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역학 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역학 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분자 동역학 1~5 페이지
2. 회전 동역학 6~7 페이지
추천합니다.
회전 동역학은 1문제와 풀이입니다.
미리보기 확인하세요~

본문내용

효율이 나빠져 오히려 덜 효율적인 계산이 된다. 이러한 수치해석방법에는 Vetlet방법, Leap-frog법, Runge-Kutta법 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분자동역학에서는 Verlet해석법이 주로 쓰인다.
Verlet Method
이 방법은 운동방정식으로부터 직접 시간경과에 따른 입자의 위치를 구하기 위해 차분방정식을 이용한다. 각 시간 변화에서의 위치를 Taylor전개하여 (9)와 (10)식을 얻는다.
식 (9)
식 (10)
이두식의 합과 차를 구하면
식 (11)
식 (12)
여기서 t+DELt와 t에서의 입자의 위치와 속도는 다음과 같이 된다.
식 (13)
식 (14)
t=0에서 입자의 위치와 속도에 대한 초기조건이 주어지면 t=DELt에서의 위치와 속도는 식 (9)에 의해 t=0으로 하는 것에 의해 r(t)가 구해지고, 이값과 r(0)를 식 (13)에 대입하여 r(2DELt)를 계산하고, 식 (14)로부터 v(DELt)가 구해진다. 이런식으로 t와 t+DELt, t+2DELt에서의 속도와 변위들로 부터 시간 발전에 따른 입자의 운동을 수치적으로 구하는 방법이 Verlet 방법이다.
8. Reference
- 분자동역학 (김상락 / 아카넷 2003년 출판)
- 분자동역학을 이용한 다공성 물질 건조공정의 전산 시뮬레이션
(백성민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5년 논문)
- 2차원계의 pinning 효과에 관한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이선중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5년 논문)
[ 회 전 동 역 학 ]
실 험 값 및 계 산 값
회전받침대만의 관성능률
드럼의 지름
낙하시간
1
4.78
5.45
2
4.75
추의 질량
3
4.70
50
4
4.68
낙하높이
5
4.72
100
평균 낙하시간
4.73
회전받침대의 관성능률
3616
회전받침대와 물체의 관성능률 (실험값)
모 양
원 판 ( disk )
원 형 고 리 ( ring )
실이 감긴 드럼의 지름
5.45
5.45
낙하높이
100
100
추의 질량
50
50
낙하시간
12.44
16.44
12.45
16.42
12.38
16.39
12.48
16.45
12.40
16.41
평균 낙하시간
12.43
16.42

244245.26
453878.08
240629.26
450262.08
부착된 물체의 관성능률
모 양
원판 ( disk)
원형고리 ( ring )
회전체의 반경
지름 = 25.0 ㎝
외경 = 25.0 ㎝
내경 = 20.0 ㎝
회전체의 질량
3650
3854
[ 계산값 ]
오차
240629.26
450262.08
285156
467656
백분율 오차
15.61 %
3.72 %
결 론 및 검 토
추가 떨어지는 시간을 측정 할 때 정확한 측정을 하지 못해 오차가 많이 난 것 같다. 또한 실의 마찰력이 실험값에 영향을 준 것 같다.
관성능률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물체가 계속해서 회전을 지속하려고 하는 성질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비록 오차가 크긴 하나 주어진 물체의 관성능률을 알 수 있었다.

키워드

동역학,   분자,   회전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46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