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병리] 정신 분열병과 망상장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병리] 정신 분열병과 망상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신분열병>
임상양상
1.사고장애
2.지각장애
3.감정의 장애
4.충동조절, 의욕 및 행동의 장애
5.인지기능의 장애
6.양성·음성 증상
7.임상유형

진단기준
감별진단

<망상장애>
임상양상
진단기준
감별진단

본문내용

향으로 인한 것 말고는 전반적인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되지 않고 행동이 뚜렷하게 이상하거나 괴이하지 않음
D.만일 기분의 삽화가 망상과 함께 존재한다면 그 기분장애의 총 기간은 망상장애의 기간에 비해 짧아야 함
E.이 장애가 물질이나 일반적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생리적 영향에 의한 것이 아니어야 함
색정형 : 망상의 주된 주제가 어떤 사람, 주로 높은 신분의 사람이 자신과 사랑에 빠졌다는 망상들.
과대형 : 거대한 가치, 힘, 지식, 신분 또는 신성이나 유명한 인물과 특별한 관계에 있다는 망상
질투형 : 개인의 성적 파트너가 믿을 수 없다는 망상들
피해형 : 자신이나 자신과 가까운 사람이 어떤 방법으로든 피해를 받고 있다는 망상들
신체형 : 자신에게 어떤 신체적 결함이 있거나 질병에 걸렸다는 망상들
혼합형 : 전술한 망상의 형태 중 하나 이상을 특징적으로 가지고 있으면서 어느 하나도 주가 되지 않음
비정형형
감별진단
편집성 인격장애 환자는 의심하고 과민하나 망상은 없음
망상형 정신분열병에서는 망상이 괴이하고 단편적이며 체계화되어 있지 않음. 환각은 망상과 전혀 관계가 없기도 하고, 망상 장애에서는 K. Schneider가 말한 정신분열병의 1급 증상이 없음
조증의 분노는 곧잘 가라앉지만 색정형이나 과대형은 불평이 많고 증오적인 행동이 지속됨
정신병적 우울증에서는 신체망상이 가장 흔하며 의욕상실, 불면증, 식욕감퇴 등 생물학적 징후가 나타남. DST가 양성이면 주요우울장애일 가능성이 높음.
기질성 망상증후군에서는 편집상태가 건망증, 기억장애, 판단력장애 등과 같이 나타나지만 망상장애에서는 기억력이 정상임.
  • 가격2,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3.12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34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