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건축] 창덕궁과 비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창덕궁의 연혁

◎비원의 연혁

◎창덕궁의 배치와 특징

◎비원의 배치와 특징

◎후원의 식생

◎느낀점

◆참고자료

본문내용

은 담장 밑이나 뒤뜰 또는 널찍한 마당의 한 쪽에 큰 나무를 심어 나무 하나 하나의 주변 경관이 한데 어울려지게 하였다. 또 구릉지는 화계를 두어 여기에 키가 낮은 관목과 화초를 심기도 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 사시사철 늘 푸른 관상수를 심는 것이 아니라 봄이면 움트고 여름이면 잎이 푸르고 무성하며 가을이면 단풍들고 겨울이면 가지만 힘차게 남아 눈꽃을 피우는 그런 활엽수 계통의 나무들을 주로 심었던 것이다. 이것은 바로 후원 식재의 특성이고, 나아가 바로 한국 전통 정원의 식재 특성인 것이다.
후원은 단지 휴식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었다. 후원의 조영 원리는 인간이 지세에 맞게 적절한 위치에 건물을 지어 그곳에서 잠시나마 머물 수 있고, 나무와 물을 즐길 수 있는 길과 정자가 있어 충분한 휴식 뒤에 좀더 정사에 집중할 수 있는 기력을 회복시켜주는 공간이었다.
◎느낀점
그 동안 창덕궁의 명성은 많이 들어왔었지만 직접 가보기는 이번이 처음이었다. 창덕궁은 조선의 궁궐가운데에서도 가장 볼거리가 많은 곳이었다. 궁궐의 건축 양식과 역사를 살펴보면서 뿌듯함과 자랑스러움도 있었지만 아쉬움도 많았다.
우선, 곳곳에 남아있는 일제 시대의 흔적들이 그것이었다. 궁궐의 훼손 부분을 완전히 회복하기는 어려운 일이지만, 현실적 제약을 넘어 꾸준한 노력을 들인다면 보다 나은 궁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창덕궁은 특별히 보존상의 이유로 제한된 관람을 하고 있으나 개방적인 관람이 되어 모든 곳을 관람 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리고 궁에 관련된 자료를 복제하여 판매하는 제도가 아쉽다. 예를 들어 '동궐도' 각종 궁중 의궤 등의 귀한 자료가 박물관이나 도서관 창고 속에 있는 것은 귀한 가치를 숨기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우리 것이 뭐가 대단해 하며 스스로를 낮춰왔던 우리들, 선진국의 문화, 일본의 문화에 주체성 없이 끌려가는 우리의 모습을 보면 너무도 안타까웠다. 이렇게 살펴보고 공부하면 좋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우리 것을 알릴 수 있는 계기가 있었으면 좋겠다. 어떤 이유에서인지는 몰라도 외국인들이 이런 우리의 문화재에 우리 보다 더욱 관심을 가지고 우리 나라 사람들은 박물관이나 궁궐은 소풍갈 때 잠시 들르는 곳으로 기억되어버린 게 현실이다. 알고 보면 좋은 것이 우리의 문화 유산인데, 이건 잘못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구성 있고 짜임새 있는 정책으로 우리의 문화를 우리가 먼저 알고 느낄 수 있도록 어떤 정책적인 정부의 지원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자료
창덕궁, 대원사, 장순용, 1998
비원, 대원사, 주남칠, 1997
http://myhome.netsgo.com/cih1206/changduk/duk_frame.htm
http://www.jongwon-koreangarden.com
http://www.hallym.or.kr/~total
http://korea.insights.co.kr/korean/chang/ http://myhome.netsgo.com/cih1206/changduk/duk_frame.htm

키워드

고건축,   창덕궁,   비원,   고궁,   조선건축,   후원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07.12
  • 저작시기2003.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28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