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방향정위와 이동훈련의 필요성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방향정위와 이동훈련의 필요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방향정위와 이동훈련의 필요성
1. 방향정위
(1) 정의와 목적
(2) 방향정위를 위한 선수기술
(3) 방향정위의 원리
(4) 방향정위에서의 인지적인 과정
(5) 방향정위에 필요한 구성요소
(6) 친숙화 과정의 실제
2. 이동기술
Ⅱ. 대상학생의 정보
Ⅲ. 전체적인 코스 소개
Ⅳ. 구체적인 코스별 O&M 훈련 전략
1. 1코스: 도서관 정문~아름뜰
2. 2코스: 아름뜰~학생문화관 쪽 도로
3, 3코스: 학생문화관 앞 숲
4. 4코스: 가정관 식당 메뉴 앞~자리 찾기
5. 5코스: 가정관 식사한 장소~자판기 앞

본문내용

한다. (의자 집어넣기) 가능한 한 통로 쪽 빈 자리에서 식사하도록 하며, 자리가 없을 경우 출입구 쪽의 식탁과 의자를 쳐 가면서 빈 자리를 찾도록 한다.
자신이 식사한 자리에서 밖으로 나와 식탁에 수평정렬을 한 후, 12시 방향으로 직선보행한다. 음식 받는 곳을 따라오며 반납대를 찾는다. 음식 코너와 코너 사이에 세 발자국 정도의 틈이 있으며, 새로운 음식 코너가 시작하는 곳마다 식판대가 있으므로 그것을 지표로 삼아 이동한다. 음식을 배식 받는 곳은 사람들이 많이 줄 서 있으므로, 이를 미리 알리고 방향감을 상실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반납대 옆에 쇠로 된 휴지통이 두 개 있으므로 이를 단서로 삼아 반납대임을 확인한다.
정안인의 도움을 받아 포크, 나이프, 숟가락, 젓가락 등을 제자리에 놓고, 식판을 반납한다.
이단
터치법,
대각선법
코너와 코너 사이의 틈을 통해 요리하는 곳으로 들어갈 경우, 요리하는 소리와 아주머니들의 이야기 소리를 토대로 밖으로 나오도록 한다.
촉각지도를 통해 미리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초기에는 밑창이 얇은 신발을 신어 다른 감각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코스를 여러 번 반복해서 가보면서 단서의 차이를 느끼고 이를 적용해 본다.
가정관 식당은 점심시간에는 혼잡하므로 처음에는 한가한 시간에 건물 구조에 대해 익히고, 점차 학생들이 많이 다니는 시간에 경험해 보게 함으로써 혼잡한 상황에 대처하는 전략을 학생 스스로 세울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구간
지표 및 단서
이동방법(경로)
이동기술
회복(recovery)
친숙화 과정
가정관
식사한 장소
~반납대 앞
휴지통 두드렸을 때 나는 철소리
(나이프, 포크, 숟가락, 젓가락 순으로 반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점차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단
터치법


반납대
~정수기
사람들 웅성거리는 소리
입구의 시원한 바람
울리는 소리
물컵 반납하는 곳 두드렸을 때 나는 철 소리
정수기를 쳤을 때 나는 둔탁한 소리
(입구에 4대가 연속적으로 위치해 있다.)
반납을 한 후, 슬라이딩 기법으로 직선 보행을 한다.
쇠 소리가 날 경우, 사용 후 컵을 보관해 놓은 곳이므로 트레일링을 하면서 따라간다.
사용 후 컵을 놓아둔 곳과 사용 전 컵을 놓아둔 곳 사이에 약간의 공간이 있어 왼쪽으로 들어간다는 느낌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사용 전 컵을 보관한 곳을 찾는다.
사용 전 컵 보관함에서 컵을 꺼낸 후, 트레일링을 하여 정수기를 찾는다.
뜨거운 물과 차가운 물 모두 나오는 정수기이므로 함부로 손을 뻗어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한다. 지팡이를 기초로 손을 내려오게 하여 오른쪽에 있는 찬물 손잡이를 누른다. 미지근한 물을 원할 경우, 정안인의 도움을 받거나 손잡이 부분에 컵을 먼저 댄 후 뜨거운 물 버튼을 누르게 하여 다치지 않도록 한다.
물을 마신 후, 트레일링을 하여 두 번째로 나오는 ‘사용 후 컵 보관함’에 컵을 놓도록 한다. (효율성 고려) 사용후 컵 보관함이 첫 번째 것과 마찬가지로 불쑥 튀어나와 있어 찾기 쉽다.
슬라이딩 기법
트레일링
정수기 4대가 연속적으로 있으므로, 놓칠 경우 다음 정수기를 이용하면 된다.
출입구를 확인시켜 주는 지표를 파악하여 둔다.
지표나 단서를 파악하기 위해 환경을 탐색해 들어간다.
가정관 내부는 복잡하므로 실제 연습을 하면서, 회복 계획을 세우도록 하며 점점 탐색의 범위를 넓혀 나가도록 한다.
각 코스별로 5-7회 정도 반복 연습한다. 학생의 피로나 개인차에 따라 차이를 두도록 한다.
구간
지표 및 단서
이동방법(경로)
이동기술
회복(recovery)
친숙화 과정
두 번째
사용 후
컵 보관함
~출입구
사람들 웅성거리는 소리
입구의 시원한 바람
울리는 소리
휴지통 두드렸을 때 나는 철 소리 (휴지통 2개가 연속해서 놓여 있음)
컵을 놓고 난 후, 이단 터치법으로 두 발자국 정도 가서 9시 방향으로 직선 보행하면 냅킨 보관함을 찾을 수 있다. 냅킨으로 입 주변을 깨끗이 닦은 후, 냅킨 통 옆에 있는 휴지통 2개를 단서로 출입문을 찾도록 한다.
휴지통을 트레일링하여 오다가 휴지통이 끝나는 지점에서 안으로 조금 들어가면 2번째 냅킨 보관함을 만날 수 있다. 2번째 냅킨 보관함 바로 옆에 출입문이 있다.
출입문 2개가 있음을 알리고, 가정관 식당을 나오도록 한다. (출입문을 나올 때, 손이 끼지 않도록 주의를 준다.)
이단
터치법
트레일링


출입구
~자판기 앞
사람들 웅성거리는 소리
입구의 시원한 바람
울리는 소리
자판기를 쳤을 때 나는 철 소리
후식을 먹고 싶을 경우, 아래의 방법을 따르도록 한다.
첫 번째 문으로 나와서 수직 정렬을 한 후, 12시 방향으로 가면 3번째 자판기의 옆면을 치게 된다. 자판기는 총 세 대가 있으며, 첫 번째와 세 번째는 찬 음료가 주로 있고, 두 번째 자판기는 뜨거운 음료를 판매한다. (종이컵에 든 음료) 특히 첫 번째 자판기는 위의 코너는 차가운 음료, 밑의 코너는 뜨거운 음료임을 알리고, 학생이 원하는 음료를 뽑아 먹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음료의 가격과 종류는 사전에 알리고, 각 메뉴와 가격을 점자로 찍어 놓도록 한다.
이단
터치법,
트레일링
자판기 세 대의 구분은 자판기에서 나오는 소리와 자판기들 사이의 틈을 이용하여 구분하도록 한다.
각 코스별로 연습한 후, 도서관부터 가정관 식당까지의 총 코스를 연결하여 연습한다.
가정관 식당 코스가 익숙해지면 다른 층으로 가서 가정관 내부 구조에 대한 친숙화 절차를 다시 밟아 연습한다.
*목차
Ⅰ.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방향정위와 이동훈련의 필요성
1. 방향정위
(1) 정의와 목적
(2) 방향정위를 위한 선수기술
(3) 방향정위의 원리
(4) 방향정위에서의 인지적인 과정
(5) 방향정위에 필요한 구성요소
(6) 친숙화 과정의 실제
2. 이동기술
Ⅱ. 대상학생의 정보
Ⅲ. 전체적인 코스 소개
Ⅳ. 구체적인 코스별 O&M 훈련 전략
1. 1코스: 도서관 정문~아름뜰
2. 2코스: 아름뜰~학생문화관 쪽 도로
3, 3코스: 학생문화관 앞 숲
4. 4코스: 가정관 식당 메뉴 앞~자리 찾기
5. 5코스: 가정관 식사한 장소~자판기 앞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3.05.02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6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