 아주 초기(생후 42개월 이전)에 시작하는데, 연구결과 상당한 정도의 성공을 거두었다.
절충치료 :
부가적인 치료법 : 다양한 다른 방법, 예를 들어 청각통합훈련, 음악치료, 식이 변화들이 특정한 소수의 아동들에게는 삶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11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