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인더스 문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인더스문자의 창제과정
2. 인더스문자의 형성
3. 인더스문자의 모양

본문내용

다. 그러나 인도(계통)문자도 셈-계통 문자에 유래하는 것으로, 브라미프문자(Brahmi script)는 고대페니키아문자, 모아브문자(moab)에 가장 가까운 형태에서 변화하고,
카로슈티문자(Kharosthi)는 아람문자에 가장 가깝다는 것이 정설이다.
Ⅱ. 인더스문자의 형성과정
브라미프문자(Brahmi)는 남북 두(2) 갈래로 나뉘어졌고, 북방계에 속하는 굽타문자(Gupta script)는 다시 서체(書體)가 여섯(6) 갈래로 분류되어, 이중 싯다마트리카체(Siddh?matrikha體)의 경전(經典: 반야심경(般若心經 등)은 중국, 한국, 일본에 전래되어 실담(悉曇, 悉談, 七曇: 梵語의 字母)문자라 불리원진 것이고, 같은 북방계의 나가리문자(n?gar? script)는 상부횡선(上部橫線)의 발달의 특징이 있다고 하는데 데바나가리 문자(Devanagari)로 발전하여 현대인도 연방의 공용 문자가 되었다. 오늘날 산스크리트경전(經典)에 쓰이는 문자는 대부분 데바나가리문자(devan?gar? script)이며, 남인도에서 쓰이는 것과 구별된다고 한다. 데바나가리의 ‘데바’는 ‘신’을 의미한다.
데바나가리문자 (devan?gar? script)는 자음 문자 34개, 모음 문자 14개로 되어 있다.
남방계 인도의 문자는 드라비다족(Dravidian)이 사용하고 있고 이 역시 브라프미(Brahmi) 문자에서 기원하는 것이라고 한다. 오늘날에도 여러 종류의 문자가 인도에서 쓰이고는 있는 있지만. 커로쉬티 (Kharosthi)는 더 이상 쓰여지지 않고 있으며 부라프미(Brahmi)는 주변국가로전파되어 굽타문자(Gupta script)에서 티베트문자(西藏文字: Tibetian script)와 미얀마문자(Myanmar文字)의 선조가 되었다. 또한 동남아시아의 타이(Thai), 라오스(Laos), 캄보디아(Cambodia), 자바(Java), 필리핀(Philippines) 등지의 여러 문자가 남인도문자의 계보를 이어받아 저마다 독자적인 자체(字體)를 발전시키고 있다.
이렇게 인도에서는 주(州)마다 문자가 있다 할 정도로 다양하다 하며 구자라트(Gujar?t)지방에서 사용되는 문자는 한글과 유사하다고 한다. 그러나 아랍문자 인도문자 등 우측에서 좌측으로 쓰는 문자들은 관심도 없고 도무지 내 우둔한 머리로는 학습하기 어렵다.
Ⅲ. 인더스문자의 글자모양
↑ 인더스 문자(인장문자: 印章文字)
↑ 이집트 상형문자와 인더스 문자의 비교
↑ 인더스 문자(Indus scripts)
↑ 산스크리트(Sanskrit) 문자의 변형인 brahmi script
↑ 프라크리트(Prakrit inscription) 금석비뭄(金石碑文:epigra]hy)
↑ 카로쉬티(Kharosthi)
↑ 싯다마트리카체 자모표
-◇-
↓부라프미(Brahmi)에서 파생한 바리 문자(Balinese script)
↑ Balinese consonants (Ak?ara Wre??stra)
↑ Balinese alphabet(qkf; 알파벳)
↑ Balinese punctuation(바리 구두법)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92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