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정보시스템_-과제]_기업포탈시스템에_대해_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영정보시스템_-과제]_기업포탈시스템에_대해_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개념
- 빅테이터
2. 발전과정
- 유비쿼터스의 변화
3. 구축방법
4. 사례
-인트라넷
5. 보안의 중요성
6. 향후 이슈 및 전망

본문내용

융, 복합화의 진행이다. 최근 구축된 기업포털의 경우 엔터프라이즈 포털, 그룹웨어, SSO, 인스턴트 메신저, 전자회의, 지식관리시스템, 문서 관리, 웹 콘텐츠 관리(WCM), 검색, 프로젝트 관리, 커뮤니티, 블로그, 웹 리포팅 툴, 통합 리포지토리 등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제품으로 진화하면서, 이종솔루션간의 융, 복합화가 진행되고 있다.
반면에 경기회복이 지연되고, 기업의 IT투자여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아직까지는 핵심솔루션으로 부각되지 않은 기업포털의 투자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또한 국내 기업들의 IT투자가 화려한 이슈를 쫓기보다 내실화를 기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기 때문에 시장활성화가 더디게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대부분의 기업들이 과감한 IT투자보다는 충분히 검증된 솔루션에 대한 투자를 진행하는 보수적인 투자성향을 보여주는 것도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KMS, 그룹웨어, ECM/EDMS 등과 같은 대체솔루?amp;시스템과의 융, 복합화의 진행의 시장영역파괴로 각 솔루션 벤더와의 치열한 경쟁을 야기시킬 가능성이 높다.
대기업- 글로벌 벤더, 중견중소-국산 벤더 선호
IBM, BEA, HP, SAP, MS 등과 같은 글로벌 업체들은 기업포털(EP), 지식관리, 문서관리, 그룹웨어 등을 모두 통합한 패키지를 출시하면서, 대기업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IBM은 자사의 노츠계열 제품을 업그레이드하면서, 대기업 시장을 집중 공략하고 신규 및 재구축 수요에 적극대응한다는 전략을 마련하였다.
BEA는 ''''''''''''''''기업 포털 합리화(이하 EPR, Enterprise Portal Rationalization)'''''''''''''''' 전략을 발표하고 엑센츄어, 다큐멘텀, 엔터플러스, HP, 하이페리온 등 세계적인 IT 기업과 공동으로 기업포털 마케팅 및 영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까지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국민은행, 우리은행, 하이닉스반도체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 12곳을 고객사로 확보한 플럼트리를 인수하면서, 국내 시장 공략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글로벌 벤더들은 M&A를 통해서 제품라인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국내 영업망 확보를 위해서 유망 ISV와의 전략적 제휴도 강화하는 추세이다.
국내벤더들은 공공 및 중견중소기업 시장을 중심으로 시장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국내벤더들은 외산벤더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연한 가격구조를 기반으로 공공 및 중견기업을 타겟으로 영업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 벤더들은 그룹웨어계열의 핸디소프트와 KMS계열의 날리지큐브, 온더아이티, 사이버다임 등이 약진하면서 정부-공공기관, 서비스업종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SI벤더들 중에서 자체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는 삼성SDS는 자체 솔루션에 대한 영업력과 제품라인업을 강화하여 고객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중견SI인 CJ시스템즈, 대림 I&S, 신세계 I&C 등은 특정업종에 특화되어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6. 향후 이슈 및 전망
많은 기업들은 내부적으로 ERP, KMS, 그룹웨어, DW 등 전사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자신들이 투자해 도입한 많은 새로운 시스템들과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합 운영하며 효율을 극대화시키지 못했다.
트랜잭션 프로세스 중심의 기업 애플리케이션이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들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즈니스 이슈들은 기업포털 도입을 통해 해결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포털의 잠재적 효과와 기능과 역할 확대는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기업포털의 활용영역이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서 다양한 기업 내부의 IT 및 비즈니스 요구를 포함하는 기업포털로 진화할 것이다.
또 웹 서비스로의 전환을 포함한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복잡성의 증가, 지식 근로자들의 효율성 제고와 콘텐츠 및 협업, 정보 접근(액세스)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통한 비용절감 등에 대한 압박감은 기업들에 핵심 소프트웨어 결합을 유도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포털시장의 성장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국내 기업포털시장은 그룹웨어, 지식관리, ECM/EDMS 등과 같은 솔루션간의 융, 복합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그룹웨어, 지식관리, ECM/EDMS계열 솔루션 벤더들간의 제휴와 고객의 수요가 이들 솔루션에 대한 통합수요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벤더들 역시 자사솔루션에 대한 다양한 기능 업그레이드를 시도하고 있어, 융, 복합화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4.29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18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