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에 관한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바람이 불어 나온다.
23. 고복군립공원 - 1990년 1월 20일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주말이면 전국에서 낚시꾼들이 몰려 든다.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만들었지만 저수지에 가물치·붕어·잉어·메기 등 어류가 풍부해 전국에서 많은 낚시꾼이 몰려들자 군립공원으로 지정하였다.
24. 아미산 군립공원 - 1997년 5월 2일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아미산(961m)은 바위가 거의 없는 육산(흙산)이면서도 산세가 당당하다. 아미산은 특히 늦가을에 노랗게 물든 잎갈나무 등 활엽수의 단풍이 장관을 이룬다.
25. 명지산군립공원 - 1991년 9월 30일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광주산맥에 딸린 산으로 경기도에 서는 화악산 다음으로 높고 정상 쪽 능선에는 젓나무·굴참나무 군락과 고사목 등이 장관이고 봄에는 진달래, 가을에는 붉게 물든 활엽수의 단풍, 겨울에는 능 선의 눈꽃이 볼 만하다.
26. 방어산군립공원 - 웅산이라고도 불렀으며, 방어산은 괘방산(과 능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두 산을 함께 오르는 등산로가 개발되어 있다. 이 산을 중심으로 1993년 12월 16일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27. 대이리군립공원 - 환선굴군립공원이라고도 부른다. 환선굴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덕항산, 촛대봉, 지극산 등이 포함된다. 환선굴은 관음굴·제암풍혈 등과 함께 1996년 천연기념 물 제178호로 지정된 한국 최대의 석회동굴이다.
28. 마라해양군립공원 - 국토의 최남단 마라도를 비롯해 가파도 등 천혜의 섬들과 짙푸른 해양환경이 장관을 이루며, 군립공원으로 지정된 뒤 해마다 이 곳을 찾는 관광객이 꾸준 히 늘어나고 있다.
29. 성산일출군립공원 - 일출봉을 중심으로 한 성산포 해안 일대 약 청정해역으로, 특히 동남쪽 해 안은 넓은 조간대가 발달하고 서남쪽은 조하대의 암반층이 잘 발달해 있다.
30. 추자군립공원 - 제주시에서 가장 북서쪽에 위치한 하며. 제주해협에 있으며 총 4개의 유인도와 38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다. 추자대교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추자도와 하추자도 2개 섬이 가장 크고 나머지 섬들은 작은 섬들이다.
31. 우도해양군립공원 - 우도는 제주도의 62개 부속도서 중 제일 큰 섬으로 제주도 동쪽 끝에 위치해 있다. 섬 전체가 하나의 용암 지대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우도팔경 등 자 연의 신비를 간직한 천혜의 경승지들이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는 섬이다.
우도의 빼어난 자연환경과 해양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보호하기 위하여 2000년 8월 31일 우도해양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32. 위봉산성군립공원 - 1675년에 축성하고, 1808년에 관찰사 이상황이 중수하였다. 유사시에 전주 경기전에 있는 태조의 영정과 시조의 위패를 봉안하기 위한 것으로 동학농 민운동 때 전주부성이 동학군에 의해 함락되자 태조의 영정과 시조의 위패 를 피난시킨 일이 있다.
※참고자료
한국관광공사 http://korean.visitkorea.or.kr
국립공원 관리공단 http://main.knps.or.kr/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3.15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4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