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m이 예배의 미치는 영향과 ccm과 가스펠송 의 차이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cm이 예배의 미치는 영향과 ccm과 가스펠송 의 차이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CCM이란
1. 복음성가의 전파
2. 초창기의 컨템퍼러리 음악
3. 본격 CCM과 아티스트의 탄생
민중복음성가/기독노래운동
새로운 대중음악 CCM
한국CCM의 앞날
<새로운 것을 인정할려는 사람들의 생각>
<전통을 고수하려는 사람들>
◇ CCM에 대한 우리의 생각 및 결론

본문내용

는 사람들은 시편을 운문화한 시편가를 만들었다. 17세기 아이작 왓츠는 찬송가를 시편에만 국한하는 것을 반대하여 성경말씀을 기초로 한 ‘인간의 창작’인 찬송가를 만들기 시작했다. - 1장
2. 복음찬송(Gospel Hymn): 설교용으로서 간접적으로 하나님 또는 삼위 중 일위께 드리는 찬송 - 135장
3. 복음성가(Gospel Song): 집회용으로서 성도 또는 불신자를 대상으로 부르는 노래이다. 인간이 하나님에 관하여 인간에게 말하는 것 (370장, 317장)
다) 찬송가 곡의 근원에 따른 분류
1. 단선율성가(plain song): 고대 라틴찬송으로서 원래는 반주와 화성이 없고 선율을 제창으로 불렀던 곡을 말하는데 그레고리안 찬트라고도 한다. 편곡할 때 화음과 반주를 붙여 찬송가로 만들기도 했다. (104, 147장)
2. 독일 코랄(chorale): 16세기 이후부터 18세기 경 작곡된 독일과 북유럽의 복음주의, 특히 루터교회의 찬미가를 지칭한다. 종교개혁시대부터 1750년경까지 특히 독일에서 발달한 코랄은 사람들로 하여금 예배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해 만들어 졌다. (20, 384장)
3. 전도적인 복음가(gospel song): 전도활동을 위한 곡으로서 영국에서 활동하다가 미국으로 옮겨져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다. 무디 선교사가 고용한 생키와 블리스의 협력을 얻어 작곡되고 불려진 노래들이다.(191, 204장)
4. 흑인영가(Negro spiritual): 흑인들이 천대와 서러움을 받아가며 고된 노동을 하면서 하나님께 애절한 구원의 호소를 하는 노래(136, 420, 518장)
5. 캐럴(carol): 빙빙 돌면서 춤추며 노래하는 뜻을 가진 캐럴은 주로 크리스마스를 연상할 정도로 보편화 되었다. 부활절 캐럴 등은 점점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110, 116, 123, 125장)
6. 송영 및 영창: 예배의 시작과 끝에 사용하는 송영은 삼위일체 하나님께 영광의 찬양을 드리는 찬미를 말한다. 즉 성부 성자 성령께 영광이 있으리라는 뜻의 소영창인 Gloria Patri와 영창이라고 불리는 Doxology는 모두가 삼위일체에 대한 전례적 찬미의 정형이다.(1-8장, 547-558)
7. 시편가(Psalter): 시편은 기독교가 물려받은 가장 귀한 음악적 유산이다. 종교개혁자 존 칼빈은 오로지 시편 가사만을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관 하에 자국어로 운율적인 형태를 갖추어 번역했고 회중들이 부를 수 있도록 단순한 곡조를 붙여서 개혁파 장로교회의 회중찬송으로 사용했다.
8. 한국 창작찬송가: 통일찬송가에는 한국인 작곡가 9명이 작곡한 총 17곡 (53장 등)이 들어가 있다. 또한 한국인 작사가 14명의 가사가 찬송으로 만들어져 있다.
9. 고전음악: 찬송가의 근원이 고전음악(예를 들어 베토벤의 합창교향곡 등)에서 나온 곡(13, 245, 287장)
10. 구미 찬송가: 찬송가의 대부분이 구미찬송가에 속한다. 구미의 찬송가들은 무드를 중요시 하고 있기 때문에 같은 찬송가에 여러 사람의 곡을 붙인 경우가 많다. 특히 영국찬송가는 시편가를 찬송가로 변천하는 과정에서 가사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여 시편가의 곡조를 찬송에 그대로 사용하게 되었다. 구미 찬송가는 19세기의 감상적인 곡으로부터 20세기의 강력한 행진곡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편이다.
라) 찬송가의 속도를 결정하는 방법
찬송가의 속도는 정해져 있는 것이 없다. 일반적으로 속도를 결정하게 되는 요인에는 다음의 것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1. 찬송의 성격에 따른 변화: 명상적이거나 참회의 찬송은 약간 느리게, 즐거운 성격의 찬송은 대체로 약간 빠르게 노래한다.
2. 교회나 회중의 규모: 교회가 크거나 교인 수가 많은 경우는 교회가 작거나 교인 수가 적은 경우에 비해 찬송의 속도가 느려진다.
3. 회중의 연령: 장년이나 노인이 주로 모인 예배의 경우 어린이 예배에 비해 찬송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4. 복음찬송은 빠른 편이다.
5. 독일찬송이나 초기 영국찬송은 다소 느린 편이다.
6. 교회력에 따른 변화: 교회 절기 중 고난주간의 슬픈 찬송이나 대림절과 같은 명상적 분위기의 찬송은 대체로 속도가 느리고, 부활이나 성탄절 찬송들은 대체로 즐겁고 빠른 편이다.
7. 짧은 붓점 리듬이 많이 나오는 찬송은 대체로 곡이 빠르고 경쾌한 반면 긴 음표가 많이 등장하는 곡은 대체로 느리고 무게 있게 부른다.
8. 찬송시의 분위기에 따라 시를 여유 있게 읽는 듯한 빠르기가 곧 찬송가를 부르는 빠르기가 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4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