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적상황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판적상황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선교원리로서의 상황화
2.비판적상황화
3.상황화의 실제
4.결론

본문내용

해서 선교사는 3차원의 세계에 4차원의 영성으로 구비되어야 온전한 비판적 상황화를 할 수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 언어의 전문성, 직업의 전문성, 사역의 전문성, 지역의 전문성과 성령의 기름 부으심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선교사는 선교지 상황을 이해하고 새로운 상황에 들어가려면 그 상황에 대해서 더 많이 배울 필요가 있다고 전제하면서 선교사는 상황화 선교사가 되어야만 한다. 선교사는 메시지를 가지고 보냄을 받은 자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선교사는 메시지를 소유해야 할 뿐 아니라 메시지를 실제로 구체화하며, 그가 가르치는 진리를 상황화해야 한다.
선교사는 그 사역의 성격상 자기와 매우 다른 사람들과 끊임없이 접촉해야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상황화의 선교전략의 본을 따른다는 것은 아주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바울은 유대인의 민족적 우월주의와 선민의식을 떨쳐버리고 복음을 전해 받는 이방인들에게 자신을 동화하며, 피선교지 주민들이 저항감 없이 들을 수 있게 피선교인 지향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빌 3:4~8, 고전 9:19~22.
그는 ‘여러 사람에게 여러 모양(all things to all men)’으로의 전도방법을 취하였는데 이것은 결코 복음의 본질의 변질이 아니라 효과적인 선교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미경, “문화횡단적 커니케이션으로서의 선교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1981), p. 18.
선교사역의 목표가 선교지 사람들을 그리스도의 지체들로 만들고 서로간의 교제를 견고히 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선교사는 항상 자기보다 선교지 사람들을 더 낫게 여겨야 하는 종(Servant)의 위치에 서야할 것이다.
결론:
선교의 신학화에서 상황화의 원리는 이론과 실천에 있어서 비판적 상황화로 다루어져야 한다. 이는 이론만이 아니라 실제적인 입장에서 해방신학만이 아니라 이제는 글로벌 시대에 걸맞는 자신학으로 발전이 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이를 위해서는 양대 기둥으로서 구속적 유비(Redemptive Analogy)와 전신자선교사주의(Every Believer's Missionaryhood)를 주장해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가 성육신하여 상황화로 복음을 전파했듯이 외국의 선교사로부터 복음을 받은 우리는 복음의 본질을 그대로 받되 복음의 진리를 왜곡하지 않고 복음을 전하고자 하는 자신학에 기초하여 각 나라와 백성과 허다한 방언 가운데 각자가 지역에 따른 신학(Local Theology)과 함께 직업의 전문성을 따라서 직업 신학(Vocational Theology)으로서 자 신학을 세우는 일련의 상황화 신학의 정립을 위한 노력들이 서로 네트워킹 되어야 한다. 필자는 글로벌 신학의 한국적 정립을 위해서 전문인 신학(Professional Theology)을 주장한 바 있다. 이러한 자신학적인 노력들이 제3 세계가 글로벌 신학(Global Theology)으로 통합이 되는 선교의 신학화 작업의 균형을 이루는 기초(fundamental)이 되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36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