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일본 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란, 대중과 대중문화에 대한 인식, 고급문화와 저급문화, 대중문화도입, 대중문화의 다면성, 한국의 일본 대중문화 개방.ppt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일본 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란, 대중과 대중문화에 대한 인식, 고급문화와 저급문화, 대중문화도입, 대중문화의 다면성, 한국의 일본 대중문화 개방.pp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일본대중문화의 이해



대중문화란
대중과 대중문화에 대한 인식
고급문화와 저급문화
대중문화의 두 측면
대중문화의 다면성
근대의 시대구분
일본대중 문화의 출발
교통 및 통신망 건설
메이지시대 통화
소비문화-백화점
다이쇼의 대중문화
전후 쇼와시대
태양족
전후 쇼와시대
단카이(団塊)세대 문화
대중문화의 범주
한국의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일본 대중문화의 단계별 개방 내용

본문내용

일본대중문화의 이해




대중문화란

1. 문화(culture) ← 경작하다(cultivate) ↔ 자연(nature)

2. 대중(mass)
 ‘뭉쳐진 하나의 큰 덩어리’: 근대국가와 더불어 탄생

3. ‘산업화’+ ‘복제기술’: 대중문화 탄생

4. 생활수준의 향상, 교육보급의 확대, 매스커뮤니케이션의 발달이 대중문화의 성립기반

5. 엘리트만의 고급문화(high culture)와 토착적인 민족문화(folk arts)의 사이에 나타난 중간문화. popular culture, pop culture, mass culture

 ➜ 복제기술을 기반으로 대량으로 생산되고 유통되어 대중에게 소비되는 문화




대중과 대중문화에 대한 인식

▶ 르봉(Le Bon) 『군중심리』(1895)
 - 19세기는 ‘군중의 시대’로 군중은 가두에 모인 대량의 사람을 가리키는데 열등한 심성을 가지고 있으며 비합리적이고 충동적.

▶ 가세트(Gasset) 『대중의 반역』(1930)
 - 무책임한 대중이 사회적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갖는 ‘대중의 시대’




▶ 리스먼(Riesman) 『고독한 군중』(1950)
 - 본래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행동력을 갖고 있어야 할 신중산계급이 종속적이고 수동적인 대중으로 전화하여, 주체성을 상실하고 몰개성적이고 획일적이 됨.

 ※ 따라서 대중문화는 고급문화에 대립되는 저급문화로 보았다.




고급문화와 저급문화


▶ 소수의 엘리트들이 만들어내고 향유하는 문화
▶ 우수, 세련, 진지
▶ 대중문화는 문화의 위기를 가져오므로, 문화적 엘리트들이 구시대의 계급체계를 재현시켜 고급문화를 다시 일으켜야 한다고 주장.


▶ 교육과 교양수준이 낮은 대중이 즐기는 문화
▶ 독창성이 결여되어 있고 모방성이 강함
▶ 개성을 상실한 획일적이고 평준화된 문화로 오락성만을 강조함으로써 대중의 비판력을 무디게 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3.03.08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8328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