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저널리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터넷 저널리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대적 신뢰도는 매우 높은 편임을 제시했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이용자의 매체 이용량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었다고 밝히고 있다. 즉, 특정 매체 이용량과 그 매체에 대한 공신력이 높은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이다.
Chyi와 Lasorsa는 온라인 신문에의 접속, 그 이용과 선호도에 대한 일반 공중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전국지와 지역신문을 온라인매체와 인쇄매체라는 두 가지 다른 형식으로 접근한 결과, 전국지의 경우 온라인매체를, 지역신문의 경우는 인쇄매체를 선호한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전국지와 지역신문에 대한 접근용이성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과 각 신문매체의 특성에 따른 공신력의 차이로 인해 유발된다고 밝혔다.
미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신문의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를 연구한 Nelson의 연구는 응답자의 85%가 온라인 신문의 디자인을 새로운 형태인 메뉴/인덱스 방식이 아닌 기존의 인쇄신문과 같이 편집된 것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온라인상의 인터넷 신문의 50%는 기존 인쇄신문과 차별화를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신문 편집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 구독자와 신문사간 선호의 차이는 1970년대에 있었던 전통적인 편집양식과 일치하는 것으로 인터넷 신문 편집에서 참고할 만한 사항으로 보인다.
Andrew 등은 인터넷을 하나의 매체로 인식하고 인터넷 매체에 대한 공신력을 이용자들의 정보추구 유형과 이용경험 유무의 측면에서 타매체와 비교해 살펴봤다. 연구결과 이용자들은 정보추구 유형에 따라 공신력을 부여하는 정도가 각각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자들은 오락, 상업정보추구 유형은 인터넷에, 뉴스 추구유형은 신문, TV 등과 같은 전통미디어에 공신력을 더욱 많이 부여했다. 이용자들 간에도 이용경험의 많고 적음에 따라 인터넷에 공신력을 부여하는 정도가 달랐는데 중이용자 그룹일수록 인터넷에 더욱 많은 공신력을 부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인터넷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인터넷이라는 매체의 공신력을 인지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국내의 경우 인터넷 신문의 공신력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한국언론연구원 2000년 처음으로 인터넷의 신뢰도를 측정했다. 이 결과를 보면 5점 만점에 평균 3.41점을 얻은 TV의 신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가운데, 라디오는 평균 3.21점, 인터넷은 평균 3.17점, 신문은 평균 3.07점(중앙지 평균 3.22점, 지방일간지 평균 2.92점), 잡지는 평균 2.68점으로 각각 나타났다.
박선희는 오마이뉴스와 같은 인터넷 신문은 종이신문을 온라인으로 연장한 것에 불과한 기존언론의 인터넷 신문과 달리 대안언론으로서 색다른 보도방식을 지닌 언론매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기존 언론은 역사적 경험과 전문성 등을 통해 인터넷상에서도 공신력을 확보하고 유지하지만 오마이뉴스 등과 같은 인터넷 신문의 공신력은 네티즌들의 비판적 안목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42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