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간척사업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새만금간척사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새만금간척사업


Part 1. A 역사, 간척사업의 필요성, 갯벌로써의 가치
※ 새만금의 역사

이 사업은 1970년대초 간척예정지로 조사되었다가 1980년대초 냉해로 인한 쌀 흉작을 겪으면서 사업시행 논의가 본격화되었습니다. 1980년대 중반부터 경제적 타당성 분석, 환경영향평가, 주민동의, 관계부처 협의, 공유수면 매립면허 등의 절차를 거쳐 1991년부터 방조제를 건설해 왔으며, 2004년까지 1조7,484억원을 지원하였습니다. 방조제공사가 85%정도 진척되었습니다. 2005년에 1,500억원을 투입하고 2006년 4월 21년 완전히 막히게 된다.

※ 새만금 간척사업의 필요성
①인구증가와 도시화로 사라지는 농지 대체
-지난 10년 동안 22만ha의 농지가 도로, 주택, 산업용지 등으로 전환됨 (매년 경작1~2ha씩 감소)
-우리 국민 4,700만 명의 식량생산을 위해서는 최소한 100만ha의 쌀 재배 면적이 유지되어야함 (현재108만ha)
②부족한 수자원 확보
-우리는 UN에서 분류한 아시아 유일의 물 부족국가로 2011년에는 약 18억 톤의 물 부족 예상
-만경강, 동진강의 물을 담수하여 연간 5억3천5백만 톤의 수자원을 활용
-새만금호 11,800ha 조성은 중규모 저수지 200개 축조 효과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797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