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문화콘텐츠 분석 - 셜록(Sherlock)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상 문화콘텐츠 분석 - 셜록(Sherlock)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영상 문화콘텐츠 분석 - 셜록


1. 왜 셜록을 선택했는가?

2. 소개
 영드<셜록> 소개
 스토리 소개
 캐릭터 소개

3. 문제제기 및 장면분석
 3.1. 문제제기
 3.2. 장면분석
  -셜록은 천재 탐정.
  -하지만 셜록은 뭔가 이상해 (셜록이라서 허용되는 범위)
  -범인이어서 허용되지 않는 범위
  -왓슨이라서 허용 되는 장면

4. 결론
 4.1. 현대판 정통 셜록 홈즈
 4.2. 주인공과 반대자에 대한 시청자의 차별적 시선

본문내용

‘멋진 사격이었네’라고 말하자 왓슨은 ‘그래야 했다’며 덤덤하게 대꾸한다. 셜록은 왓슨에게 괜찮냐고 묻는데 왓슨은 이에 의연하게 ‘그렇다’라고 대꾸하며 ‘하지만 그렇게 좋은 사람은 아니 었다’고 변명한다. 분명 살인행위를 한 뒤인데도 왓슨은 조금의 죄책감도 없이 심지어 셜록에게 농담을 하며 웃어 보이기까지 한다.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못하는 왓슨의 모습을 보며 시청자들은 이에 대해 아무런 비판의식 없이 무의식적으로 동조하게 된다. 그의 행동을 보다 관대한 시선을 바라보게 되는 것이다.
결론
현대판 정통 셜록 홈즈
이 드라마에서는 정의 사회 구현의 입장보다는 원작에 충실하여 홈즈와 왓슨의 내면 묘사에 충실하며, 범죄자와 해결자 모두 정상적 사람이 아닌 어딘가 모자란 사회적 마이너라는 사실을 보여줌으로써 절대적 선이 존재하기 어려운 현실 사회를 반영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영화 셜록과는 다른, 오히려 원작을 현대 사회의 실상에 맞게 충실하게 재현한 드라마라고 할 수 있다.
* 유사 콘텐츠와의 차이점
영화 ‘셜록’과 미국드라마 ‘CSI’에서는 정의 구현의 모습이 극명하게 드러난다. 영화 셜록에서는 ‘세상을 구할 홈즈의 추리가 다시 시작된다’라는 문구를 내세우고, CSI에서는 공권력인 경찰이 악으로 상징되는 범죄자들을 처단함으로서 정의사회를 실현하려는 흐름이 내재되어있다. 하지만 영국드라마 셜록의 경우, 등장인물 왓슨과 셜록의 대화를 통해 두 인물이 정의사회 구현이 아닌 범죄 자체에 대한 흥미와 욕구를 가지고 움직인다는 것 알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 볼 때, 정의사회 구현을 위해 악당과 대치하는 타 수사물과는 차이점을 가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주인공과 반대자에 대한 시청자의 차별적 시선
드라마의 시청자들은 주인공에 대해 범죄자와는 다르게 편협적인 시선에서 그들의 행동에 대해 암묵적 동의를 하게 된다. 즉, 주인공이 하는 모든 행위는 인륜적인 측면이나 법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문제 발생의 소지가 있더라도 주인공이기 때문에 정당화 된다. 그에 비해 시청자는 범죄자의 유사한 행위에 대해서는 중립적기준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범죄자는 범죄 동기에 대한 이해나 그 행위의 정당성에 대한 동의를 얻지 못하고 차별적 기준에서 판단된다. 이 부분 또한 드라마의 몰입 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측면이다. 우리는 절대적 선과 악이 혼재한 현대사회에서 극의 주인공에게만 너그러운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봐야 한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4.07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80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