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즈 응용 효과사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트리즈 응용 효과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정의 1
2. 문제해결의 중요성(필요성) 1
3. 전통적인 해결방법 1
4. 특허청 검색 결과 제시 2
5. 도출된(창의적) 문제 해결책 2
6. 트리즈 효과 사례 3

본문내용

코패밀리사 간 공동개발을 통한 대표적인 성공사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내화물경쟁력향상팀과 포스코켐텍·리스트·조선내화는 2009년 1월 도전과제팀을 구성하고 재활용 원료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재활용 제품개발 및 공정 기계화·자동화를 끊임없이 추진해왔다.
그 결과 도전과제팀은 자동선별 및 나노바인더 활용기술을 적용해 내화물 수명을 향상시키고, 하이밀부·스테인리스부문·포스코특수강과 전기로 부원료로 사용되는 경소돌로마이트 대체용 내화물 조재제를 개발하는 등 연간 약 132억 원의 원가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한편 광양제철소 1제선공장은 트리즈 기법으로 고로 출선구막힘 시 목재 출선구관통장치를 개발했다.
고로에서 쇳물이 배출될 때 출선구 지름 확대에 따라 노저에 존재하는 노심 코크스가 쇳물과 동시에 배출돼 출선구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현상이 발생할 경우 기존에는 출선용 태핑바(Tapping Bar) 또는 관통용 철봉을 사용해 작업자들이 출선구 막힘 현상을 개선해왔다.
이 과정에서 철봉이 용융물과 접촉하거나 슬래그가 철봉에 응고돼 물림현상이 발생해 고로조업에 악영향을 가져오는 동시에 고가의 관통용 철봉 사용에 따른 원가손실이 발생됐다.
이에 1제선공장은 트리즈 기법으로 철봉을 대신할 목재관통장치를 개발했다. 목재관통장치는 철봉과 같은 강도를 가지지만 쇳물과 응고되지 않아 관통작업이 용이하고, 원가도 매우 낮다. 이로 인해 제선부는 연간 5억 원의 원가절감뿐 아니라 조업 불안정 예방, 현장작업자의 작업부하 및 안전향상 효과를 거뒀다.
김민철 기자 mckim@ebn.co.kr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1.10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4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