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병리검사의 종류와 방법 및 주의사항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상병리검사의 종류와 방법 및 주의사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임상병리검사
2. 임상병리검사의 현황
3. 임상병리검사의 종류
4. 임상병리검사 내용 및 이용
5. 임상병리검사의 방법 및 주의사항
6. 검체채취 및 처리방법
7. 병리검사 결과 해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5.1 mg/dl
1. 탈수증
1. 콩팥 질환 (단백뇨)
2. 간장기능 부전증
(알부민 합성 저하)
3. 심한 영양실조
4. 급성 염증
5. 만성 염증
6. 악성 종양
7. 임신
8. 화상
2.0g% 이하일때 간장질환 환자는 예후가
나쁘다.
5.2g% 이상이면 탈수증의 가능성을 생각
해야 한다.
총단백
(알부빈+ 글로
부린)
6.3-7.9 mg/dl
1. 탈수증
2. 만성 염증
3. 글로부린 증가
1. 수분 다량 섭취
2. 간기능 부전증
3. 영양 실조증
4. 급성 염증
5. 만성 염증
6. 악성 종양
7. 임신
8. 화상
4.5g% 이하일 때는 말초 부종
8.0g% 이상일 때는
전기 영동과 글로부린 정량분석을 한다.





나트룸
(Na)
134-145 mEq/l
1. 탈수
2. 뇨붕증
3. 소금 다량 섭취
4. 복막 투석
5. 갈증 감각의 저하
6. 화상
7. 알도스테론 증가증
8. 중추 신경계 장애
(뇌막염,뇌종증외상)
1. 희석에 의한 Na 저 하 (간경화, 울혈성 심장질환, 수분과다)
2. 이뇨제 부신기능
부전
120 이하는 정신 혼 미, 혼수
칼륨(k)
3.5-5.0 mEq/l
1. 신사구체 질환
2. 부신피질 기능
부전증
3.당뇨병성 케토산
- 열증
4. 정맥으로 다량의
K투여
5. 폐혈증
6.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1. 신세뇨관 질환
2. 알도 스테론 증가
3. 영양실조
4. 당뇨병성 케토산 혈증 치료
5. 인슐린 증가 질환
6. 대사성 알칼로시스
7. 이뇨제 치료
8. 위장액 손실
7.5 이상은 심장 부정맥과 연관이 있다.
3.0 이하는 힘없고
디곡신 중독, 심부정맥
과 관련된다.
염소
(Cl)
97-107 mEq/l
1. 지속적 설사
2. 신세뇨관 질환
3.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4. 탈수증
1. 지속적 구토
2. 화상
3. 수분 다량 섭취
4. 이뇨제 치료

종 목
정 상 치
증 가
감 소
의 미 평 가





칼 슘
( Ca )
8.7-10.3 mg/dl
1. 부갑상선 기능 항 진증
2. 뼈속 질환
3. 전이성암
4. 이뇨제 치료
5.갑상선 기능 항진증

1. 부갑상선 기능 저
하증
2. 저알부빈 혈증
3. 만성 콩팥 질환
4. 급성 췌장염
5. 설사
6. 지속적 비타민D
결핍증
7. 영양실조증
7.0 mg% 이하에서는
경련이 올 수 있다.
11.0 mg% 이상은 상
한선이며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을 의심한다.


( p )
6.3-7.9 mg/dl
1. 신기능 부전증
2.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
3. 소아
4. 과도한 Vit.D섭취
5. 고 칼슘 식사
1. 부갑상선 기능 항 진증
2. Vit.D 결핍
3. 흡수 불량
4. 포도당 투여
5. 구루병
6. 인슐린 분비 증가
질환
7. 당뇨병성 산혈증 의 인슐린 치료
1.5 mg% 이하는 용혈성 빈혈과 관계가있다. (인 저하로 인한빈혈)
2.5 mg%는 하한선 이며 이런 환자에게 칼슘 증가가 있으면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의미한다.






중성지방
( Trig )
40-155 mg/dl
1. 가족성 고지혈증
2. 신증후근
3. 당뇨병
4. 췌장염
5. 임신
6. 간장질환
7. 알콜 다량 섭취
1. 영양 실조
400 mg% 이상은 동 맥경화성 심장혈관 질환에 대한 심히 위험한 예후를 의미한다. 치료가 시행되어야 함.
콜레스테롤
(CHOL)
146-250 mg/dl
1. 가족성 (유전성)
고콜레스테롤
2. 담도 폐쇄
3. 신 증후근
4. 갑상선 기능 저하증
5. 임신
1. 심한 간장기능
부전증
2. 영양 실조
3. 갑상선 기능
항진증
4. 만성 빈혈
5. 갑상선염
90 mg% 이하이면 심 한 기능부전과 관련되며 예후가 매우 나쁘다.
250 mg% 이상이면 동맥경화성 심장혈관 질환의 위험 인자를 의미한다.
400 mg% 이상일 때 는 예후가 나쁜 동맥경
화성 심장혈관 질환을 의미한다.

종 목
정 상 치
증 가
감 소
의 미 평 가






뇨산
(U.A)
2.5 - 6.5mg/dl
1. 통풍
2. 콩팥 기능 부전
3. 케토-산 혈증
4. 술 마신 후
5. 이뇨제 치료
6. 백혈병, 임파종다혈
구증
7. 고단백, 고핵단백식이
8. 약물
1.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투여
2. 뇨산 제거 약물 투여 (아스피린, 스테로이드)
3. 신세뇨관 결함
10.7 mg% 이상일
때는 콩팥 결석과
관절염 형성의 위
험도가 증가된다.






BUN
9 - 24 mg/dl
1. 손상된 콩팥 기능
2. 울혈성 심부전
3. 위장관 출혈
4. 고단백 식이
5. 약물 (코티 스테로이 드) 테트라 싸이크린
1. 임신 (제3기)
2. 수분다량 섭취
3. 심한 간장 기능 부
전증
4. 영양 실조
6 mg% 이하일 때
는 수분 다량 섭취
나 간장 기능 부전
증과 관련이 있다.





공복혈당
(GLUC)
69-121 mg/dl
1. 당뇨병
2. 췌장염
3. 내분비장애 (말단 비 대증, 쿠싱증후군, 갑 상선 기능 항진증, 갈 색종, 알도스테론 증가)
4. 식후
5. 약물 (스테로이드, 이 뇨제, 경구피임약)
6. 만성 신부전
7. 포도당 정맥 주사
8. 스트레스
1. 인슐린 분비 증가
2. 부신피질 기능 부전
3. 알콜 섭취
4.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5. 심한 간장질환
6. 약물 복용 (혈당강
하제, 아스피린, 인슐 린 등)

45 mg% 이하이면
저혈당이라고 하며 힘없고 땀이 나며
떨린다.
식후 2시간에 혈당
이 180 mg% 이상
이면 당뇨병을 의심 한다.




WBC
4500-11,000/mm3



RBC
M:470만-610만mm3
F:420만-540만mm3



Hgb
M:14.0-18.0g/dl
F:12.0-16.0g/dl



Hct
M : 42-52%



MCV
F:37-47%,80-99U3



MCH
27 - 31uug



MCHC
32 - 37%



참고문헌
1. Frings CS: How to start & maintain a consulting practice. AACC Press, 1999
2. Wilkinson : Life, the Lab, and Everything. AACC Press, 1999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17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