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의 단군신화, 고구려의 주몽신화, 당금애기의 비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조선의 단군신화, 고구려의 주몽신화, 당금애기의 비교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론
1. 단군신호와 주몽신화의 상호관계
1) 역사적 상호관계
2) 내용의 유사성인 ‘천부지모’ 형태
2. 단군신화 및 주몽신화와 제석본풀이(당금애기)와의 비교
1) 창세시조신화적 내용과의 비교
2) 국조신화적 성격과의 비교
Ⅲ. 결 론

본문내용

있는 곳으로 아들들을 데리고 스님을 찾아간다. 스님은 찾아온 아들들에게 자기의 친아들임을 증명하는 여러 가지 시험을 한다. 결국 스님은 아들과 자신의 손가락을 배어 피를 내어 피가 함께 엉키는 것을 보고서야 친아들임을 인정한다.
이러한 ‘아버지 찾아 만나기’의 신화소는 부계사회가 형성된 이후에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왕가에서는 아버지로부터 아들로 왕위 계승이 이루어졌고 부자간에 혈통확인은 아버지의 권리를 아들로 세습하는 제도와 함께 매우 중요시되었던 사회적 공인절차였다고 본다.
Ⅲ. 결 론
지금까지 국조신화인 고조선의 단군신화와 고구려의 주몽신화, 그리고 무속신화인 당금애기(제석본풀이)에 대하여 그 내용을 비교하여 보았다.
우선 국조신화인 단군신화와 주몽신화는 그 내용이 역사 및 시대의 배경과 맞물려 유사한 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 특히 ‘천부지모’ 의 이야기 구조로 하늘의 신과 지상의 여인이 만난다는 기본 골격을 함께 하고 있다. 반면 제석본풀이에서는 신격화된 사람인 스님과 지상의 여인이 만난다는 점이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결국 의미는 같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신과 사람의 결합, 잉태, 출산 및 양육, 권능 및 권력의 승계 등 많은 내용이 일맥상통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주몽신화와 당금애기의 해당 내용을 단군신화보다 더욱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단군신화와 주몽신화에서는 후대의 성격이 인간에 가깝지만, 제석본풀이에 나타나는 당금애기는 새로운 신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새로운 신의 탄생이라는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농경사회의 성격을 건국신화보다 잘 나타나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32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