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에 존재하는 반다문화주의 정책에 대해 담론과 실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반다문화주의 정책에 대해 담론과 실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화상대주의란
2. 가치 상대주의와 문화 상대주의
3. 문화상대주의의 예
4. 문화상대주의의 문제점
5. 문화의 상대성과 문화 상대주의
6. 문화 상대주의의 찬반론
7. 문화 상대주의에 대한 나의 의견 (반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서 살아야 된다는 사상은 아직 산업혁명에 들어가지 못한 농경사회에서 자연의 위대한 힘에 대항하지 못하고 대지모 사상같이 자연을 숭배하는 대상으로 보는 것으로 인해서 만들어진 생각이다. 개고기에 대해선 서양에서 개는 먹지 말아야 되는 것으로 보는데 서양인들은 애완동물을 자기 가족처럼 여기는 생각이 있다. 그러므로 어떻게 개고기를 먹느냐라는 생각이 생기게 된 것은 당연한일이다, 누가 가족을 먹는다고 생각하는가? 그러나 한국에선 예로부터 개라는 것은 비상식량이나 복날에 먹는 것을 위해 기르게 된 것으로 처음부터 먹기 위해 기르기 때문에 개고기에 대해선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 것이다. 이렇게 어떤 문화에서 특정한 생각이나 사상은 그 역사나 사회적 상황을 보면 이해가 가능하나 식인종 같은 것은 역사적 상황으로서 먹을게 없어서 사람을 먹은 거라고는 한때 이해가 가능하다. 그러나 그 일이 계속 이어져서 사람을 먹는게 맛있다거나 편하다는 이유로 농사나 수렵을 하지도 않고 사람을 먹는 것은 21세기에서 절대 일어나서는 일이다. 자신의 생존권이 아닌 다른 것으로 다른 사람의 생명을 해친다는 것은 인간의 존엄성에 위배되는 일이고 잘못하면 사회질서자체를 무너뜨리게 되어서 인간사회가 큰 혼란에 쌓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나는 문화상대주의에 대부분 동감하지만 식인같은 지금의 사회질서를 무너트릴 수 있는 문화에 대해선 배척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용환, 문화상대론의 한계와 개고기 식용의 문화비평, 강원인문논총. 10집, 2002.
노양진, 다원주의적 문화 해석, 철학연구, 2007.
한경구, 문명의 충돌과 문화상대주의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69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