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예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안티예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안티예수 그들은 누구인가?
1) 안티예수의 정의
2) 이단 특징 및 안티예수의 차이점
2. 안티예수의 원인과 발생과정
1) 일체 치하의 사회주의운동
2) 포스터모더니즘
3) 인터넷과 대중매체의 발달
(1) 인터넷
(2) 텔레비전과 영화
1) 성경에 대한 비판
(1) 구약의 허구성
(2) 성경의 비윤리성
2) 교회와 기독교 역사에 대한 비판
(1) 기업화된 교회
.
.
.
.
.
.

본문내용

고 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사회 속에서 교회만큼 많은 봉사와 섬김을 나타내는 곳이 없다.
불교와 천주교를 비교해 보아도, 분명하게 드러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가 타종교에 비하여 나쁘게 인식되는 것은 좋은 점을 말하지 않고, 나쁜 것만을 들추어내는 전통이 있었기 때문이다.
안희완는 “기독교인 스스로가 기독교를 심하게 폄하하는 것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안희완 "기독교를 비판하는 11가지 이유" (서울:두라노 목회와 신학 2008년 1월호)69
안티 기독교인들은 교회의 내부 사정이나 교단의 사정을 들을 잘 알지 못한다. 그들이 교회에 대해 비판하는 근거들은 대부분 기독교내의 자체적 정보들에 의한 것이다. 이것은 “기독교의 허물을 무조건 덮자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기독교인들이나 기독교 언론매체가 기독교의 부정적인 측면만 너무 강조하는 나머지 기독교 전체의 이미지를 추락시킬 수도 있다는 점이다. 좋은 이미지의 균형을 유지하지 못한 채 한국 기독교에 대한 난도질만 일삼는 기독교인들이나 기독교 언론매체라면 안티 기독교 문화가 확장되는데 공헌할 수 있다. 안희완 "기독교를 비판하는 11가지 이유" (서울:두라노 목회와 신학 2008년 1월호)69
4) 목회자의 이미지를 새롭게 하자
2001년 총신대원 목회학박사 과정의 강의를 위해 내한한 데이비드 저슬리(david jusley)는 목사는 ‘성도로 하여금 하나님의 말씀을 먹도록 하는 일’이라고 했다. david jusley "목회리더십은 복음의 열매라야 합니다." (서울:두라노 목회와 신학 2000년 8월호)132
데이비드 저슬리는 목회자는 교인들이 좇아가야할 ‘모델’이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나를 좇아 오너라.’고 말씀하신 것처럼 목사는 교인들에게 ‘나처럼 하십시오.’라고 말해야 한다. 목회자가 예수를 닮아 간다는 것은 제자들의 모델이 되는 것뿐 아니라, 예수께서 하셨던 것처럼 제자들을 훈련시키고 양육해야 한다. 그들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일을 감당케 해야 하는 것이다. david jusley "목회리더십은 복음의 열매라야 합니다." (서울:두라노 목회와 신학 2000년 8월호)137
Ⅲ. 결론
분명 반기독교운동은 한국 교회의 위기이며 도전이다. 안티예수들은 다방면에서 한국 교회와 목회자들을 공격해 오고 있다. 성경에 대하여, 교회에 대하여, 목회자와 교인들에게 무차별적 비난과 모욕스러운 발언들을 서슴지 않고 있다. 그러나 또한 한국 교회가 개혁되고 성장할 기회이기도 하다는 하다. 초대교회의 이단들이 교회를 공격하는 해로운 존재들이었지만 결과적으로 성경을 전경화하고 교리를 체계화하고 교회의 연합과 일치를 가져오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안티예수의 원인은 외부적으로 일제치하 속에서 이미 들어와 있었던 사회주의적 영향도 있으며, 실존주의와 포스터모더니즘의 무신론적 세계관에서 찾아 볼 수도 있으며, 내부적으로 한국 교회 자체의 세속화와 목회자와 성도들의 비윤리적 삶, 그리고 성장주의와 개교회의 주의에 빠져있는 교회의 현실 속에서 찾을 수 있다. 반기독교운동은 인터넷을 통하여 급속하게 번져나가고 있으며, TV와 영화 등을 통하여 대중들에게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계속하여 심어주고 있다.
안티예수들의 공격과 비판을 모두 인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는 우리는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어야 한다. 단지 옳기 때문이 아니라 이 시대가 교회를 향한 기대와 바램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안티예수들의 목소리는 교회가 세상을 향하여 어떻게 대처해야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도록 촉구하는 동시에 교회가 어디에 나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도로 촉구함으로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부르심을 보여주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안티예수를 대처하는 최선의 방법으로는 먼저 참된 모습을 보여줘야 된다. 하나님을 향한 참된 예배를 회복하고, 성도 간에 서로 사랑하는 천국 공동체를 이루어야 한다. 또한 세상을 치유하는 교회로서 사회봉사를 확장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로 선포적 전도에서 관계적 전도로 돌아서야할 필요성이 있다. 기독교가 무례하다는 말을 듣는 이유 중 하나는 이웃을 배려하지 않는 전도방식 때문이기도 하다. 선포적 전도는 나름대로의 유용한 측면도 가지고 있지만, 현대에 있어서 관계전도는 최적의 전도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교회에 대한 이미지를 다시 한 번 재고해 보아야 한다. 지금껏 교회는 사회에 대한 이미지에 대해 너무 무방비 적으로 대처해왔다. 이제 교회는 대(對)사회적 이미지를 개선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회에서 하는 선한 일들을 전할 필요가 있다. 목회자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심어 주어야 한다.
Ⅳ. 참고문헌
안티예수 http://www.antiyesu.net
안티기독교 http://www.anti1.kr
반기독교시민운동연합 http://www.antichrist.or.kr
조영엽 “조직신학: 교회론”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7년)
안희환 "기독교를 비판하는 11가지 이유" (서울:두라노 목회와 신학 2008년 1월호)
이찬경 “반기독교단체의 입장” (서울:두라노 목회와 신학 2008 1월호)
이상훈 “반기독교적 정서와 공공신학” (서울:두라노 목회와 신학2008년 1월호)
이장형 “반기독교적 정서의 원인과 그 대안” (서울:두라노 목회와 신학 2008년 1월호)
김광건 “반기독교적 언론을 어떻게 볼 것인가” (서울:두라노 목회와 신학 2008, 1월호)
david jusley "목회리더십은 복음의 열매라야 합니다." (서울:두라노 목회와 신학 2000년 8월호)
quantun shultz “거듭날 텔레비전” (서울:IVP 김성욱 역 1995)
Michael Green “초대교회 복음전도” (서울:기독교문서선교회 1988년)
_____________ “현대전도학”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4년)
『목회와 신학』 2002년 10월호, 한국교회의 현실에 대한 목회자들의 인식도 연구
______________ 2004년 2월호, 한국 개신교인의 신앙생활과 전도에 관한 의식조사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12.03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3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