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요한복음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요한복음의 신학적 위치
2. 요한학파
3. 저자와 저작 연대
4. 요한복음의 기원
5. 기록 목적
6. 주요 신학적 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섬기는 것과 아버지를 섬기는 것은 하나(5:23; 8:19; 14:7, 21), (iii) 아버지의 영광이 아들에게 나타남(1:14; 2:11, 18; 4:48, 53; 5:36; 6:32, 43; 8:21; 21:19), 아들과 아버지의 친밀성(1:14; 10:15, 38; 17:20-23)이다. 둘째, 아들은 아버지의 보내심을 받은 자이다. 아들은 아버지의 대리자, 대표자로서, 아버지께 순종(4:34; 5:30; 14:31)과 공경(8:49)과 영화롭게 함(17:1)을 하고 아버지는 아들을 사랑한다(3:35; 17:5). 요한복음에서 하나님 아버지와 아들 예수는 유일하고 독특한 관계이다. 요한복음에서 “아들”, “독생자” 등의 단어는 예수에게만 사용되고 신자의 하나님의 아들됨은 “자녀”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2) 종말론
공관복음서의 주제가 하나님의 나라라면 요한복음의 주제는 영생이다. 공관복음서에 나오는 하나님의 나라는 주로 종말론적 축복(마 7:14; 막 9:43, 45; 눅 10:25)인데 반해 요한복음도 미래적 종말론을 기록하고 있으나(3:36; 12:25) 그 강조점은 신자가 영생을 이 땅에서 맛볼 수 있다는데 있다(6:33; 10:10; 17:3). 또한 영생을 경험한 신자는 이 땅에서 하나님의 자녀가 된 것이며(1:12; cf. 요일 3:1, 2, 10; 5:2) 그 특권을 현세에서 누릴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영생 개념은 요한복음의 독특한 종말론을 이끌어낸다. 요한복음에는 미래적 종말론의 요소(5:28-29; 6:39-40, 44, 54; 12:48; 14:3; 21:21-23)와 현재적(혹은 실현된) 종말론의 요소(1:12; 3:18-19; 5:24; 11:25; 12:31)가 공존한다. 하지만 그 무게 중심은 미래적인 것보다 현재적인 것에 쏠려있다. 바울에게 있어서도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특권은 현재에 주어지는 것이지만(롬 8:14; 갈 4:6-7) 그것이 미래에 완성될 것이라는 것에 그 강조점이 있다(롬 8:18f.). 그러나 요한복음에는 신약의 어느 부분에서 보다도 구원의 현재성에 그 초점을 두고 있다. 요한에게 있어서 종말은 현재에 경험되는 그 무엇이다.
3) 성령론
요한의 현재적 종말론에 대한 집중은 요한 공동체의 성령 체험과 연관되어 있다. 요한 공동체에게 있어서 성령은 실제로 신자가 체험하는 영이고(7:37-39) 교회의 예배 가운에 현존하며(4:24), 무엇보다도 신자가 될 때부터 신자의 삶에 관여하는 영이다(3:5). 더 나아가, 성령은 기름부음을 통해 신자의 인도자의 역할로서 계속 수행함을 통해 공동체에 현존하는 영이다(요일 2:27). 요한 공동체가 성령 체험을 중요하게 생각했던 공동체라고 하는 것은 사복음서중 요한복음만이 ‘성령강림 사건’을 기록했다는 데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예수는 부할 후 제자들에게 나타나 선교의 사명을 부여하면서 그 사명을 다하기 위해 “성령을 받으라”고 한다(20:19-23). 이것은 요한복음에 일관되게 예언되었던 것으로(7:37-39), 고별설교에서 좀 더 구체화되었고, 결국 예수 부활 후 “성령을 받으라”는 명령으로 성취된 것이다. 비록 사도행전에 기록된 성령강림사건(2:1f.)이 역사적 사실에는 더 가까울지 모르나 요한신학에 의하면 성령의 강림은 이미 예수의 부활로 인해 시작된 것이다. 이것은 요한 공동체의 실제적, 현재적 성령체험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4) 교회론
요한복음의 교회론은 20세기 후반 요한신학 연구에 있어서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킨 주제였다. 먼저, 요한복음에 교회론이 존재하는가? 요한복음에는 교회(evkklhsi,a)라는 단어가 한번도 나오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나라 혹은 새 이스라엘 같은 초대교회에서 일반적으로 쓰던 교회론적 용어가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한은 자기 나름대로의 독특한 용어와 사상으로 그의 교회론을 전개한다고 할 수 있다. 요한은 구약에서 하나님의 백성을 상징하는 ‘목자와 양’(10:1-8), ‘포도나무와 가지’(15:1-7) 등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새 하나님의 백성을 그리고 있으며, 제자들의 공동체(8:31; 13:35; 14:12; 15:5; 20:19-23), 하나님의 자녀(1:12; 11:52), 성령 공동체의 모임(14:6-7, 25-26; 15:26; 16:7-11, 12-15) 등으로 기독교 공동체를 표현하고 있다. 요한복음에 교회론이 존재한다면 그 특징은 무엇인가? 요한 교회론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교회론이 철저하게 그리스도 중심적이라는데 있다. 요한복음에 사용된 모든 교회론적 이미지는 그 핵심이 그리스도 중심적이다. ‘목자와 양’과 ‘포도나무와 가지’의 이미지를 예로 들면, 이 두 이미지는 구약에서 이스라엘을 상징하던 것이었는데 요한복음에서는 그리스도를 지칭하는 것으로 쓰인다. 공관복음에도 이러한 이미지가 나오지만(마 18:12-14; 눅 15:3-7; 막 12:1-11 병행구절) 요한복음에서처럼 이 구절들이 예수에게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 않다. 구약과 공관복음에서 포도원이 이스라엘을 상징한다면, 요한복음에서는 예수가 참 이스라엘이다. 다시 말해 교회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예수 자신이 필요충분조건이 된다는 것이다. 예수가 곧 교회인 것이다. 신자는 목자의 양과 포도나무 가지로서 교회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리스도 중심적 교회상은 바울의 몸 교회론(고전 12:12-27)에서도 볼 수 있다. 하지만 바울은 그리스도 중심성에 있어서 요한만큼 철저하지 않다. 요한의 이미지에서는 예수 자신이 곧 교회인데 반해, 바울은 그리스도가 머리로서 몸의 지체와 함께 교회를 형성한다.
참고문헌
D. Moody Smith, [요한복음의 신학](서울: 한들, 1999);
Robert Kysar, [요한복음서연구](서울: 성지출판사, 1996);
김득중, [요한의 신학](서울: 컨콜디아사, 1994);
Stephen S. Smalley, [요한신학](서울: 도서출판 풍만, 1987);
Barnabas Lindars, [요한복음](서울: 도서출판 이레, 2002);
김춘기, [요한복음연구](서울: 한들, 1998);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20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